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에너지절약형 도시만들기 구상과 전략의 결과 중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부분의 선진 사례를 검토하여 인천시 신개축 건물의 에너지 절감 기준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인천시 친환경 건축 기준을 작성하고 공공건축물 친환경기준 의무화 방안 및 현행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함.
본 연구는 에너지절약형 도시만들기 구상과 전략의 결과 중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부분의 선진 사례를 검토하여 인천시 신개축 건물의 에너지 절감 기준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인천시 친환경 건축 기준을 작성하고 공공건축물 친환경기준 의무화 방안 및 현행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함.
연구목차
Ⅱ. 인천시 건축물 관련 제도 및 시책
1. 인천시 건축물 관련 조례
2. 인천시 건축물 관련 시책
Ⅲ. 국내·외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 관련 제도
1. 국외
1.1 미국
1.2 영국
1.3 캐나다
1.4 일본
2. 국내
2.1 친환경인증제도
2.2 건물에너지성능인증제도
2.3 주택성능표시제도
2.4 친환경건축물 인센티브 제도
2.5 건축법 조경부분 관련법
3. 국내·외 에너지 제도 관련 시사점
Ⅳ. 인천시 친환경·에너지 절약형 건축물 만들기 기준안
1. 제도개선 기본방향
2. 제도개선방안
3. 재원확보방안
4. 조직정비관련
5. 제도활용방안
[별첨 1 :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사례]
[별첨 2 :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세부시행지침 ]
[별첨 3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1. 인천시 건축물 관련 조례
2. 인천시 건축물 관련 시책
Ⅲ. 국내·외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 관련 제도
1. 국외
1.1 미국
1.2 영국
1.3 캐나다
1.4 일본
2. 국내
2.1 친환경인증제도
2.2 건물에너지성능인증제도
2.3 주택성능표시제도
2.4 친환경건축물 인센티브 제도
2.5 건축법 조경부분 관련법
3. 국내·외 에너지 제도 관련 시사점
Ⅳ. 인천시 친환경·에너지 절약형 건축물 만들기 기준안
1. 제도개선 기본방향
2. 제도개선방안
3. 재원확보방안
4. 조직정비관련
5. 제도활용방안
[별첨 1 :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사례]
[별첨 2 :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세부시행지침 ]
[별첨 3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