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 Korean Peninsula peace education'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
-
'인천형 평화교육'의 정의와 사례: 난정평화교육원 프로그램 평가와 개선 방향을 중심으로
이 글의 목표는 ‘인천형 평화교육’을 정의해 본 뒤, ‘인천형 평화교육’에 부합하도록 현행 난정평화교육원 프로그램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인천형 평화교육은 한반도 평화교육의 일환답게 한반도 평화교육의 주안점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19세기 후반 한반도 주변 열강이 벌인 지정학적 갈등의 본무대(本舞臺),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아픔과 희망을 기억하는 도시, 한반도의 ‘끝나지 않은 전쟁’과 전쟁 트라우마를 증언하는 도시, 통일로 바닷길을 다시 열고 삶의 터전을 다질 수 있는 도시 같은 인천의 평화 관련 로컬리티를 내재한 평화교육이다. 난정평화교육원 프로그램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한반도 주변 열강의 ‘지정학적 갈등’과 ‘분단’이 코리안이 경험하는 직접적·구조적·문화적 폭력의 주된 원인이라는 점, 평화통일 노력이 분단폭력과 지정학적 폭력을 줄이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참가자들이 인식하도록 돕는 교육 요소들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19세기 후반 한반도 주변 열강이 벌인 지정학적 갈등의 본무대,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아픔과 희망을 기억하는 도시 같은 로컬리티까지 포괄적으로 품어나가야 한다.
홈 > 연구원 간행물 > 도시연구 > 논문검색
직원정보 (0건)
-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
221104_행사자료집(2022 DMZ 국제포럼)_인천세션.pdf
홈 > 연구원 간행물 > 행사자료집 -
행사자료집(2022 황해평화포럼).pdf
홈 > 연구원 간행물 > 행사자료집 -
20211015_황해평화포럼(게시용).pdf
홈 > 연구원 간행물 > 행사자료집
보안문자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직원 이메일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