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 배경 및 목적]
인천 제조업의 산업구조는 중소규모의 제조업이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이 높고 첨단업종보다는 전통적인 가공조립업종이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이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나아가 중화학산업, 특히 기계산업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높은 비중으로 인해 기계산업의 구조고도화는 인천의 지식기반도시로의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인천의 기계산업은 중앙정부의 중화학공업화정책과 남동산업단지의 조성에 따라 지역내 상당한 정도의 집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지만 집적의 구체적 내용이 어떠하며, 나아가 기계산업 내부의 업종별 특성이 어떠한가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에 단순히 집적되어 있는 업체들이 보다 긴밀한 혁신연계를 가지면서 지역내에 착근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역시 아직까지는 잘 갖추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정한 산업 분야에서 상호 연계된 기업들과 지원기관들의 지리적 집중'(Porter 1998)으로 정의되는 산업집적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선 기업들은 투입요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지리적 영역 내에서의 긴밀한 인적 연계를 통해 정보의 흐름이 용이하게 된다.
그렇지만 만약 기존에 집적된 산업군을 대체하는 새로운 산업군의 형성이 부진한 상대에서 기존의 집적지가 지속적 혁신을 통해 경쟁우위를 유지하지 못한다면, 해당 지역은 해당 산업공동화와 이에 따르는 지역내 소득의 저하 및 고용불안이라는 심각한 상태에 직면하게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산업지구이론을 검토해 봄으로써 제조업 집적실태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프레임워크를 마련한 다음, 인천지역 기계제조업체의 지역 및 혁신관련 연계를 살펴봄으로써 인천지역 기계산업의 집적현황과 기술혁신 실태를 분석한다. 다음으로는 기계산업 내 대표적 업종 중의 하나인 공작기계산업의 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써 해당산업의 구체적인 집적과 혁신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지역 산업정책 수립과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한다.
인천 제조업의 산업구조는 중소규모의 제조업이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이 높고 첨단업종보다는 전통적인 가공조립업종이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이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나아가 중화학산업, 특히 기계산업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높은 비중으로 인해 기계산업의 구조고도화는 인천의 지식기반도시로의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인천의 기계산업은 중앙정부의 중화학공업화정책과 남동산업단지의 조성에 따라 지역내 상당한 정도의 집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지만 집적의 구체적 내용이 어떠하며, 나아가 기계산업 내부의 업종별 특성이 어떠한가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에 단순히 집적되어 있는 업체들이 보다 긴밀한 혁신연계를 가지면서 지역내에 착근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역시 아직까지는 잘 갖추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정한 산업 분야에서 상호 연계된 기업들과 지원기관들의 지리적 집중'(Porter 1998)으로 정의되는 산업집적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선 기업들은 투입요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지리적 영역 내에서의 긴밀한 인적 연계를 통해 정보의 흐름이 용이하게 된다.
그렇지만 만약 기존에 집적된 산업군을 대체하는 새로운 산업군의 형성이 부진한 상대에서 기존의 집적지가 지속적 혁신을 통해 경쟁우위를 유지하지 못한다면, 해당 지역은 해당 산업공동화와 이에 따르는 지역내 소득의 저하 및 고용불안이라는 심각한 상태에 직면하게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산업지구이론을 검토해 봄으로써 제조업 집적실태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프레임워크를 마련한 다음, 인천지역 기계제조업체의 지역 및 혁신관련 연계를 살펴봄으로써 인천지역 기계산업의 집적현황과 기술혁신 실태를 분석한다. 다음으로는 기계산업 내 대표적 업종 중의 하나인 공작기계산업의 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써 해당산업의 구체적인 집적과 혁신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지역 산업정책 수립과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한다.
연구목차
1. 서론
2. 산업지구의 유형과 산업집적지 형성의 의의
3. 인천의 기계산업
3.1 기계산업의 범위와 특성
3.1.1 기계산업의 범위와 개요
3.1.2 기계산업의 기술적 특성
3.2 인천지역 기계산업의 개황
3.3 인천지역 기계산업의 집적과 혁신
3.3.1 인천지역 기계산업의 지역 연계
3.3.2 인천지역 기계산업의 혁신활동
4. 인천지역 공작기계산업의 집적과 혁신
4.1 공작기계산업의 범위와 특성
4.1.1 공작기계산업의 범위와 산업특성
4.1.2 공작기계산업의 발전과정
4.1.2.1 공작기계산업의 태동(1945∼72)
4.1.2.2 산업기반의 형성(1973∼84)
4.1.2.3 공작기계산업의 성장(1985∼94)
4.1.2.4 공작기계산업의 도약과 위기(1995∼)
4.2 공작기계산업의 현황
4.2.1 우리나라 공작기계산업의 현황
4.2.2 인천지역 공작기계산업의 현황
4.3 인천지역 공작기계산업의 집적
4.3.1 부품조달 및 제품판매 관련 지역연계
4.3.2 지역연계와 경로의존성 - A사 및 B사의 사례
4.4 인천지역 공작기계산업의 혁신
5. 결론
6.1 요약 및 결론
6.2 향후 연구과제
2. 산업지구의 유형과 산업집적지 형성의 의의
3. 인천의 기계산업
3.1 기계산업의 범위와 특성
3.1.1 기계산업의 범위와 개요
3.1.2 기계산업의 기술적 특성
3.2 인천지역 기계산업의 개황
3.3 인천지역 기계산업의 집적과 혁신
3.3.1 인천지역 기계산업의 지역 연계
3.3.2 인천지역 기계산업의 혁신활동
4. 인천지역 공작기계산업의 집적과 혁신
4.1 공작기계산업의 범위와 특성
4.1.1 공작기계산업의 범위와 산업특성
4.1.2 공작기계산업의 발전과정
4.1.2.1 공작기계산업의 태동(1945∼72)
4.1.2.2 산업기반의 형성(1973∼84)
4.1.2.3 공작기계산업의 성장(1985∼94)
4.1.2.4 공작기계산업의 도약과 위기(1995∼)
4.2 공작기계산업의 현황
4.2.1 우리나라 공작기계산업의 현황
4.2.2 인천지역 공작기계산업의 현황
4.3 인천지역 공작기계산업의 집적
4.3.1 부품조달 및 제품판매 관련 지역연계
4.3.2 지역연계와 경로의존성 - A사 및 B사의 사례
4.4 인천지역 공작기계산업의 혁신
5. 결론
6.1 요약 및 결론
6.2 향후 연구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