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 내용]
해안매립은 제한된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국토를 확장하며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토지수요에 대처하는 매력적인 개발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의 해안을 이용한 국토확장은 고려시대부터 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본격적인 것은 1960년대 공유수면에 대한 간척사업에서 시작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해안을 활용한 국토확장방법은 간척(干拓)과 매립(埋立)으로 나눌 수 있다. 간척은 근해의 간석지(干潟地) 또는 호소(湖沼)에 제방 축조 등 제반 공사를 시행하고 간만 차를 이용해서 내부의 물을 배제한 후 토지를 새롭게 창출하여 필요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농경지 또는 염전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계획으로 방조제 공사를 시행하여 일정 수역을 설정하고 방조제 내부의 물을 배제시켜 토지로 조성하여 사용하는 행위 등을 말한다. 매립은 다른 곳에서 토사 등의 물질을 인위적으로 운반해 와서 해안부에 투여하여 해면의 최고수위 이상으로 지반을 높이는 것으로서 항만, 공업단지 및 도시용지 등의 토지를 생성시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간척과 매립은 엄격히 따지면 구분되나 보통 매립은 간척의 한 부분으로 보고 있으며, 공유수면매립법에서는 매립으로 정의하고 있다.
간척과 매립은 서해안과 남해안의 개펄을 중심으로 이루어 져 왔다. 특히 인천광역시는 우리나라 개펄의 약 22.9%가 분포하고 있는 곳으로서 대규모 매립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최근에 조성되고 있는 해안매립지는 인천발전을 위한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대표 사례지로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및 배후도시, 송도신도시 등을 들 수 있으며 수도권쓰레기매립지 등 장기적으로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는 곳도 상당수 분포하고 있다.
이들 해안매립지가 추구하는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인 과제이며 그 중 핵심 내용은 자연환경의 복원 즉 녹지조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해안매립지는 해풍 및 염분의 영향, 준설토 등 매립토의 불량에 의한 취약한 인공 식재기반을 가지고 있는 관계로 일반 식재기반과는 다른 녹지조성 기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국내 연구사례는 매우 부족한 현실에 있다. 또한, 남동공단을 비롯한 공업단지, 항만, 영흥화력발전소 등이 해안매립지에 위치해 있거나 조성될 예정에 있는 바 이들 지역에서 발생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정화와 차단을 위한 녹지조성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 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개펄에서 이루어 지고 있는 해안매립은 해안지대의 대표적인 습지생태계를 파괴하는 등 환경․생태적 문제와 기존 해안 지역사회 붕괴 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매립재를 확보하기 위해 다른 생태계를 파괴하는 등 많은 사회적, 환경적, 윤리적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이미 이루어진 매립사업지에 인공적으로라도 생태적 다양성과 환경보전을 위한 녹지공간의 조성은 개펄생태계 파괴에 대한 최소한의 보상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천시 해안매립지를 대상으로 녹지조성지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천시 해안지역 식생구조 및 국외 매립지 사례 분석을 통해 인천시 매립지 특성에 맞는 녹지조성 기법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해안매립은 제한된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국토를 확장하며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토지수요에 대처하는 매력적인 개발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의 해안을 이용한 국토확장은 고려시대부터 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본격적인 것은 1960년대 공유수면에 대한 간척사업에서 시작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해안을 활용한 국토확장방법은 간척(干拓)과 매립(埋立)으로 나눌 수 있다. 간척은 근해의 간석지(干潟地) 또는 호소(湖沼)에 제방 축조 등 제반 공사를 시행하고 간만 차를 이용해서 내부의 물을 배제한 후 토지를 새롭게 창출하여 필요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농경지 또는 염전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계획으로 방조제 공사를 시행하여 일정 수역을 설정하고 방조제 내부의 물을 배제시켜 토지로 조성하여 사용하는 행위 등을 말한다. 매립은 다른 곳에서 토사 등의 물질을 인위적으로 운반해 와서 해안부에 투여하여 해면의 최고수위 이상으로 지반을 높이는 것으로서 항만, 공업단지 및 도시용지 등의 토지를 생성시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간척과 매립은 엄격히 따지면 구분되나 보통 매립은 간척의 한 부분으로 보고 있으며, 공유수면매립법에서는 매립으로 정의하고 있다.
간척과 매립은 서해안과 남해안의 개펄을 중심으로 이루어 져 왔다. 특히 인천광역시는 우리나라 개펄의 약 22.9%가 분포하고 있는 곳으로서 대규모 매립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최근에 조성되고 있는 해안매립지는 인천발전을 위한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대표 사례지로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및 배후도시, 송도신도시 등을 들 수 있으며 수도권쓰레기매립지 등 장기적으로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는 곳도 상당수 분포하고 있다.
이들 해안매립지가 추구하는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인 과제이며 그 중 핵심 내용은 자연환경의 복원 즉 녹지조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해안매립지는 해풍 및 염분의 영향, 준설토 등 매립토의 불량에 의한 취약한 인공 식재기반을 가지고 있는 관계로 일반 식재기반과는 다른 녹지조성 기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국내 연구사례는 매우 부족한 현실에 있다. 또한, 남동공단을 비롯한 공업단지, 항만, 영흥화력발전소 등이 해안매립지에 위치해 있거나 조성될 예정에 있는 바 이들 지역에서 발생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정화와 차단을 위한 녹지조성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 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개펄에서 이루어 지고 있는 해안매립은 해안지대의 대표적인 습지생태계를 파괴하는 등 환경․생태적 문제와 기존 해안 지역사회 붕괴 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매립재를 확보하기 위해 다른 생태계를 파괴하는 등 많은 사회적, 환경적, 윤리적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이미 이루어진 매립사업지에 인공적으로라도 생태적 다양성과 환경보전을 위한 녹지공간의 조성은 개펄생태계 파괴에 대한 최소한의 보상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천시 해안매립지를 대상으로 녹지조성지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천시 해안지역 식생구조 및 국외 매립지 사례 분석을 통해 인천시 매립지 특성에 맞는 녹지조성 기법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목차
1.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지
2.2. 조사항목 및 내용
2.2.1. 해안매립지 녹지조성지
2.2.2. 해안매립지 미이용지 및 해안자연림
3. 해안매립 현황과 문제점
3.1. 우리나라 해안 간척(매립)과 인천시 매립지 현황
3.1.1. 우리나라의 해안 간척(매립)
3.1.2. 인천시 매립지 현황
4. 해안매립지의 녹지 특성
4.1. 해안매립지 토양 특성
4.1.1. 준설토(해사) 매립지 토양
4.1.2. 산토 매립지 토양
4.1.3. 도시폐기물 매립지 토양
4.2. 대형중기에 의한 식재기반의 영향
4.2.1. 토양경도의 심화
4.2.2. 물고임 현상의 발생
4.3. 해안매립지의 미기상
4.4. 요 약
5. 인천시 해안매립지 녹지현황 분석
5.1. 인천시 기상 현황
5-2. 조사대상지별 식생구조 분석
5.2.1. 해안매립지 녹지
5.2.2. 해안매립지의 자연식생 활착지
5.2.3. 해안가 자연식생 및 인공식재림(방풍림) 구조
6. 해안매립지 녹지조성 기법
6.1. 식재기반 정비기법
6.1.1. 식재기반의 개념과 정비목적
6.1.2. 식재기반 정비 과정
6.1.3. 식재기반 정비공법
6.2. 식재기법
6.2.1. 식재 식물 종류의 선택
6.2.2. 식재 식물의 품질
6.2.3. 식재기술
6.2.4. 배식(配植)
6.2.5. 관리 방침
6.3. 해안매립지 친수생태공간의 조성
7. 결 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지
2.2. 조사항목 및 내용
2.2.1. 해안매립지 녹지조성지
2.2.2. 해안매립지 미이용지 및 해안자연림
3. 해안매립 현황과 문제점
3.1. 우리나라 해안 간척(매립)과 인천시 매립지 현황
3.1.1. 우리나라의 해안 간척(매립)
3.1.2. 인천시 매립지 현황
4. 해안매립지의 녹지 특성
4.1. 해안매립지 토양 특성
4.1.1. 준설토(해사) 매립지 토양
4.1.2. 산토 매립지 토양
4.1.3. 도시폐기물 매립지 토양
4.2. 대형중기에 의한 식재기반의 영향
4.2.1. 토양경도의 심화
4.2.2. 물고임 현상의 발생
4.3. 해안매립지의 미기상
4.4. 요 약
5. 인천시 해안매립지 녹지현황 분석
5.1. 인천시 기상 현황
5-2. 조사대상지별 식생구조 분석
5.2.1. 해안매립지 녹지
5.2.2. 해안매립지의 자연식생 활착지
5.2.3. 해안가 자연식생 및 인공식재림(방풍림) 구조
6. 해안매립지 녹지조성 기법
6.1. 식재기반 정비기법
6.1.1. 식재기반의 개념과 정비목적
6.1.2. 식재기반 정비 과정
6.1.3. 식재기반 정비공법
6.2. 식재기법
6.2.1. 식재 식물 종류의 선택
6.2.2. 식재 식물의 품질
6.2.3. 식재기술
6.2.4. 배식(配植)
6.2.5. 관리 방침
6.3. 해안매립지 친수생태공간의 조성
7. 결 론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