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문화관광
역사문화자산 가치화 사례 분석을 통한 정책 시사점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4
- 연구기간
2024.03.04 ~ 2024.09.30
- 연구유형
현안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2000년대 전후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수평적 관점의 지역사 편찬 확산 및 중앙정부 중심으로 역사문화자산을 주제 또는 소재로 활용한 문화콘텐츠 제작 적극 시도
❍ 인천시 역시 인천광역시사 및 풍부한 근대문화유산 등을 바탕으로 시민, 방문객, 미래세대 등 모두에게 인정받는 도시 브랜딩을 위해 역사문화자산의 활용에 더욱 주목이 필요
❍ 인천시는 역사문화자산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제작 경험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향후 효과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문화콘텐츠 제작 체계 마련이 필요
❍ 본 연구에서는 각종 문화콘텐츠 유형별로 다양한 역량의 조합과 연계를 시도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역사문화자산의 발굴, 기록관리 및 시사편찬으로부터 문화콘텐츠 제작 등을 포함하는 활용에 이르는 과정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2000년대 전후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수평적 관점의 지역사 편찬 확산 및 중앙정부 중심으로 역사문화자산을 주제 또는 소재로 활용한 문화콘텐츠 제작 적극 시도
❍ 인천시 역시 인천광역시사 및 풍부한 근대문화유산 등을 바탕으로 시민, 방문객, 미래세대 등 모두에게 인정받는 도시 브랜딩을 위해 역사문화자산의 활용에 더욱 주목이 필요
❍ 인천시는 역사문화자산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제작 경험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향후 효과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문화콘텐츠 제작 체계 마련이 필요
❍ 본 연구에서는 각종 문화콘텐츠 유형별로 다양한 역량의 조합과 연계를 시도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역사문화자산의 발굴, 기록관리 및 시사편찬으로부터 문화콘텐츠 제작 등을 포함하는 활용에 이르는 과정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연구목차
[1] 서론
[2] 강화역사박물관: 실감 콘텐츠 제작 및 체험공간 조성 사업
[3]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자료 기반 문화콘텐츠 소재 뱅크 구축, 스토리테마파크
[4] 인천연구원: 인천에 대한 교육콘텐츠, 웹툰 ‘와라! 인천’
[5] 시사점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보안문자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직원 이메일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