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지역경제
인천광역시 재래시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본구상
- 연구자
- 발행년도
1999
- 연구기간
1999.01.01 ~ 1999.12.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 목표]
연구는 인천 내 재래시장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특성을 파악하고 시설의 현대화와 운영의 현대화, 업종의 전문화를 통해, 여건을 갖춘 인천의 재래시장들을 경쟁력을 갖춘 지연 유통업체군으로 부흥시킬 수 있는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내용]
본 연구가 포괄하는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른 재래시장의 위상과 방향
○ 재래시장 현대화를 위한 관련제도 검토
○ 동대문 지역 재래시장 활성화 사례 검토
○ 인천지역 재래시장의 현황 및 문제점
○ 재개발 전략의 적용이 가능한 시장 선정
○ 시설의 현대화 및 업태전환, 마케팅 전략의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 제시
연구는 인천 내 재래시장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특성을 파악하고 시설의 현대화와 운영의 현대화, 업종의 전문화를 통해, 여건을 갖춘 인천의 재래시장들을 경쟁력을 갖춘 지연 유통업체군으로 부흥시킬 수 있는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내용]
본 연구가 포괄하는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른 재래시장의 위상과 방향
○ 재래시장 현대화를 위한 관련제도 검토
○ 동대문 지역 재래시장 활성화 사례 검토
○ 인천지역 재래시장의 현황 및 문제점
○ 재개발 전략의 적용이 가능한 시장 선정
○ 시설의 현대화 및 업태전환, 마케팅 전략의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 제시
연구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3 연구의 방법
1.4 연구의 범위
1.4.1 연구의 시간적.공간적 범위
1.4.2 연구의 내용적 범위
1.5 용어정의
1.5.1 유통산업발전법 상의 정의
1.5.2 소매업 주요 업태 개념
. 논의의 배경과 기초
2.1 변화된 환경 하에서의 재래시장의 위상과 방향
2.1.1 재래시장이 제공하는 사회적 편익
2.1.2 재래시장이 직면하고 있는 변화된 환경
2.1.3 지역적 차원에서 본 대형유통시설의 문제점
2.2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관련제도 고찰
2.2.1 재래시장의 재개발과 관련된 제도 고찰
2.2.2 유통산업발전법상의 지원사항
3. 인천광역시 재래시장의 여건 및 현황분석
3.1 인천광역시 상권분석
3.1.1 상권의 개념
3.1.2 생활권설정에 기초한 상권 분석
3.1.3 대형 유통업체의 입지와 인천광역시 상권
3.1.4 거주인구의 구매력 특성을 고려한 상권 잠재력
3.1.5 상권분석 종합
3.2 인천광역시 재래시장의 현황
3.2.1 인천광역시 재래시장의 물리적 현황개괄
3.2.2 인천광역시 재래시장의 운영현황 개괄
4. 시장별 경쟁력 제고 방향
4.1 개별재래시장 분석
4.1.1 중구소재 재래시장 현황
4.1.2 동구소재 재래시장 현황
4.1.3 남구소재 재래시장 현황
4.1.4 남동구 소재 재래시장 현황
4.1.5 부평구 소재 재래시장 현황
4.1.6 계양구 소재 재래시장 현황
4.1.7 서구 및 강화군 소재 재래시장 현황
4.2 재개발 가능시장 선정
4.3 업태전환 가능시장 선정
4.3.1 중앙대권
4.3.2 부평대권
4.3.3 서북부대권
4.3.4 주안.구월대권
4.3.5 종합
5.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적용가능 전략의 모색
5.1 동대문 상권 활성화 사례 고찰
5.1.1 동대문 상권 활성화의 동인
5.1.2 후발 재래시장이 채용할 수 있는 전략
5.2 시설의 물리적 개선전략
5.2.1 시장 재개발 사업의 실현을 위한 조건
5.2.2 부분적인 개보수 전략
5.3 운영 및 마케팅 전략을 통한 활성화 방안
5.3.1 일반사항
5.3.2 운영전략
5.3.3 마케팅
5.3.4 서비스
6. 공공부문으로부터의 행재정적 지원
6.1 시설개선을 위한 시차원의 재정적 지원
6.2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시 또는 구차원의 행정적 지원
6.2.1 시장인근 상점 및 무허가 노점상 대책
6.2.2 셔틀버스 운행
6.2.3 상거래 질서 확립
6.2.4 홈페이지 구축 지원
6.2.5 위생관리
7. 결론
7.1 요약
7.2 정책건의
7.2.1 물리적 측면의 정책제언
7.2.2 운영적 측면의 정책제언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3 연구의 방법
1.4 연구의 범위
1.4.1 연구의 시간적.공간적 범위
1.4.2 연구의 내용적 범위
1.5 용어정의
1.5.1 유통산업발전법 상의 정의
1.5.2 소매업 주요 업태 개념
. 논의의 배경과 기초
2.1 변화된 환경 하에서의 재래시장의 위상과 방향
2.1.1 재래시장이 제공하는 사회적 편익
2.1.2 재래시장이 직면하고 있는 변화된 환경
2.1.3 지역적 차원에서 본 대형유통시설의 문제점
2.2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관련제도 고찰
2.2.1 재래시장의 재개발과 관련된 제도 고찰
2.2.2 유통산업발전법상의 지원사항
3. 인천광역시 재래시장의 여건 및 현황분석
3.1 인천광역시 상권분석
3.1.1 상권의 개념
3.1.2 생활권설정에 기초한 상권 분석
3.1.3 대형 유통업체의 입지와 인천광역시 상권
3.1.4 거주인구의 구매력 특성을 고려한 상권 잠재력
3.1.5 상권분석 종합
3.2 인천광역시 재래시장의 현황
3.2.1 인천광역시 재래시장의 물리적 현황개괄
3.2.2 인천광역시 재래시장의 운영현황 개괄
4. 시장별 경쟁력 제고 방향
4.1 개별재래시장 분석
4.1.1 중구소재 재래시장 현황
4.1.2 동구소재 재래시장 현황
4.1.3 남구소재 재래시장 현황
4.1.4 남동구 소재 재래시장 현황
4.1.5 부평구 소재 재래시장 현황
4.1.6 계양구 소재 재래시장 현황
4.1.7 서구 및 강화군 소재 재래시장 현황
4.2 재개발 가능시장 선정
4.3 업태전환 가능시장 선정
4.3.1 중앙대권
4.3.2 부평대권
4.3.3 서북부대권
4.3.4 주안.구월대권
4.3.5 종합
5.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적용가능 전략의 모색
5.1 동대문 상권 활성화 사례 고찰
5.1.1 동대문 상권 활성화의 동인
5.1.2 후발 재래시장이 채용할 수 있는 전략
5.2 시설의 물리적 개선전략
5.2.1 시장 재개발 사업의 실현을 위한 조건
5.2.2 부분적인 개보수 전략
5.3 운영 및 마케팅 전략을 통한 활성화 방안
5.3.1 일반사항
5.3.2 운영전략
5.3.3 마케팅
5.3.4 서비스
6. 공공부문으로부터의 행재정적 지원
6.1 시설개선을 위한 시차원의 재정적 지원
6.2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시 또는 구차원의 행정적 지원
6.2.1 시장인근 상점 및 무허가 노점상 대책
6.2.2 셔틀버스 운행
6.2.3 상거래 질서 확립
6.2.4 홈페이지 구축 지원
6.2.5 위생관리
7. 결론
7.1 요약
7.2 정책건의
7.2.1 물리적 측면의 정책제언
7.2.2 운영적 측면의 정책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