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목적]
하수처리장, 배수지, 정수장 등의 도시기반시설을 대상으로 녹화를 하거나 공원과 같이 활용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함.
[주요 연구내용]
- 서울시 등 우수 사례지 답사하여 각 시설 유형별 장단점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인천시의 도시기반시설에 대한 현황조사 및 활용실태분석 : 환경관련 기반시설의 접근성 및 이용성 분석
- 도시기반시설의 활용에 따른 문제점 및 한계점, 제약요소 분석 : 도시기반시설을 건설하는 계획단계에서 부터의 공원화지침이나 기준에 대한 정책제안
- 도시기반시설 활용․활성화 방안 도출
하수처리장, 배수지, 정수장 등의 도시기반시설을 대상으로 녹화를 하거나 공원과 같이 활용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함.
[주요 연구내용]
- 서울시 등 우수 사례지 답사하여 각 시설 유형별 장단점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인천시의 도시기반시설에 대한 현황조사 및 활용실태분석 : 환경관련 기반시설의 접근성 및 이용성 분석
- 도시기반시설의 활용에 따른 문제점 및 한계점, 제약요소 분석 : 도시기반시설을 건설하는 계획단계에서 부터의 공원화지침이나 기준에 대한 정책제안
- 도시기반시설 활용․활성화 방안 도출
연구목차
제2장 국내·외 사례분석
제1절 국내사례
1. 정수장
2. 배수지
3. 하수처리장
제2절 국외사례
1. 영국사례
2. 일본사례
제3장 인천광역시 환경관련 도시기반시설 조성 및 이용현황 분석
제1절 외부공간 조성현황 분석
1. 정수장
2. 배수지
3. 하수처리장
제2절 이용현황 분석
1. 정수장(공촌정수사업소)
2. 배수지
3. 하수처리장(승기사업소)
제3절 분석 종합
제4장 대상지별 개선방안
제1절 정수장
1. 공촌정수사업소
2. 부평정수사업소
제2절 배수지
1. 문학배수지
2. 수봉1배수지
3. 수봉2배수지
4. 연수배수지
5. 장수배수지
6. 부평2배수지
7. 검단배수지
제3절 하수처리장
1. 승기사업소
2. 가좌사업소
3. 공촌지소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안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제안
[부록 1] 수도시설의 세부 시설기준 일부
[부록 2] 조경공사에 관한 사항
[부록 3] 국가중요시설에 관한 법
[부록 4] 하수도의 설치기준
제1절 국내사례
1. 정수장
2. 배수지
3. 하수처리장
제2절 국외사례
1. 영국사례
2. 일본사례
제3장 인천광역시 환경관련 도시기반시설 조성 및 이용현황 분석
제1절 외부공간 조성현황 분석
1. 정수장
2. 배수지
3. 하수처리장
제2절 이용현황 분석
1. 정수장(공촌정수사업소)
2. 배수지
3. 하수처리장(승기사업소)
제3절 분석 종합
제4장 대상지별 개선방안
제1절 정수장
1. 공촌정수사업소
2. 부평정수사업소
제2절 배수지
1. 문학배수지
2. 수봉1배수지
3. 수봉2배수지
4. 연수배수지
5. 장수배수지
6. 부평2배수지
7. 검단배수지
제3절 하수처리장
1. 승기사업소
2. 가좌사업소
3. 공촌지소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안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제안
[부록 1] 수도시설의 세부 시설기준 일부
[부록 2] 조경공사에 관한 사항
[부록 3] 국가중요시설에 관한 법
[부록 4] 하수도의 설치기준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