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교통물류
한·중 화물수송을 중심으로 한 인천국제공항의 기능과 역할
- 연구자
- 발행년도
2004
- 연구기간
2004.02.01 ~ 2004.07.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배경 및 목적]
○ 세계 항공화물운송실적은 1997년~2002년까지 5년간 연평균 2.74%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이 중 국제선 운송실적은 연평균 3.36%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 동 기간동안 아․태지역의 항공화물운송시장은 연평균 3.07%의 성장하여 국제선 운송실적 연평균 성장률에 다소 못 미치고 있으나, 이는 1997년 아시아지역 금융위기와 2001년의 9.11 항공기 테러사건의 영향으로 인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향후 2020년까지 아․태지역은 세계 항공화물운송시장의 43%인 연간 4천 억불 규모로 성장하여 북미지역에 이어 두 번째 큰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특히, 중국은 연평균 7%~10%의 경제성장을 토대로 1997년~2002년까지 5년간 국제항공화물운송실적에서 연평균 약 15.36%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 이러한 아․태지역 항공화물운송시장의 성장과 장래 전망에 따라 동북아지역 각국은 거점공항의 역할을 선점하기 위하여 대규모 공항시설투자를 벌이는 등 치열한 경쟁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 항공화물운송시장의 환경변화에 부응하여 우리나라도 21세기 동북아지역 중심국가로의 도약을 지향하고 있고, 특히, 동북아지역 물류중심국 전략추진은 국정목표로 설정되어 있는 중요과제이기도 하다.
○ 이러한 맥락 하에 본 연구는 동북아지역 항공화물중심지로서의 인천국제공항의 기능과 역할을 중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양국 주요 공항간 물동량을 파악하고, 중국의 잠재력을 고려하여 향후 동북아지역에서 물류중심공항으로서의 인천국제공항이 경쟁력 있는 공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세계 항공화물운송실적은 1997년~2002년까지 5년간 연평균 2.74%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이 중 국제선 운송실적은 연평균 3.36%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 동 기간동안 아․태지역의 항공화물운송시장은 연평균 3.07%의 성장하여 국제선 운송실적 연평균 성장률에 다소 못 미치고 있으나, 이는 1997년 아시아지역 금융위기와 2001년의 9.11 항공기 테러사건의 영향으로 인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향후 2020년까지 아․태지역은 세계 항공화물운송시장의 43%인 연간 4천 억불 규모로 성장하여 북미지역에 이어 두 번째 큰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특히, 중국은 연평균 7%~10%의 경제성장을 토대로 1997년~2002년까지 5년간 국제항공화물운송실적에서 연평균 약 15.36%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 이러한 아․태지역 항공화물운송시장의 성장과 장래 전망에 따라 동북아지역 각국은 거점공항의 역할을 선점하기 위하여 대규모 공항시설투자를 벌이는 등 치열한 경쟁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 항공화물운송시장의 환경변화에 부응하여 우리나라도 21세기 동북아지역 중심국가로의 도약을 지향하고 있고, 특히, 동북아지역 물류중심국 전략추진은 국정목표로 설정되어 있는 중요과제이기도 하다.
○ 이러한 맥락 하에 본 연구는 동북아지역 항공화물중심지로서의 인천국제공항의 기능과 역할을 중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양국 주요 공항간 물동량을 파악하고, 중국의 잠재력을 고려하여 향후 동북아지역에서 물류중심공항으로서의 인천국제공항이 경쟁력 있는 공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