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교통물류
인천광역시 교통혼잡완화를 위한 교통수요관리방안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02
- 연구기간
2002.01.01 ~ 2002.12.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목적]
o 교통수요를 조절·관리함으로써 도시교통혼잡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검토
o 지역별 교통수요 및 공급특성을 파악하여 적용 가능한 교통수요관리방안 제시
o 교통수요를 조절·관리함으로써 도시교통혼잡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검토
o 지역별 교통수요 및 공급특성을 파악하여 적용 가능한 교통수요관리방안 제시
연구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교통수요관리의 필요성
2.1 인천시 교통혼잡발생의 특성
2.1.1 교통혼잡발생실태
2.1.2 교통혼잡의 발생원인
2.1.2.1 인구 및 통행인구의 증가
2.1.2.2 자동차의 증가
2.1.2.3 자동차 1일 평균주행거리 감소폭 둔화
2.1.2.4 도시공간의 기능분화
2.1.2.5 교통수요 유발시설의 확산
2.2 인천시 교통정책의 회고
2.2.1 인천시 교통정책의 평가
2.2.1.1 인천시 교통정책의 추진과정
2.2.1.2 인천시 교통수요관리시책의 평가
2.2.2 국내외 주요도시의 교통수요관리정책 추진현황
2.2.3 해외도시의 교통수요관리정책 추진사례
2.3 인천시 교통부문 가용재원의 한계
2.3.1 교통부문 재정규모 전망
2.3.2 투자사업비 전망
2.3.3 재정대비 투자비 과부족
제3장 교통수요관리방안 도입여건 검토
3.1 교통수요관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
3.2 인천시민의 교통수단 선택행태
3.3 인천시민의 교통수요관리방안에 대한 의식조사
3.3.1 조사개요
3.3.2 조사대상자의 개인특성
3.3.2.1 성별
3.3.2.2 연령
3.3.2.3 승용차 보유유무
3.3.2.4 직업
3.3.2.5 개인소득
3.3.3 교통수요관리방안 의식조사
3.3.3.1 주이용 교통수단
3.3.3.2 교통혼잡정도 인지도
3.3.3.3 교통수요관리방안에 대한 승용차 이용여부
3.3.4 시사점
제4장 교통수요관리대상지역의 지정 및 관리방안
4.1 교통수요관리방안의 공간적 범위
4.1.1 교통혼잡대상지역 지정기준 검토
4.1.2 인천시 교통수요관리대상지역 선정
4.1.2.1 인천시 교통수요유발요인의 공간적 분포
4.1.2.2 수요관리 대상지역 선정
4.2 교통수요관리대안 선정
4.2.1 인천시 교통수요관리방안 7대 과제 선정
4.2.1.1 차량 10부제 시행
4.2.1.2 거주자 우선주차제 시행확대
4.2.1.3 기업체중심 교통수요관리 강화
4.2.1.4 주차요금정책 강화
4.2.1.5 도심혼잡통행료 부과
4.2.1.6 버스전용차로제 시행확대
4.2.1.7 인천교통방송 활성화
4.2.2 인천시 교통혼잡지역별 교통수요관리기법 적용가능성 검토
제5장 관련 법제도 검토
5.1 통행규제의 당위성 여부검토
5.2 교통수요관리방안과 관련된 도시교통정비촉진법 개정 내용
5.3 인천시 보완대책
5.3.1 수요관리대상지역 거주주민
5.3.2 규제대상 건물
5.3.3 방문자
5.3.4 통과교통
5.3.5 일반시민
제6장 결론 및 정책건의
제2장 교통수요관리의 필요성
2.1 인천시 교통혼잡발생의 특성
2.1.1 교통혼잡발생실태
2.1.2 교통혼잡의 발생원인
2.1.2.1 인구 및 통행인구의 증가
2.1.2.2 자동차의 증가
2.1.2.3 자동차 1일 평균주행거리 감소폭 둔화
2.1.2.4 도시공간의 기능분화
2.1.2.5 교통수요 유발시설의 확산
2.2 인천시 교통정책의 회고
2.2.1 인천시 교통정책의 평가
2.2.1.1 인천시 교통정책의 추진과정
2.2.1.2 인천시 교통수요관리시책의 평가
2.2.2 국내외 주요도시의 교통수요관리정책 추진현황
2.2.3 해외도시의 교통수요관리정책 추진사례
2.3 인천시 교통부문 가용재원의 한계
2.3.1 교통부문 재정규모 전망
2.3.2 투자사업비 전망
2.3.3 재정대비 투자비 과부족
제3장 교통수요관리방안 도입여건 검토
3.1 교통수요관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
3.2 인천시민의 교통수단 선택행태
3.3 인천시민의 교통수요관리방안에 대한 의식조사
3.3.1 조사개요
3.3.2 조사대상자의 개인특성
3.3.2.1 성별
3.3.2.2 연령
3.3.2.3 승용차 보유유무
3.3.2.4 직업
3.3.2.5 개인소득
3.3.3 교통수요관리방안 의식조사
3.3.3.1 주이용 교통수단
3.3.3.2 교통혼잡정도 인지도
3.3.3.3 교통수요관리방안에 대한 승용차 이용여부
3.3.4 시사점
제4장 교통수요관리대상지역의 지정 및 관리방안
4.1 교통수요관리방안의 공간적 범위
4.1.1 교통혼잡대상지역 지정기준 검토
4.1.2 인천시 교통수요관리대상지역 선정
4.1.2.1 인천시 교통수요유발요인의 공간적 분포
4.1.2.2 수요관리 대상지역 선정
4.2 교통수요관리대안 선정
4.2.1 인천시 교통수요관리방안 7대 과제 선정
4.2.1.1 차량 10부제 시행
4.2.1.2 거주자 우선주차제 시행확대
4.2.1.3 기업체중심 교통수요관리 강화
4.2.1.4 주차요금정책 강화
4.2.1.5 도심혼잡통행료 부과
4.2.1.6 버스전용차로제 시행확대
4.2.1.7 인천교통방송 활성화
4.2.2 인천시 교통혼잡지역별 교통수요관리기법 적용가능성 검토
제5장 관련 법제도 검토
5.1 통행규제의 당위성 여부검토
5.2 교통수요관리방안과 관련된 도시교통정비촉진법 개정 내용
5.3 인천시 보완대책
5.3.1 수요관리대상지역 거주주민
5.3.2 규제대상 건물
5.3.3 방문자
5.3.4 통과교통
5.3.5 일반시민
제6장 결론 및 정책건의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