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20191015_164110.jpg

교통물류

구도심 버스정류장 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03

  • 연구기간

    2003.03.01 ~ 2003.05.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소음은 소득수준이 향상되어 생활환경에 대한 가치가 높아지면서 중요한 환경공해의 하나로 대두되었고, 간선도로 연도 주민들에게 가장 관심이 깊은 환경문제의 하나다.

○ 인천시의 경우에도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와 도로 주변의 주택 건설 등으로 교통소음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1998년도에 3건에 불과하던 교통소음 관련 민원은 1999년에 13건으로 증가하였고, 2000년에는 17건, 2001년에는 29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도로교통소음은 주택이나 토지의 가격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OECD에서 발표한 자료에서는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소음에 폭로되는 주택은 1 ㏈(A)당 0.5%씩 집값이 하락하고, 부산시에서는 환경소음도가 1 ㏈(A) 증가하면 지가가 0.63% 하락하고, 서울 대도시권에서는 소음 1 ㏈(A)증가하면 주택가격은 평균 85만원 하락한다.

○ 도로교통소음은 인체에 직접 영향을 미쳐서, 난청, 불쾌감, 수면장애 등을 유발한다.

○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도로교통소음 피해 방지를 위한 노력이 미흡하다. 인천시의 2002년 환경 관련 예산 2,191억 9,300만원 중 도로변 소음 저감을 위한 예산은 3억 2,900만원으로 전체 환경 관련 예산의 0.15%에 불과하다.

○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인천시내 구도심의 간선도로변 도로교통소음의 실태를 조사하여 도로교통소음에 노출되고 있는 인구의 비율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행정구역 내에서 구도심에 해당하는 중구와 동구 그리고 남구를 연구의 공간적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행정구역에 속해 있는 35개 간선도로의 118개 구간을 소음 측정의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목차
Ⅰ. 서론

Ⅱ. 버스정류장의 현황과 문제점

1. 버스 정류장 현황

2. 버스 정류장의 문제점

1) 정류장 위치의 부적절

2) 정류장 용량의 과부족

3) 정류장 대기 공간의 과부족

4) 정류장 시설의 낙후

5) 운영상의 문제

6) 관리상의 문제

Ⅲ. 버스 정류장에 대한 시민의식 조사

1. 조사의 개요

2. 조사자 특성

3. 시내버스 이용도

4. 시내버스 서비스 질 평가

5. 버스 정류장 시설 평가

6. 버스 정류장에 대한 요구

Ⅳ. 버스정류장 개선 방안

1. 개선 방향

2. 시설측면의 개선 방안

1) 정류장의 위치 조정

2) 정류장의 규모 조정

3) shelter 설치

4) bench 설치

5) 각종 정보 제공

6) 버스의 정위치 정차를 위한 시설 개선

1. 제도측면의 개선 방안

1) 버스 정류장 내 불법 주정차 상시 단속

2) 정류장 관리의 효율화

3) 버스 정류장 설치 및 유지관리 조례 제정

Ⅴ. 결론 및 정책건의

1. 결론

2. 정책 제언

[부록 1 - 외국의 정류장 사례]

[부록 2 - 국내의 정류장 사례]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