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의 목적 및 내용]
2001년으로 예정된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이 1년 반 앞으로 다가왔다. 선행연구들은 국제공항의 개항이 공항소재 지역, 그리고 주변지역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고한다. 그 파급효과는 산업구조 및 노동시장의 변화, 관련산업으로의 전후방효과 등 경제효과와 함께 인구구조 및 도시구조의 변화와 같은 사회구조의 변화를 포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수년 내에 예상되는 급격한 변화를 맞아, 인천시가 그 변화에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임함으로써, 예상되는 諸파급효과를 지역발전의 동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기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연구의 시간적 범위가 개항 直前後(1999~2001)로 한정된 단기 정책과제이므로 즉각적인 실행이 가능한 전략의 구상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론부인 1장은 연구의 목적, 범위, 방법, 구성 등을 개괄한다. 2장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이 인천시에 미치는 지역개발효과를 잠재력과 문제점 차원에서 추정해보고, 공항이 위치한 영종․용유 지역, 인천 내륙부, 서울이라는 3개 지역체(localities) 간의 공간적 경쟁과 보완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인천이 견지해야할 정책적 방향의 시사점을 도출해 낸다. 2장에서는 또한 본 연구가 왜 연구의 기조를 ‘인천의 이미지 제고’ 에 맞추고 있는지를 인천과 유사한 지정학적 환경(geopolitical environment)에 위치하고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Oakland)의 예를 통해 설명하고, 이러한 토론에 기초해서 본 연구가 지향해야할 정책기조를 설정하도록 할 것이다. 3장에서는 개항의 파급효과가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종․용유 지역에서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과제를 총괄적으로 살펴본다.
4장 이후에서는 인천시 내륙부에 대한 대책이 주를 이룬다. 4장에서는 공항 이용자들의 집분산이 이루어지는 주요 결절지점에 대한 정비방안이 제시된다. 5장에서는 공항 이용자들의 예상 주이동로에 대한 교통체계의 개선과 시내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대책들이 수요관리 및 대중교통의 활성화 측면에서 제시된다. 6장에서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이 대기와 해양환경을 중심으로 토론된다. 7장에서는 개항을 전기로 인천의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단기방안이 유통업과 농업 측면에서 논의된다. 8장에서는 단기적으로 개항의 효과가 가장 크다고 판단되는 관광부문에 대한 총체적인 전략이 제시된다. 이러한 모든 구상들은 시민사회의 협조 없이는 실현이 어렵다고 할 수 있으므로, 9장에서는 개항의 홍보와 시민사회의 협조를 이끌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된다. 마지막으로 결론 장인 10장에서는 연구의 총괄적인 내용이 약술되고 장기적 관점에서의 정책적 함의가 검토된다.
2001년으로 예정된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이 1년 반 앞으로 다가왔다. 선행연구들은 국제공항의 개항이 공항소재 지역, 그리고 주변지역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고한다. 그 파급효과는 산업구조 및 노동시장의 변화, 관련산업으로의 전후방효과 등 경제효과와 함께 인구구조 및 도시구조의 변화와 같은 사회구조의 변화를 포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수년 내에 예상되는 급격한 변화를 맞아, 인천시가 그 변화에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임함으로써, 예상되는 諸파급효과를 지역발전의 동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기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연구의 시간적 범위가 개항 直前後(1999~2001)로 한정된 단기 정책과제이므로 즉각적인 실행이 가능한 전략의 구상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론부인 1장은 연구의 목적, 범위, 방법, 구성 등을 개괄한다. 2장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이 인천시에 미치는 지역개발효과를 잠재력과 문제점 차원에서 추정해보고, 공항이 위치한 영종․용유 지역, 인천 내륙부, 서울이라는 3개 지역체(localities) 간의 공간적 경쟁과 보완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인천이 견지해야할 정책적 방향의 시사점을 도출해 낸다. 2장에서는 또한 본 연구가 왜 연구의 기조를 ‘인천의 이미지 제고’ 에 맞추고 있는지를 인천과 유사한 지정학적 환경(geopolitical environment)에 위치하고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Oakland)의 예를 통해 설명하고, 이러한 토론에 기초해서 본 연구가 지향해야할 정책기조를 설정하도록 할 것이다. 3장에서는 개항의 파급효과가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종․용유 지역에서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과제를 총괄적으로 살펴본다.
4장 이후에서는 인천시 내륙부에 대한 대책이 주를 이룬다. 4장에서는 공항 이용자들의 집분산이 이루어지는 주요 결절지점에 대한 정비방안이 제시된다. 5장에서는 공항 이용자들의 예상 주이동로에 대한 교통체계의 개선과 시내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대책들이 수요관리 및 대중교통의 활성화 측면에서 제시된다. 6장에서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이 대기와 해양환경을 중심으로 토론된다. 7장에서는 개항을 전기로 인천의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단기방안이 유통업과 농업 측면에서 논의된다. 8장에서는 단기적으로 개항의 효과가 가장 크다고 판단되는 관광부문에 대한 총체적인 전략이 제시된다. 이러한 모든 구상들은 시민사회의 협조 없이는 실현이 어렵다고 할 수 있으므로, 9장에서는 개항의 홍보와 시민사회의 협조를 이끌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된다. 마지막으로 결론 장인 10장에서는 연구의 총괄적인 내용이 약술되고 장기적 관점에서의 정책적 함의가 검토된다.
연구목차
1. 서론
2. 인천국제공항 개항의 지역개발상의 함의
3. 개항을 대비한 영종.용유 지역의 정비대책
4. 도시정비
5. 교통체계개선
6. 환경대책
7. 산업발전 전략
8. 관광개발
9. 홍보 및 시민 캠페인
10. 결론: 장기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한 제언
2. 인천국제공항 개항의 지역개발상의 함의
3. 개항을 대비한 영종.용유 지역의 정비대책
4. 도시정비
5. 교통체계개선
6. 환경대책
7. 산업발전 전략
8. 관광개발
9. 홍보 및 시민 캠페인
10. 결론: 장기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한 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