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목적]
Klein & Rosenberg(1986)가 제시한 기술혁신의 chain-link 모형은 연구개발활동을 축으로 하여 기업내부의 각 조직과 기업외부의 고객, 수요기업, 대학·공공연구기관 및 각종 정부지원기관 등과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의해 기술혁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
이 chain-link 모형의 인식에 따라 OECD는 기업을 중심으로 한 과학기술 혁신 실태조사를 위한 분석틀을 개발한 바 있음.
본 연구에서는 이 분석틀의 기본 내용에 따라 인천지역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기업의 내부혁신역량(innovation dynamo), 기술 이전·흡수기능(transfer factors), 인력수급 및 자금수급실태로 구분한 다음, 기술혁신실태의 강점과 약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인천지역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의 기본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음.
Klein & Rosenberg(1986)가 제시한 기술혁신의 chain-link 모형은 연구개발활동을 축으로 하여 기업내부의 각 조직과 기업외부의 고객, 수요기업, 대학·공공연구기관 및 각종 정부지원기관 등과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의해 기술혁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
이 chain-link 모형의 인식에 따라 OECD는 기업을 중심으로 한 과학기술 혁신 실태조사를 위한 분석틀을 개발한 바 있음.
본 연구에서는 이 분석틀의 기본 내용에 따라 인천지역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기업의 내부혁신역량(innovation dynamo), 기술 이전·흡수기능(transfer factors), 인력수급 및 자금수급실태로 구분한 다음, 기술혁신실태의 강점과 약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인천지역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의 기본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음.
연구목차
1. 서론
2. 개념적 분석틀
2.1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의 주요 영역
2.1.1 환경
2.1.2 과학기술 기반
2.1.3 기술.지식.숙련의 이전(Transfer)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1.4 기업의 내부혁신역량(Innovation Dynamo)
2.2 과학기술혁신조사의 주요 내용
3. 인천지역의 과학기술 기반
3.1 과학기술인력
3.2 연구개발투자
3.3 연구시설 및 장비
3.4 과학기술 연구개발 지원 관련 기관 현황
3.4.1 송도테크노파크
3.4.2 국책연구센터
3.4.3 생산기술연구원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센터
3.4.4 인천기술지원센터협의회
4. 인천지역 기업의 기술혁신 실태분석
4.1 조사방법 및 내용
4.1.1 설문지 설계
4.1.2 표본 추출
4.1.3 설문 조사 및 입력
4.1.4 데이터 분석
4.2 인천지역 주요 산업의 개황
4.2.1 기계산업
4.2.2 전자.정보산업
4.2.3 화학산업
4.3 주요산업의 일반적 기술혁신 패턴
4.3.1 기계산업
4.3.2 전자.정보산업
4.3.3 화학산업
4.3.4 기계.정보.화학 산업 기술혁신패턴의 공통점과 차이점
4.4 조사대상기업의 기술혁신 실태 분석
4.4.1 내부 혁신역량(Innovation Dynamo)
4.4.2 기술 흡수.이전기능(Transfer Factors)
4.4.3 인력자원 수급
4.4.4 자금 수급
4.5 실태분석결과 요약
4.5.1 내부혁신역량(Innovation Dynamo)
4.5.2 기술흡수.이전기능(Transfer Factors)
4.5.3 인력자원 수급
4.5.4 자금수급
4.5.5 기술혁신의 장애요인
5. 결론 및 주요 정책적 시사점
5.1 결론
5.2 주요 정책적 시사점
2. 개념적 분석틀
2.1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의 주요 영역
2.1.1 환경
2.1.2 과학기술 기반
2.1.3 기술.지식.숙련의 이전(Transfer)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1.4 기업의 내부혁신역량(Innovation Dynamo)
2.2 과학기술혁신조사의 주요 내용
3. 인천지역의 과학기술 기반
3.1 과학기술인력
3.2 연구개발투자
3.3 연구시설 및 장비
3.4 과학기술 연구개발 지원 관련 기관 현황
3.4.1 송도테크노파크
3.4.2 국책연구센터
3.4.3 생산기술연구원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센터
3.4.4 인천기술지원센터협의회
4. 인천지역 기업의 기술혁신 실태분석
4.1 조사방법 및 내용
4.1.1 설문지 설계
4.1.2 표본 추출
4.1.3 설문 조사 및 입력
4.1.4 데이터 분석
4.2 인천지역 주요 산업의 개황
4.2.1 기계산업
4.2.2 전자.정보산업
4.2.3 화학산업
4.3 주요산업의 일반적 기술혁신 패턴
4.3.1 기계산업
4.3.2 전자.정보산업
4.3.3 화학산업
4.3.4 기계.정보.화학 산업 기술혁신패턴의 공통점과 차이점
4.4 조사대상기업의 기술혁신 실태 분석
4.4.1 내부 혁신역량(Innovation Dynamo)
4.4.2 기술 흡수.이전기능(Transfer Factors)
4.4.3 인력자원 수급
4.4.4 자금 수급
4.5 실태분석결과 요약
4.5.1 내부혁신역량(Innovation Dynamo)
4.5.2 기술흡수.이전기능(Transfer Factors)
4.5.3 인력자원 수급
4.5.4 자금수급
4.5.5 기술혁신의 장애요인
5. 결론 및 주요 정책적 시사점
5.1 결론
5.2 주요 정책적 시사점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