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교육복지
인천 10대 가출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02
- 연구기간
2002.01.01 ~ 2002.12.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0대 소녀들의 성을 사고파는 왜곡된 성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출 청소녀의 성매매 가능성은 훨씬 높아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성매매여성의 91.6%가 가출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가출 청소녀의 경우 가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향락업소에 취직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가출한 10 대 청소녀들은 무엇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현재 그들에게 제공되는 사회적 서비스의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10대 가출 여자청소년에 대한 정책적 지원방안이 필요하다는 문제인식 하에 이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가출과 가출 이후에 필요한 사회적 지원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내용은 인천의 10대 현황을 개괄하고, 설문지를 통해 가출과 아르바이트, 성매매 등에 대한 10대 청소녀들의 의식을 조사하고, 인천 지역사회내에서 10대 청소녀들에게 제공되는 관련정책, 예산, 지원체계, 민간자원 등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10대 가출소녀 당사자에 대한 접근성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에서의 상황과 실태 및 욕구에 근거한 사회적 지원방안 마련을 위하여 10대 가출, 아르바이트, 성매매 등의 관련 사업에 참여한 현장 실무자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10대 소녀들의 성을 사고파는 왜곡된 성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출 청소녀의 성매매 가능성은 훨씬 높아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성매매여성의 91.6%가 가출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가출 청소녀의 경우 가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향락업소에 취직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가출한 10 대 청소녀들은 무엇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현재 그들에게 제공되는 사회적 서비스의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10대 가출 여자청소년에 대한 정책적 지원방안이 필요하다는 문제인식 하에 이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가출과 가출 이후에 필요한 사회적 지원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내용은 인천의 10대 현황을 개괄하고, 설문지를 통해 가출과 아르바이트, 성매매 등에 대한 10대 청소녀들의 의식을 조사하고, 인천 지역사회내에서 10대 청소녀들에게 제공되는 관련정책, 예산, 지원체계, 민간자원 등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10대 가출소녀 당사자에 대한 접근성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에서의 상황과 실태 및 욕구에 근거한 사회적 지원방안 마련을 위하여 10대 가출, 아르바이트, 성매매 등의 관련 사업에 참여한 현장 실무자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연구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개념 분석
2.1.1 10대 혹은 청소년의 범위
2.1.2 청소녀
2.1.3 청소년 가출
2.1.4 연소자 근로
2.1.5 청소년성매매 혹은 원조교제
2.2 가출과 10대 청소녀의 성매매
2.3 청소년의 노동권
2.4 연구모델
3. 10대의 가출, 아르바이트, 그리고 성매매 현황
3.1 인천 청소년인구 현황
3.1.1 인천 청소년 인구
3.1.2 인천 중고등학교 및 학생 현황
3.2 가출여자청소년 현황
3.2.1 가출청소년 규모 및 추이
3.2.2 인천의 가출여자청소년 규모
3.3 10대 아르바이트 현황
3.3.1 10대 아르바이트 경험률
3.3.2 10대 아르바이트 실태
3.4 여자청소년의 성매매 현황
3.4.1 청소년 성매매 관련 현황
3.4.2 인천의 성매매 현황
3.4.3 인천의 청소년 유해업소 현황 및 청소년 유해환경 지수
4. 인천 10대의 가출, 아르바이트, 성매매에 대한 의식
4.1 조사 개요
4.2 가출 경험 및 의식
4.2.1 가출 경험도
4.2.2 가출에 대한 태도 및 동기
4.2.3 가출 청소년 실태
4.3 아르바이트에 대한 태도와 경험
4.3.1 아르바이트에 대한 의식
4.3.2 아르바이트 경험과 실태
4.4 청소년 성매매에 대한 의식 및 태도
4.4.1 성매매에 대한 태도
4.4.2 성교육 및 상담지원
5. 10대 가출 청소녀에 대한 사회적 지원 현황
5.1 인천시의 여자청소년정책
5.1.1 인천청소년정책 현황과 문제점
5.1.2 인천 청소년관련 시설
5.2 인천의 가출청소년 쉼터 현황
5.2.1 쉼터
5.2.2 인천시 관내 쉼터의 운영 상황
5.2.3 쉼터 입소자 현황
5.3 인천 10대 가출청소녀를 위한 지원체계
5.3.1 청소녀들의 가출 충동과 욕구
5.3.2 가출청소녀들의 유흥업소 아르바이트
5.3.3 가출청소녀의 경로와 지원관련 기관
5.3.4 (가출)청소녀의 일과 성매매
6. 정책적 제언
6.1 여자청소년정책의 수립
6.1.1 10대청소녀에 대한 정책적 관심
6.1.2 교육현장과 기타 지원기관의 청소녀대책
6.2 쉼터 활성화와 가출청소녀 지원센터 신설
6.2.1 쉼터의 활성화
6.2.2 가출청소녀지원센터(가칭 1318센터) 신설
2. 이론적 배경
2.1 개념 분석
2.1.1 10대 혹은 청소년의 범위
2.1.2 청소녀
2.1.3 청소년 가출
2.1.4 연소자 근로
2.1.5 청소년성매매 혹은 원조교제
2.2 가출과 10대 청소녀의 성매매
2.3 청소년의 노동권
2.4 연구모델
3. 10대의 가출, 아르바이트, 그리고 성매매 현황
3.1 인천 청소년인구 현황
3.1.1 인천 청소년 인구
3.1.2 인천 중고등학교 및 학생 현황
3.2 가출여자청소년 현황
3.2.1 가출청소년 규모 및 추이
3.2.2 인천의 가출여자청소년 규모
3.3 10대 아르바이트 현황
3.3.1 10대 아르바이트 경험률
3.3.2 10대 아르바이트 실태
3.4 여자청소년의 성매매 현황
3.4.1 청소년 성매매 관련 현황
3.4.2 인천의 성매매 현황
3.4.3 인천의 청소년 유해업소 현황 및 청소년 유해환경 지수
4. 인천 10대의 가출, 아르바이트, 성매매에 대한 의식
4.1 조사 개요
4.2 가출 경험 및 의식
4.2.1 가출 경험도
4.2.2 가출에 대한 태도 및 동기
4.2.3 가출 청소년 실태
4.3 아르바이트에 대한 태도와 경험
4.3.1 아르바이트에 대한 의식
4.3.2 아르바이트 경험과 실태
4.4 청소년 성매매에 대한 의식 및 태도
4.4.1 성매매에 대한 태도
4.4.2 성교육 및 상담지원
5. 10대 가출 청소녀에 대한 사회적 지원 현황
5.1 인천시의 여자청소년정책
5.1.1 인천청소년정책 현황과 문제점
5.1.2 인천 청소년관련 시설
5.2 인천의 가출청소년 쉼터 현황
5.2.1 쉼터
5.2.2 인천시 관내 쉼터의 운영 상황
5.2.3 쉼터 입소자 현황
5.3 인천 10대 가출청소녀를 위한 지원체계
5.3.1 청소녀들의 가출 충동과 욕구
5.3.2 가출청소녀들의 유흥업소 아르바이트
5.3.3 가출청소녀의 경로와 지원관련 기관
5.3.4 (가출)청소녀의 일과 성매매
6. 정책적 제언
6.1 여자청소년정책의 수립
6.1.1 10대청소녀에 대한 정책적 관심
6.1.2 교육현장과 기타 지원기관의 청소녀대책
6.2 쉼터 활성화와 가출청소녀 지원센터 신설
6.2.1 쉼터의 활성화
6.2.2 가출청소녀지원센터(가칭 1318센터) 신설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