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ResearchRPT_201612020515255260.jpg

환경안전

인천광역시 녹지특성 및 녹지공원정책 장기구상

  • 연구자
  • 발행년도

    1996

  • 연구기간

    1996.01.01 ~ 1996.12.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미래 도시계획과 환경관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경관변화와 자원이용형태의 변화는 주의깊게 연구되어야 한다. 경관변화의 생태학적 측면을 밝히는 것이 의미를 갖는 것은 이것이 동식물과 다른 자원들 변화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고 생태적인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관심은 경관생태학이 시작된 이래 계속되어 왔는데, 경관변화의 시간적 추이를 정량화한 한 사례는 그다지 많다고 할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과 그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주로 산림녹지의 현황을 살펴보고 산림녹지의 파편(patch)특성을 파악하여 식생고립화의 생태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인천의 급속한 개발위주의 정책이 과연 환경보전적이었는지를 우회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인천광역시의 공원녹지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방법

제2장 녹지의 가치와 녹지분포의 계량화

제1절 녹지의 가치

1. 생산자원으로서의 산림녹지

2. 환경자원으로서의 산림녹지

가. 쾌적한 환경의 보전과 조성

나. 수자원 함양

다. 물의 정화

라. 침식방지

마. 기후완화

바. 대기정화와 소음방지

사. 정신적 평온함과 아름다운 경관 창출

3. 문화자원으로서의 녹지

가. 자연교육의 장

나. 예술 및 종교적 모티브 제공

다. 레크리에이션의 장

4. 산림의 가치평가

제2절 경관생태학에서의 고립화

제3절 녹지고립화 특성의 계량적 분석기법

제3장 인천의 녹지특성

제1절 지역환경의 특성

제2절 녹지현황

1. 산림면적

2. 자연생태계조사에 따른 식생조사결과

가. 구 인천직할시 지역의 식생

나. 강화도의 식생

다. 옹진군의 식생

라. 김포군의 식생

마. 식생분포 요약

3. 녹지자연도

가. 녹지자연도의 정의

나. 인천지역의 녹지자연도 조사결과

다. 녹지자연도의 공간분포 특성

라. 현존식생량과 생산량 추정8)

4. 임목축적

5. 임상분포특성

제3절 공원녹지관리현황

1. 공원녹지의 관리체계

2. 공원녹지관리정책

3. 공원현황

가. 계양공원

나. 백마.호봉공원

다. 약사공원

라. 인천대공원

마. 문학공원

바. 송도공원

사. 월미공원

제4절 녹지분포 특성분석

1. 임상도에서의 임상분포분석

2. 인공위성사진에서의 녹지추출

3. 고립화 특성분석

제4장 인천지역 녹지관리에의 정책적 시사점

제1절 중앙정부차원의 기본구상

1. 전국 그린네트워크화 추진

2. 생태도시 조성계획

제2절 자치단체차원의 기본구상

1. 도시 녹지네트워크

가. 녹지네트워크의 구성요소

⑴ 핵(核; Core)

⑵ 거점(據點; Spot)

⑶ 점(點; Point)

⑷ 생태통로(Eco-Corridor, Eco-Bridge)

나. 도시에서의 녹지네트워크

다. 도시 녹지네트워크의 요소

2. 도시별 녹화프로그램

제3절 인천광역시의 녹지공원정책 장기구상

1. 녹지공원 네트워크화 및 녹지량 증진

가. 환상형 녹지체계의 구축과 녹지축의 복원

나. 도심지내 녹지공간 확보

2. 녹지공원의 질적 향상

가. 생태적 안정성의 증대

나. 투수성 포장재료의 도입

3. 권역별 특성을 고려한 녹지관리계획의 수립

4. 환경친화적 도농체계의 확립

5. 녹지공원정책 지원체계의 강화

제5장 결 론

[참 고 문 헌]

1. 국내문헌

2. 외국문헌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