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아세안 FTA의 추진과 파급영향
<목 차> 제Ⅰ장 들어가는 말 제Ⅱ장 중-아세안 FTA: 경제관계, 추진현황 및 경제적 효과 1. 중국과 아세안의 대세계 교역구조 2. 중국과 아세안 교역관계 3. 중국과 아세안 투자관계 4. 중-아세안 FTA 추진현황 5. 중-아세안 FTA의 예상효과 가. 지역별 GDP에 대한 영향 나. 교역에 대한 영향 다. 투자에 대한 영향 제Ⅲ장 중국-아세안의 FTA 추진배경 1. WTO 가입과 맞물린 중국의 FTA 정책 2. 중국의 중-아세안 FTA 추진 배경 가. 중국의 세계화 전략 나. WTO 가입이후 경제개혁의 지속 다. 지역주의의 확산에 대응 라. 한-일 FTA의 진전에 대비 마. 국토균형발전전략(서부대개발) 바. 비경제적 고려사항 3. 아세안의 중-아세안 FTA 추진 배경 가. 중국과의 산업 및 경제협력 강화 나. 아세안의 대중국 수출 확대 다. 아세안에 대한 투자유입 증대 라. AFTA의 허브화 전략 마. 기타 경제적 이유 바. 비경제적 요인 제Ⅳ장 중-아세안 FTA의 논의 내용과 평가 1. 중-아세안 FTA 기본협정의 주요 내용 가. 주요 내용 나. 무역자유화 다. 선자유화조치(Early Harvest Programme) 2. 중-아세안 FTA 기본협정의 평가 3. 중-아세안 FTA 추진의 장애요인 제V장 세계통상환경에 대한 파급영향 및 정책시사점 1. 다자체제에 대한 영향 2. 동아시아 지역주의에 대한 영향 3. 한국경제에 대한 영향 4. 정책시사점 <참고자료> 부록: 중-아세안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국유상업은행 해외증시 상장 시도
중국 정부는 지난 1월 13일 공상은행, 농업은행, 건설은행, 중국은행 등 4대 국유상업은행에 대한 자본금 증자와 해외증시 상장을 골자로 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는 중국경제의 잠재적 불안요소로 여겨지는 국유상업은행의 부실채권문제 처리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안이며, 부실채권 문제의 해결을 위한 중국 정부의 의지를 표명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 건설기계 시장전망 밝아
2003년 10월 14일 제 7회 북경국제 기계 및 기술교류전에서 VOLVO사는 향후 수년간 중국에서의 발전전략 및 중국이 글로벌 전략의 가장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될 것을 설명한 바 있다. 또한 전시기간 중 VOLVO사는 가장 큰 규모의 전시부스(900sqm)를 임대, 612hp트럭 등을 전시하였다. 이렇듯 VOLVO와 같은 세계 유수 기업들이 중국 기계시장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중국의 10차 5개년 계획(2001-2005)내 서부지역 인프라 개발 등 2003년내에 건설 프로젝트 착수 건이 많아 건축장비 및 기계선정에서 선점을 차지하려는 이유에서이다. 중국은 앞으로 수년간 수자원, 에너지, 통신, 주요원자재 개발 및 각종도시기반시설에 대대적인 투자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향후 예상되는 전체토목공사는 400억 m2 대지, 콘크리트는 3억m2 분량사용 규모이며 이에 따라 건설기계수요는 2001-2005년까지 매년 40%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덤퍼, 불도저, 적하기, 리프트, 드릴, 굴삭기 등 각종 건설기계가 2005년까지 약 160,000대가 필요할 것이며, 이에 따른 수입량은 매년 약 30,000대 정도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5개년계획기간(2001-2005)중 약 인민폐 5300억위엔을 수자원개발공사에 투자방침이며 이중 2800억위엔을 양쯔강, 황허강, 하이허강등 주요강의 홍수방지시설을 마련하는데 사용할 것으로 보이고 있다. 또한 교통시설 투자부문에 있어서 중국은 2002년말까지 매년 고속도로건설비용에 2700억 위엔을 투자해왔으며 6천km 달하는 고속도로 공사를 진행, 전체 2.52만 km를 건설하여 세계 2위로 올라선 바 있다. 현재 고속도로 투자관련 279개의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으며 이는 전체 2.7만km규모로 약 5000억위엔에 달하고 있다. 이중 80%가 새로 초기단계이다. 이밖에도 철도부문에 있어서 향후 5년내 상해- 북경 고속철도 등 전체 5,340km규모의 철도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도시계획부문에서 향후 5-10년간 구도시의 재개발 및 100억 m2규모 신주거 단지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건설공사 계획 및 진행은 엔지니어 관련 기계 및 장비수요를 촉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내부에서도 이미 대규모 건설기계 생산체제를 구축, 현재 16개 카테고리 150분류 3000여종의 건설기계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국내생산분은 대부분 국내수요를 충당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전체수요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에 페이스를 맞추기 위해 중국건설기계산업은 다양한 품종개발, 기초부품 생산 등 큰 발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주요 해외기업과 중국기업의 합작생산도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료원: China Economic News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 자동차 부품시장 2010년까지 연 평균 10%이상 성장
자동차 시장은 크게 전방시장과 후방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방시장은 자동차 제조업을 일컫으며 후방시장은 주로 자동차 A/S시장을 가리키며 이 두개의 시장 모두 자동차 부품시장을 구성하는 대형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경우 최근 몇 년간 자동차 제조업의 경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자동차 A/S시장의 비중은 여전히 낮은 상황이다. 그러나 중국의 자동차 보급률 증가에 따라 자동차 부품시장의 규모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02년 중국 자동차 부품시장의 판매액은 750억 위앤에 달하였다. 향후 중국 자동차 부품시장은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2010년까지 연 평균 10%이상의 증가율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자동차 부품시장은 다음의 3가지 요인을 근거로 매우 큰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첫째,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완성차 판매량은 두자리의 높은 증가율을 지속하였으며 이에 자동차 부품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전국공상연 자동차 부품상회에 따르면 완성차가 생산하는 1위앤의 부가가치는 원자재 등 업스트림 시장과 A/S 서비스 시장 등 다운스트림 시장에 각각 0.65위앤과 2.6위앤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둘째, 자동차 소비자의 구성이 고소득자에서 중산층으로 도시주민에서 농촌주민으로 점차 확산되는 등 소비계층의 다원화가 자동차 부품시장을 확대시키고 있다. 이미 북경, 상해, 광주 등 대도시를 위주로 고소득층을 비롯 중산층이 형성되었으며 이들의 소득수준은 선진국 소비자의 패턴과 유사한 성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자동차 구입을 위한 신용대출이 확대되고 자동차 메이커와 자동차 금융회사 간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여 자동차 구입은 보다 보편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자동차 교체시기의 단축과 소비자 개성의 다양화는 일반적인 자동차 부품판매 뿐 아니라 자동차 보호용품과 악세서리 등 자동차 부품시장의 확대를 촉진하고 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2002년 중국의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325.1만대와 324.8만대를 기록하였다. 2003년 1-10월간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356.1만대와 347.88만대로 이미 전년도 전체 실적을 넘어섰다. 차종별로 승용차의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승합차와 화물차가 뒤를 이었다. 10년 후 중국 자동차 보유량은 현재의 2,200만대에서 1억대 이상으로 증가, 전세계 자동차 판매량 증가율이 가장 빠른 국가로 부상할 것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자동차 부품시장도 자동차 시장 확대에 따라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가통계국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20%에 해당사는 2,630만 도시가구가 자동차 구매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몇 년간 GDP 증가율이 6.5%이상을 유지하고 주민 가처분 소득이 꾸준히 상승한다면 자동차 수요량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산업구조조정 계획의 주요내용 및 영향분석
-----------------목차--------------------- 1: 중국경제 과열논쟁 2: 중국발 국제원자재가격 파동동향 3: 중국국가발전개혁위, <산업구조조정방향잠행규정> 및 <산업구조조정지도목록>에 대한 공개의견 수렴. 총 51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아시아 컨데이너항만의 발전패턴과 China Effect
---------------------목차---------------------------- 1. 서론 2. 항만집중도 분석 3. 항만규모와 항만성장간 상관관계 분석 1) 추이 분석 2) 기본 가설 및 데이터 3) 분석모형 및 결과 4. 아시아 항만의 발전 특성과 중국 효과 1) 아시아 항만 발전특성 2) 항만 개발전략에 미치는 china effect 5. 결론 총 30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페놀 반덤핑 최종판정 결과
중국의 페놀 반덤핑 최종판정 결과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세금계산서 관련 규정
증치세전용 영수증(增値稅專用發票)에 관한 내용입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대중국 중장기 교역전망 [보도자료 2004.02.05]
한・중 교역 확대 균형으로 간다 -양국 교역 2006년 1천억 달러 돌파, 2008년부터 균형도달 중장기적으로 한중간 교역이 확대균형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대중국 교역규모는 2006년 1천억 달러를 돌파하고, 대중국 무역흑자는 2008년부터 균형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소장 玄旿錫)는 '대중국 중장기 교역전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경제가 다시 성장국면에 진입하고 시장개방이 확대되는 등 2007년까지는 한국의 대중국 수출여건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는 반면, 이후에는 중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제고되고 중국의 수입대체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대중국 수출증가율이 지금보다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한국의 대중국 수입증가율이 수출증가율을 웃도는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2008년 이후에 대중국 흑자액이 양국간 교역액의 5% 이내로 줄어들어 균형에 도달하고, 2011년부터는 대중국 교역이 적자로 반전될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하였다.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 양국간 교역의 확대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내 산업의 경쟁력 제고는 물론 중국과의 산업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었다. 한중간 교역규모는 연평균 20%대의 신장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이 보고서는 한중간 교역액은 2003년 579억 달러에서 2006년에는 1,000억 달러를 넘어서고, 2011년에는 2,0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였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업종이 한중간 산업내 분업 확대에 힘입어 2011년 단일업종으로는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었다. 반면 석유화학 업종은 중국의 수입대체로 교역비중이 급속히 위축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 2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 선양 노후공업기지 진흥계획
中 선양 노후공업기지 진흥계획 바로가기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