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 목적]
본 연구의 기조는 관광객 유치를 통한 구도심 활성화에 있다. 구도심의 역사·문화적 장소성에 애정을 가지고, 깊이 이해하려는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한다. 이론적 토대는 '장소마케팅'이다. 구도심의 역사·문화적 장소성에 기반한 브랜드이미지 발굴 및 이와 연계된 통합적인 장소마케팅 전략 수단 제안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 및 범위]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관계자 면접, 구도심 방문실태에 대한 실증조사, 현장조사 등이다. 연구 대상으로서 구도심은 개항 이후 한국 근대사를 주도했던 자유공원 주변 지역으로 행정구역 상으로는 인천광역시 중구, 동구에 속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다음과 같다.
- 장소마케팅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인천 구도심 장소성 및 현재 실태 조사
- 인천 구도심 장소마케팅 여건 분석 및 과제 도출
- 인천 구도심 장소마케팅 전략 도출
* 구체적 행동계획 이전의 개괄적인 전략(broad strategy) 도출
본 연구의 기조는 관광객 유치를 통한 구도심 활성화에 있다. 구도심의 역사·문화적 장소성에 애정을 가지고, 깊이 이해하려는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한다. 이론적 토대는 '장소마케팅'이다. 구도심의 역사·문화적 장소성에 기반한 브랜드이미지 발굴 및 이와 연계된 통합적인 장소마케팅 전략 수단 제안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 및 범위]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관계자 면접, 구도심 방문실태에 대한 실증조사, 현장조사 등이다. 연구 대상으로서 구도심은 개항 이후 한국 근대사를 주도했던 자유공원 주변 지역으로 행정구역 상으로는 인천광역시 중구, 동구에 속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다음과 같다.
- 장소마케팅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인천 구도심 장소성 및 현재 실태 조사
- 인천 구도심 장소마케팅 여건 분석 및 과제 도출
- 인천 구도심 장소마케팅 전략 도출
* 구체적 행동계획 이전의 개괄적인 전략(broad strategy) 도출
연구목차
1. 서론
2. 장소마케팅에 대한 이론적 토대
2.1 장소마케팅 개념
2.2 장소마케팅 유형 및 목표
2.3 장소마케팅 표적 및 수단
2.4 장소마케팅 과정 및 추진전략
2.5 구도심 장소마케팅 의의 및 접근모형
3. 구도심 장소성과 실태
3.1 구도심 범위설정 및 시대별 특징
3.2 근대도시 인천 구도심의 장소성
3.3 구도심 역사.문화자원 현황
3.4 구도심 내 추진중인 정책사업 및 활동
3.5 구도심 방문실태 및 이미지 형성
4. 구도심 장소마케팅 추진 환경 및 과제
4.1 구도심 장소마케팅 추진 환경
4.2 구도심 장소마케팅 전략 요소별 과제
5. 구도심 장소마케팅 전략
5.1 구도심 장소마케팅 추진 목표 및 비전
5.2 핵심 이미지 및 타겟
5.3 전략포인트 육성 및 연계
5.4 다원적 채널을 통한 홍보
5.5 마케팅 추진조직 구축
6. 결론 및 정책건의
6.1 결론
6.2 정책건의
2. 장소마케팅에 대한 이론적 토대
2.1 장소마케팅 개념
2.2 장소마케팅 유형 및 목표
2.3 장소마케팅 표적 및 수단
2.4 장소마케팅 과정 및 추진전략
2.5 구도심 장소마케팅 의의 및 접근모형
3. 구도심 장소성과 실태
3.1 구도심 범위설정 및 시대별 특징
3.2 근대도시 인천 구도심의 장소성
3.3 구도심 역사.문화자원 현황
3.4 구도심 내 추진중인 정책사업 및 활동
3.5 구도심 방문실태 및 이미지 형성
4. 구도심 장소마케팅 추진 환경 및 과제
4.1 구도심 장소마케팅 추진 환경
4.2 구도심 장소마케팅 전략 요소별 과제
5. 구도심 장소마케팅 전략
5.1 구도심 장소마케팅 추진 목표 및 비전
5.2 핵심 이미지 및 타겟
5.3 전략포인트 육성 및 연계
5.4 다원적 채널을 통한 홍보
5.5 마케팅 추진조직 구축
6. 결론 및 정책건의
6.1 결론
6.2 정책건의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