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광역시 토지이용-교통모형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1996
- 연구기간
1996.01.01 ~ 1996.12.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배경]
한 도시의 장래계획에 있어서 토지이용계획은 가장 근본이 되는 계획이며, 토지이용계획에 있어서는 각 용도별 토지이용수요의 추정 및 입지할당이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토지이용계획에 있어서, 장래의 입지배분이나 용도별 수요의 추정은 계획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거나, 단순한 계량적 수단에 의하여 결정되게 되며, 이는 각 부문별 계획담당자간의 의견차이와 함께, 시민들의 동의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즉, 토지이용계획의 입안과정은 명확한 계획근거의 제시와 함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계량적수단에 의하여 토지이용계획을 입안하는 경우에도, 각 유형별 토지이용 수요추정에만 그치고 있고, 각 세부지역에 대한 입지배분과정에는 정성적인 배분기준에 따라 배분되므로, 교통환경을 비롯한 영향요인들이 고려가 되지 않고 있어서, 계획의 정확성을 해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교통의 변화가 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큰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기존의 토지이용계획에서는 그다지 고려가 안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천광역시와 같이 다양한 규모의 도시개발사업들이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역에서는 이들 사업들이 장래의 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계획에 반영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토지이용계획기법인 토지이용-교통통합모형을 구축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교통의 상호관련성을 기반으로 하여,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토지이용수요를 추정하고 입지를 배분하는 토지이용-교통통합모형중에서 특히, 미국 샌디에고의 토지이용계획에 적용되어 우수성이 확인된 바 있는 PLUM(Projective Land Use Model), SOAP(SOphisticated Allocation Process)기법을 소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한 도시의 장래계획에 있어서 토지이용계획은 가장 근본이 되는 계획이며, 토지이용계획에 있어서는 각 용도별 토지이용수요의 추정 및 입지할당이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토지이용계획에 있어서, 장래의 입지배분이나 용도별 수요의 추정은 계획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거나, 단순한 계량적 수단에 의하여 결정되게 되며, 이는 각 부문별 계획담당자간의 의견차이와 함께, 시민들의 동의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즉, 토지이용계획의 입안과정은 명확한 계획근거의 제시와 함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계량적수단에 의하여 토지이용계획을 입안하는 경우에도, 각 유형별 토지이용 수요추정에만 그치고 있고, 각 세부지역에 대한 입지배분과정에는 정성적인 배분기준에 따라 배분되므로, 교통환경을 비롯한 영향요인들이 고려가 되지 않고 있어서, 계획의 정확성을 해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교통의 변화가 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큰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기존의 토지이용계획에서는 그다지 고려가 안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천광역시와 같이 다양한 규모의 도시개발사업들이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역에서는 이들 사업들이 장래의 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계획에 반영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토지이용계획기법인 토지이용-교통통합모형을 구축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교통의 상호관련성을 기반으로 하여,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토지이용수요를 추정하고 입지를 배분하는 토지이용-교통통합모형중에서 특히, 미국 샌디에고의 토지이용계획에 적용되어 우수성이 확인된 바 있는 PLUM(Projective Land Use Model), SOAP(SOphisticated Allocation Process)기법을 소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범위
제3절. 연구의 순서
제2장. 토지이용-교통통합모형의 필요성
제1절. 문제의 제기
가. 주관성과 비과학성
나. 교통측면의 비고려
제2절. 적용모형의 선정
가. 토지이용-교통통합모형의 발전역사
나. 적용모형의 선정
제3장. PLUM, SOAP의 개요 및 적용방법
제1절. PLUM, SOAP의 개요11)
가. PLUM (Projective Land Use Model)
나. SOAP (SOphisticated Allocation Process)
제2절. PLUM, SOAP의 입력자료13)
가. 지리구획시스템의 정보
(1) Census Track에 근거한 지리구획시스템(그림 1)
(2) 그리드셀시스템
(3) MGRA지리구획시스템
(4) ZUM's(Zones for Urban Modelling; 그림 2)
나. 인구 및 주택데이터베이스
(1) 연구대상지역의 분리
(2) 인구 및 주택변수의 예측
다. 토지이용 데이타베이스
(1) 종합토지이용계획(General Plan)
(2) 개발에 대한 제약요소
(3) 현재의 토지이용양태
(4) 특정단지계획(Site Special Plan)
(5) 데이터베이스 구축
(6) 토지이용행태
(7) 재개발과 증축
(8) 특정단지프로젝트 (Site Specific Projects)
(9) 밀도(Densities) 22
라. 고용관련 데이터베이스
마. 교통관련 데이터베이스
바. 가구소득 데이터베이스
사. 추정된 외생변수
(1) 기반고용
(가) 1단계
(나) 2단계
(다) 3단계
(라) 산업유형별 MSA별 증가분
(마) 기반고용의 MGRA별 할당
(2) 비기반산업고용자의 할당
(가) 농업
(나) 광업
(다) 주정부, 연방정부
(라) 호텔
(마) 군대
(3) 다른 외생변수
(가) 이동주택
(나) 집단인구
(다) 지역서비스고용
제3절. PLUM, SOAP의 분석과정
가. PLUM의 분석과정14)
(1) 계수의 조정, 기반고용, 집단인구, 개발계획의 적용, 거주유인도의 산정
(가) 존별 기준년도계수의 산정
(나) 기반고용 및 집단인구
(다) 기준년도 존별 고용주민 및 비노동인구의 조정
(라) 특정단지계획의 반영
(마) 단독주택, 공동주택 거주유인도의 초기치산정
(2) 기반고용의 직장→주거 할당
(가) 직장→주거할당 확률함수
① 서브루틴 PROB1 : 시간대별 확률의 산정
② 서브루틴 PROB2 : 직장존 → 거주존 할당확률의 산정
(나) 1차 직장 → 거주지할당
(3) 주거 → 지역서비스 및 직장 → 지역서비스 할당
(가) 지역서비스 유인도
(나) 직장 → 지역서비스고용의 할당
(다) 유형별 지역서비스고용의 추정
(라) 지역서비스할당의 조정
(4) 고용주민의 최종할당
(가)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의 최종거주유인도의 산정
(나) 공동주택 고용주민의 최종할당
(다) 재할당
(라) 할당된 공동주택단위의 산정
(마) 단독주택고용주민의 최종할당
(5) 잔여증가분과 예측치의 산정
(가) 인구의 증가분
(나) 가계소득의 예측
(6) 토지이용과 계산
(가) 기반고용과 특정단지계획
(나) 지역서비스
(다) 공동주택
(라) 단독주택
나. SOAP의 분석과정
(1) 개요
(2) 기준년도 가구당인구의 조정과 외생예측치의 산정
(3) 지역서비스고용과 주택할당
(가) 지역서비스고용할당
(나) 주택할당
제4절. PLUM, SOAP의 평가 및 응용방안
가. 예측오차의 평가
나. PLUM, SOAP의 한계
(1) 모형의 단순성 문제
(2) 초기치의 문제
(3) 공간적 이동가능성(spatial transferability)의 문제
(4) 시간적 이동가능성(temporal transferability)의 문제
(5) 토지이용 및 교통정책의 평가모형으로서의 적실성
다. PLUM, SOAP의 응용방안
제4장. 맺음말
[참고문헌]
1. 국내문헌
2. 국외문헌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범위
제3절. 연구의 순서
제2장. 토지이용-교통통합모형의 필요성
제1절. 문제의 제기
가. 주관성과 비과학성
나. 교통측면의 비고려
제2절. 적용모형의 선정
가. 토지이용-교통통합모형의 발전역사
나. 적용모형의 선정
제3장. PLUM, SOAP의 개요 및 적용방법
제1절. PLUM, SOAP의 개요11)
가. PLUM (Projective Land Use Model)
나. SOAP (SOphisticated Allocation Process)
제2절. PLUM, SOAP의 입력자료13)
가. 지리구획시스템의 정보
(1) Census Track에 근거한 지리구획시스템(그림 1)
(2) 그리드셀시스템
(3) MGRA지리구획시스템
(4) ZUM's(Zones for Urban Modelling; 그림 2)
나. 인구 및 주택데이터베이스
(1) 연구대상지역의 분리
(2) 인구 및 주택변수의 예측
다. 토지이용 데이타베이스
(1) 종합토지이용계획(General Plan)
(2) 개발에 대한 제약요소
(3) 현재의 토지이용양태
(4) 특정단지계획(Site Special Plan)
(5) 데이터베이스 구축
(6) 토지이용행태
(7) 재개발과 증축
(8) 특정단지프로젝트 (Site Specific Projects)
(9) 밀도(Densities) 22
라. 고용관련 데이터베이스
마. 교통관련 데이터베이스
바. 가구소득 데이터베이스
사. 추정된 외생변수
(1) 기반고용
(가) 1단계
(나) 2단계
(다) 3단계
(라) 산업유형별 MSA별 증가분
(마) 기반고용의 MGRA별 할당
(2) 비기반산업고용자의 할당
(가) 농업
(나) 광업
(다) 주정부, 연방정부
(라) 호텔
(마) 군대
(3) 다른 외생변수
(가) 이동주택
(나) 집단인구
(다) 지역서비스고용
제3절. PLUM, SOAP의 분석과정
가. PLUM의 분석과정14)
(1) 계수의 조정, 기반고용, 집단인구, 개발계획의 적용, 거주유인도의 산정
(가) 존별 기준년도계수의 산정
(나) 기반고용 및 집단인구
(다) 기준년도 존별 고용주민 및 비노동인구의 조정
(라) 특정단지계획의 반영
(마) 단독주택, 공동주택 거주유인도의 초기치산정
(2) 기반고용의 직장→주거 할당
(가) 직장→주거할당 확률함수
① 서브루틴 PROB1 : 시간대별 확률의 산정
② 서브루틴 PROB2 : 직장존 → 거주존 할당확률의 산정
(나) 1차 직장 → 거주지할당
(3) 주거 → 지역서비스 및 직장 → 지역서비스 할당
(가) 지역서비스 유인도
(나) 직장 → 지역서비스고용의 할당
(다) 유형별 지역서비스고용의 추정
(라) 지역서비스할당의 조정
(4) 고용주민의 최종할당
(가)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의 최종거주유인도의 산정
(나) 공동주택 고용주민의 최종할당
(다) 재할당
(라) 할당된 공동주택단위의 산정
(마) 단독주택고용주민의 최종할당
(5) 잔여증가분과 예측치의 산정
(가) 인구의 증가분
(나) 가계소득의 예측
(6) 토지이용과 계산
(가) 기반고용과 특정단지계획
(나) 지역서비스
(다) 공동주택
(라) 단독주택
나. SOAP의 분석과정
(1) 개요
(2) 기준년도 가구당인구의 조정과 외생예측치의 산정
(3) 지역서비스고용과 주택할당
(가) 지역서비스고용할당
(나) 주택할당
제4절. PLUM, SOAP의 평가 및 응용방안
가. 예측오차의 평가
나. PLUM, SOAP의 한계
(1) 모형의 단순성 문제
(2) 초기치의 문제
(3) 공간적 이동가능성(spatial transferability)의 문제
(4) 시간적 이동가능성(temporal transferability)의 문제
(5) 토지이용 및 교통정책의 평가모형으로서의 적실성
다. PLUM, SOAP의 응용방안
제4장. 맺음말
[참고문헌]
1. 국내문헌
2. 국외문헌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