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ResearchRPT_201612020231259090.jpg

지역경제

인천지역 주요제조업 실태조사를 위한 기초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01

  • 연구기간

    2001.01.01 ~ 2001.12.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목적]

지역의 주력산업을 검출하고 이들 산업이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선 단기적으로 지역 내에서 특화되어 있는 산업군을 식별하고 이들 산업의 발전잠재력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이 보유한 발전잠재력이 개발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중·장기적으로 성장가능성이 있는 유망산업군을 검출해 내고 이들이 보다 손쉽게 지역에 착근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지역의 주력산업을 단기적으로는 특화산업, 중·장기적으로는 유망산업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지역의 주력산업 - 특화산업 및 유망산업 - 을 각각 입지계수·부가가치생산성·비교단위노동비용·지역할당효과 및 입지요인·산업연관요인·기술요인·정책요인 등을 통해 검출해 보았다.

우선 기존 제조업의 경우, 1997년 이전까지 지역에 특화되어 있던 상당수의 주력산업들이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성장잠재력을 상당부분 잠식당하고 지역 내에서 점하는 비중이 현격히 저하했다. 또 대부분의 산업들이 생산성 및 경쟁력 측면에서 매우 열등한 위치에 놓여 있다.

특히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은 지역적으로 특화되어 있으며 경쟁력도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지만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고용측면에서의 상대적 지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 많은 연구에서 인천의 특화산업으로 지적되어 왔던 목재 및 나무제품제조업은 1995년에 비해 오히려 생산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 산업이 향후에도 계속해서 인천의 주력산업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는 그리 낙관적이지는 않다.

결론적으로, 현재 인천지역에서 높은 비중을 점하고 있으면서 생산성 및 경쟁력을 일정 정도 지니고 있고 나아가 경제위기를 겪으면서도 성장잠재력을 잠식당하지 않은 산업은 조립금속제품제조업뿐이었다. 따라서 조립금속제품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 제조업의 기술능력제고를 통한 지역산업구조의 고도화가 매우 절실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으로 기존 연구에서 언급하고 있는 인천의 유망산업은 전자·정보통신산업, 메카트로닉스산업, 생물산업, 신소재산업, 그리고 환경산업이다. 그렇지만 이렇게 되면 산업연구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국형 지식기반제조업의 거의 모든 업종이 포함되기 때문에 유망산업 선정의 의의 자체가 희석될 우려가 있다. 유망산업 선정은 산업분류기준 상 보다 세분류된 소수의 업종으로 구체화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들 유망산업 중에서 생물산업 및 메카트로닉스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해 살펴보았다. 생물산업의 경우, 앞으로 송도지식정보산업단지에 준공 예정으로 있는 생물산업기술실용화센터를 중심으로 하여 생물관련 업체들이 집적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고, 인천과 대전을 잇는 생물산업 벨트의 구축방안 및 인천이 전문화함으로써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구체적 분야모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메카트로닉스산업의 경우, 남동공단을 중심으로 이미 집적되어 있는 메카트로닉스 부품 제조 중규모업체의 기술개발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술지원정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목차
1. 서론

2. 주력산업의 개념 및 분석방법론

2.1 인천경제와 주력산업

2.2 특화산업선정을 위한 분석방법론

2.2.1 입지계수(LQ : Locational Quotient)

2.2.2 비교노동생산성(CLP : Comparative Labor Productivity)

2.2.3 비교단위노동비용(CULC : Comparative Unit Labor Cost)

2.2.4 이전할당분석(Shift Share Analysis)

2.2.5 지역 간 산업연관분석(Inter-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2.3 유망산업의 선정

2.3.1 입지요인

2.3.2 산업연관요인

2.3.3 기술요인

2.3.4 정책요인

3. 인천지역 주력산업

3.1. 인천지역 유망산업 선정 관련 기존연구 검토

3.2 인천지역 기존 제조업의 특화, 생산성 그리고 성장

3.3 인천의 유망산업

3.3.1 인천광역시 과학기술지원사업의 새로운 전개

3.3.2 기선정 유망산업의 현황 및 전망

4. 산업실태 조사의 개요

4.1 조사대상 업체 모집단 작성

4.2 표준설문설계

4.3 인천 제조업 분석을 위한 설문설계

4.3.1 기업간 연계

4.3.2 지역간 연계

4.3.1 기술개발 현황

5. 결론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