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 340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교통물류 2014년 인천시내버스 서비스실태조사 용역

    • 연구기간 : 2014.12.16 ~ 2015.02.24
    • 연구유형 : 수탁
    • 연구자 : 한종학

    본 연구과제는 저작권을 소유한 발주처의 권한에 의거하여, 공개 가능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발주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의뢰자(부서) :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수입금공동관리위원회

  • 교통물류 인천광역시남구 주차수급실태조사 및 주차환경개선기본계획

    • 연구기간 : 2014.10.01 ~ 2015.02.10
    • 연구유형 : 수탁
    • 연구자 : 한종학

    본 연구과제는 저작권을 소유한 발주처의 권한에 의거하여, 공개 가능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교통물류 2014년 수도권여객기종점통행량(O/D) 현행화공동사업 용역

    • 연구기간 : 2014.03.31 ~ 2015.01.30
    • 연구유형 : 수탁
    • 연구자 : 김종형

    본 연구과제는 저작권을 소유한 발주처의 권한에 의거하여, 공개 가능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발주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의뢰자(부서) : 수도권교통본부 [연구의 목적] - 여객O/D 현행화 자료는 각종 교통관련 계획의 효과적인 수립, 시행, 평가에 활용되는 기초자료이며, 특히 지역별 교통 계획수립 및 정책분석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료임 - 본 과업은 변화하는 교통여건과 사회경제여건을 반영하여 현실성 있는 O/D를 구축하고자 함. [연구의 범위] ❍ 2013년 여객 O/D 구축 ❍ 장래 예측 통행량 구축 ❍ 교통분석용 네트워크 구축

  • 교통물류 인천시내버스업체 경영 및 서비스평가 시행효과 분석 연구

    • 연구기간 : 2014.07.01 ~ 2014.12.31
    • 연구유형 : 정책
    • 연구자 : 한종학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인천시는 2006년부터 「대중교통의육성및이용촉진에관한법률」에 근거하여 국토교통부에서 지정된 평가지표에 의해 2년마다 시내버스업체 경영 및 서비스평가를 실시해오고 있음. 한편 2009년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으로 준공영제 시행업체의 성과이윤배분을 위해 업체 경영 및 서비스평가를 매년 실시하고 있음. 2014년 하반기에는 국토부와 인천시의 경영 및 서비스평가가 동시에 진행될 예정임. 2. 이와 같이 버스업체에 대한 경영 및 서비스평가결과는 버스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에 반영되고, 준공영제 시행업체의 성과이윤배분을 위한 정책에 활용되고 있음. 그 동안 시내버스업체 경영 및 서비스평가는 시행초기부터 평가지표에 대한 적정성에 대한 논란은 지속되어 왔고, 이러한 제도시행이 버스업체 경영 및 서비스개선 전반에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음.3. 이 연구는 그 동안 적용되어온 평가지표의 적정성을 따져보고, 그동안 시행해온 경영 및 서비스평가가 시내버스 업체 경영과 대 시민 서비스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함.

  • 교통물류 한중항로 개방 물동량 추정 및 내륙운송 절감비용 산정

    • 연구기간 : 2014.08.04 ~ 2014.12.30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김운수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한중교역 현황- 대중국 교역에서 초기에는 대부분 중간재형태의 수출입이 주된 형태에서 점차 완제품이 증가하고 중간재가 감소하고 있음- 기계, 전기제품과 섬유, 의류, 귀금속, 광학 정밀기기 등은 높은 분업구조를 보임- 1990년대는 한국이 중국에서 의류를 수입하고 한국에서 중국으로 전자제품을 수출하였으나 2000년대에는 반도체산업 내에서 상호 활발한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 최근 20년간 한중 교역품목은 다음과 같이 변화되어 왔음

  • 교통물류 목재 물동량 및 제조 수요 검토

    • 연구기간 : 2014.08.04 ~ 2014.12.30
    • 연구유형 : 현안
    • 연구자 : 김운수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목재화물은 원목과 목재·목탄·코르크를 합하여 구성되고 있음- 주로 수입화물이 대부분이며, 일부 수출 및 연안화물은 미미한 편임- 원목화물은 전용부두에 처리되며, 그밖의 화물은 컨테이너 및 일반부두에서처리됨- 또한 목재화물은 인천, 평택·당진항, 부산항, 군산항 등에 집중되어 있음2. 우리나라 목재물동량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3.9%가 증가하여 2013년17,877천톤을 기록하였음. 동 물동량의 대부분이 목재·목탄·코르크 화물의 증가에 기인함3. 주로 벌크성화물인 원목은 동기간 동안 4.0%가 감소하여 2004년 5,642천톤에서 2013년 3,915천톤으로 감소함4. 하지만 목재·목탄·코르크 화물은 컨테이너화로 진행되어 부산항을 중심으로 물동량 증가가 두드러짐5. 인천항 목재물동량은 2004년 5,692천톤에서 2013년 3,080천톤으로 26만톤이 감소하였음. 특히 목재·목탄·코르크화물은 연평균 10.8%가 감소하여 목재 물동량의 감소세를 주도하였음- 이처럼 원목의 감소는 수출국가에서 원목보다는 제재 등을 통해 1차 가공후 수출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과 목재·목탄·코르크 등의 일부화물이 컨테이너화로 전화됨에 따른 영향임

  • 교통물류 인천출발 KTX 기술검토

    • 연구기간 : 2014.10.01 ~ 2014.12.29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임성수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검토배경○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KTX 미운행 지역인 인천시에 KTX 운행을 통한 지역 주민 편의 제공○ 국가적으로 전국 2시간 생활권역 구축을 위한 KTX 수혜지역 및 인구 확대1. 검토배경수도권에서 유일하게 KTX 미운행 지역인 인천시에 KTX 운행을 통한 지역 주민 편의 제공 국가적으로 전국 2시간 생활권역 구축을 위한 KTX 수혜지역 및 인구 확대2. KTX 운행방안시공중인 수인선 어천역과 경부고속철도 직결을 통한 KTX 인천 운행KTX 운행경로- 1안 : 인천역 ↔ 경부고철 직결선 ↔ 부산, 목포- 2안 : 송도역 ↔ 경부고철 직결선 ↔ 부산, 목포KTX 운행시간- 인천 ↔ 부산 : 2시간 25분(KTX 전역 정차, 수인선 인천역만 정차 기준)- 인천 ↔ 광주 : 1시간 50분(KTX 전역 정차, 수인선 인천역만 정차 기준)

  • 교통물류 장애인 콜택시 야간시간대 탄력배차 필요

    • 연구기간 : 2014.10.01 ~ 2014.12.29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석종수

    [IDI Issue Paper]○ 인천시의 장애인 콜택시 확보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지만, 심야시간대(22시30분 ~ 6:30)에 운행하는 차량대수가 적어(4대) 야간에 출퇴근을 하는 장애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음.(경기일보 4월 16일자 사회면)○ 현재 1개조(3대)로 운영되고 있는 심야시간대 장애인 콜택시 운영방식을 2개조(3대, 4대)로 편성하여 시간대별 탄력 배차를 하면 장애인들의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 오후 9시까지만 운행하는 장애인심부름센터의 차량 운행시간을 심야시간대까지로 확대하면 시각 장애인들의 심야시간대 이동편의 증진에 도움이 됨.○ 심야시간대에 장애인 콜택시를 2개조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인건비가 추가로 소요되며, 근로형태 변경에 따른 노사간 합의가 필요함.

  • 교통물류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한계와 향후 대안

    • 연구기간 : 2014.09.02 ~ 2014.12.29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한종학

    IDI Issue Paper○ 버스 준공영제의 문제점은 최초 시행 후 더욱 심화된 관련 업체들의 ‘도덕적 해이’가 주된 원인으로 대두됨.○ 이에 해결방안으로 현재 ‘버스 공영제’가 논의되고 있음. ○ 본 현안에 따른 해결을 위한 주된 방안은 버스운영체계의 소유와 운영을 분리하는 것으로, 「민・관 혼영제」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라 하겠음.

  • 교통물류 GTX 변경 B노선(송도-잠실) 확실히 경제성 있다.

    • 연구기간 : 2014.09.01 ~ 2014.12.29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최병국

    [IDI Issue Paper]○ 기존 GTX B 노선(송도-청량리, L=49.9km)의 B/C는 0.33으로 낮게 평가○ 공사비 절감을 위해 경인선, 인천도시철도 1호선을 병용하고, 종착지를 청량리에서 잠실로 변경하면 B/C 현저히 상승할 것이라 예상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