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의 목적 및 배경]
○ 교통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욕구가 증대하고 있고,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교통정보 사업을 시행중 도로의 건설이나 정비와 동시에 기존 시설물을 최대한 활용하여 도로의 교통혼잡을 완화할 필요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경로 전환 행태 모형을 구축하고, 운전자들이 경로를 선택할 때 형성하는 주관적 『기대』를 바탕으로 교통정보가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교통혼잡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 교통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욕구가 증대하고 있고,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교통정보 사업을 시행중 도로의 건설이나 정비와 동시에 기존 시설물을 최대한 활용하여 도로의 교통혼잡을 완화할 필요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경로 전환 행태 모형을 구축하고, 운전자들이 경로를 선택할 때 형성하는 주관적 『기대』를 바탕으로 교통정보가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교통혼잡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연구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기대형성가설
1. 기대형성가설의 필요성
2. 전통적 기대가설
3. 합리적 기대가설
4. 운전자의 합리적 기대 모형화
제2절 베이지안 학습 법칙
제3장 운전자의 경로 전환 모형 구축
제1절 실험 환경
1. 모형 구축 대상 도로
2. 모형 구축을 위한 가정
3. 조사
제2절 모형 구축 결과
1. 설명변수 선정
2. 경로 전환 모형의 추정
3. 모형 추정 결과
제3절 정보 내용별 모형 추정
1. 단순 유고 정보
2. 지체정도 정보
3. 우회지시 정보
제4장 교통정보를 이용한 혼잡 완화 방안
제1절 교통정보의 역효과
제2절 운전자의 경로 선택과 학습 행동
1. 운전자의 경로선택 행동과 기대 형성
2. 운전자 학습행동의 모델링
제3절 시뮬레이션
1. 시뮬레이션 방법
2. 시뮬레이션 결과
제4절 실제 네트워크 적용
1. 실험 대상 네트워크
2. 실험 방법
3. 분석 결과
제5장 결론 및 정책 건의
제1절 결론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2. 운전자 경로 전환 행태 모형 구축 결과
3. 교통정보를 이용한 혼잡 완화 방안
제2절 정책 건의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기대형성가설
1. 기대형성가설의 필요성
2. 전통적 기대가설
3. 합리적 기대가설
4. 운전자의 합리적 기대 모형화
제2절 베이지안 학습 법칙
제3장 운전자의 경로 전환 모형 구축
제1절 실험 환경
1. 모형 구축 대상 도로
2. 모형 구축을 위한 가정
3. 조사
제2절 모형 구축 결과
1. 설명변수 선정
2. 경로 전환 모형의 추정
3. 모형 추정 결과
제3절 정보 내용별 모형 추정
1. 단순 유고 정보
2. 지체정도 정보
3. 우회지시 정보
제4장 교통정보를 이용한 혼잡 완화 방안
제1절 교통정보의 역효과
제2절 운전자의 경로 선택과 학습 행동
1. 운전자의 경로선택 행동과 기대 형성
2. 운전자 학습행동의 모델링
제3절 시뮬레이션
1. 시뮬레이션 방법
2. 시뮬레이션 결과
제4절 실제 네트워크 적용
1. 실험 대상 네트워크
2. 실험 방법
3. 분석 결과
제5장 결론 및 정책 건의
제1절 결론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2. 운전자 경로 전환 행태 모형 구축 결과
3. 교통정보를 이용한 혼잡 완화 방안
제2절 정책 건의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