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의 목적 및 내용]
현재 동북아시아의 각 국가에서는 각종 국제자유도시의 개발을 통하여 해외자본을 유치하려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화교자본은 홍콩이나 마카오의 반환과 함께 새로운 자본기지를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부응하여 인천광역시에서는 인천국제공항 등 새로운 중심지로서의 기반시설확충과 함께 송도신도시에 화교투자구역을 조성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이러한 것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첫째 화교투자구역의 개발방향에 대한 시민단체 및 관련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여 기본적인 개발방향 및 부지선정기준, 장래의 단지개발기준을 도출하고 화교투자구역의 조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원시책을 건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장에서는 인천의 국제화와 송도신도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화교투자구역의 필요성 및 송도신도시의 입지적 장점을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화교투자구역의 기본적인 개발목표를 제시하고 개발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단계이다. 4장에서는 화교투자구역의 개발기준을 선정하고, 5장에서는 앞에서 선정된 주요개발기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선호도의 조사방법은 정성적인 데이터를 정량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컨조인트분석(Conjoint Analysis)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부지매각단계의 최적컨셉 및 계획단계의 최적컨셉을 제시하였고 6장에서는 화교투자구역조성을 활성화하기 위한 몇가지의 지원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동북아시아의 각 국가에서는 각종 국제자유도시의 개발을 통하여 해외자본을 유치하려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화교자본은 홍콩이나 마카오의 반환과 함께 새로운 자본기지를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부응하여 인천광역시에서는 인천국제공항 등 새로운 중심지로서의 기반시설확충과 함께 송도신도시에 화교투자구역을 조성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이러한 것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첫째 화교투자구역의 개발방향에 대한 시민단체 및 관련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여 기본적인 개발방향 및 부지선정기준, 장래의 단지개발기준을 도출하고 화교투자구역의 조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원시책을 건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장에서는 인천의 국제화와 송도신도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화교투자구역의 필요성 및 송도신도시의 입지적 장점을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화교투자구역의 기본적인 개발목표를 제시하고 개발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단계이다. 4장에서는 화교투자구역의 개발기준을 선정하고, 5장에서는 앞에서 선정된 주요개발기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선호도의 조사방법은 정성적인 데이터를 정량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컨조인트분석(Conjoint Analysis)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부지매각단계의 최적컨셉 및 계획단계의 최적컨셉을 제시하였고 6장에서는 화교투자구역조성을 활성화하기 위한 몇가지의 지원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목차
1. 머리말
2. 화교자본유치와 송도화교투자구역
2.1 국제자본유치와 인천의 국제화
2.2 인천내 관련계획의 검토
2.2.1 인천광역시 도시공간계획
2.2.2 선린구역 화교촌 도심재개발계획
2.3 화교투자구역으로서의 송도신도시
3.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개발방향
3.1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조성목표
3.2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개발컨셉
3.3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세부추진방향
4.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주요개발기준
4.1 개요
4.2 부지선정기준
4.2.1 부지선정주체
4.2.2 부지매각시기
4.2.3 부지매각방법
4.3 입지기준
4.3.1 투자구역상권의 위계
4.3.2 주변경관의 유형
4.3.3 부지매각단가
4.3.4 투자구역의 전체 면적
4.3.5 부지형태
4.3.6 상권유형
4.3.7 화교자본과의 접근성
4.4 계획기준
4.4.1 단지내 도로구조
4.4.2 용도배치기준
4.4.3 우선배치용도
4.4.4 상업시설의 건축유형
4.4.5 주거시설의 건축유형
4.4.6 공원배치유형
4.4.7 단지전체의 경관특성
5. 개발기준별 선호도 분석
5.1 설문계획
5.1.1 분석방법
5.1.2 설문조사
5.2 설문결과 및 컨조인트분석
5.2.1 빈도분석
5.2.2 컨조인트분석
5.3 최적대안의 제시
5.3.1 부지선정기준의 제시
5.3.2 계획선정기준의 제시
6.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활성화 전략
6.1 경제적 활성화 지원방안
6.1.1 경제적 인센티브의 필요성
6.1.2 송도형 경제특구의 조성
6.2 물리적 활성화 지원방안
6.2.1 복합개발을 위한 제도정비
6.2.2 경관유지를 위한 주민협정 등의 시범구역 지정
6.2.3 모노레일 및 자전거로 설치를 통한 내부교통체계의 구축
6.3 사회적 활성화 지원방안
6.3.1 화교를 위한 각종 공공시설의 설치 및 행정요원 활용
6.3.2 화교융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행사의 개최
7. 정책건의
2. 화교자본유치와 송도화교투자구역
2.1 국제자본유치와 인천의 국제화
2.2 인천내 관련계획의 검토
2.2.1 인천광역시 도시공간계획
2.2.2 선린구역 화교촌 도심재개발계획
2.3 화교투자구역으로서의 송도신도시
3.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개발방향
3.1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조성목표
3.2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개발컨셉
3.3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세부추진방향
4.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주요개발기준
4.1 개요
4.2 부지선정기준
4.2.1 부지선정주체
4.2.2 부지매각시기
4.2.3 부지매각방법
4.3 입지기준
4.3.1 투자구역상권의 위계
4.3.2 주변경관의 유형
4.3.3 부지매각단가
4.3.4 투자구역의 전체 면적
4.3.5 부지형태
4.3.6 상권유형
4.3.7 화교자본과의 접근성
4.4 계획기준
4.4.1 단지내 도로구조
4.4.2 용도배치기준
4.4.3 우선배치용도
4.4.4 상업시설의 건축유형
4.4.5 주거시설의 건축유형
4.4.6 공원배치유형
4.4.7 단지전체의 경관특성
5. 개발기준별 선호도 분석
5.1 설문계획
5.1.1 분석방법
5.1.2 설문조사
5.2 설문결과 및 컨조인트분석
5.2.1 빈도분석
5.2.2 컨조인트분석
5.3 최적대안의 제시
5.3.1 부지선정기준의 제시
5.3.2 계획선정기준의 제시
6. 송도 화교투자구역의 활성화 전략
6.1 경제적 활성화 지원방안
6.1.1 경제적 인센티브의 필요성
6.1.2 송도형 경제특구의 조성
6.2 물리적 활성화 지원방안
6.2.1 복합개발을 위한 제도정비
6.2.2 경관유지를 위한 주민협정 등의 시범구역 지정
6.2.3 모노레일 및 자전거로 설치를 통한 내부교통체계의 구축
6.3 사회적 활성화 지원방안
6.3.1 화교를 위한 각종 공공시설의 설치 및 행정요원 활용
6.3.2 화교융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행사의 개최
7. 정책건의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