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목적]
인천시가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공간적, 사회적으로 형성된 다국적ㆍ외국인 커뮤니티와 공간을 다문화 자원으로서 재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다문화 자원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인천의 글로벌화를 위한 핵심 자원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선행연구 검토 및 유형구분
- 인천시 다문화 자원의 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 도시내 다문화 공간 육성·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 정책적 시사점 도출
인천시가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공간적, 사회적으로 형성된 다국적ㆍ외국인 커뮤니티와 공간을 다문화 자원으로서 재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다문화 자원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인천의 글로벌화를 위한 핵심 자원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선행연구 검토 및 유형구분
- 인천시 다문화 자원의 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 도시내 다문화 공간 육성·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 정책적 시사점 도출
연구목차
목차
제2장 개념 연구
제1절 다문화 정책의 최근 이슈
1. 외국인의 세분화
2. 도시공간 분화
제2절 개념 연구
1. 기존개념
1) ‘이산마을’
2) ‘이민족 구역’
2. 새로운 이주민 영역에 대한 개념
1) ‘트랜스-로컬리티’
2) ‘다문화 공간’ 개념
제3장 다국적 다문화 도시로서 인천시의 역사성
제1절 다국적 공간유산
제2절 역사적 소수민족
1. 각국공동조계지와 차이나타운
2. 화교와 중국계 이주민
제3절 화교 및 차이나타운의 재조명
제4장 인천시의 다문화 현황 및 공간적 특성
제1절 다문화 도시로서 인천시의 위치
1. 16대 시도별 외국인 현황
2. 전국 외국인 밀집지역 현황
제2절 인천지역 다문화 현황 및 공간적 특성
1. 이주민의 공간적 분포와 및 특성
1) 고용-거주 현황 및 공간적 분포
2) 이주자 유형 및 이주자 밀집지역
2. 도시공간의 분화 현황 및 특성
1) 지역별 이주민의 밀집과 분포
2) 출신국별 지역분화와 특성
3. 다문화 요소의 공간적 분포 및 특성
1) 종교, 음식
2) 언어, 문화원, 학교
3) 문화예술,교류,축제
제5장 사례 연구
제1절 서울시 : ‘글로벌 존’ 사례 및 시사점
제2절 안산시 : 원곡동 ‘국경없는 마을’ 사례 및 시사점
제6장 요약 및 정책 시사점
제1절 요약
1. 이주사회의 형성
2. 인천은 역사적인 다문화 도시
3. 이주민의 유형 및 분포 특성
4. 이주민의 지역적 분화
5. 지역내 다문화 요소의 형성
6. 타문화 인정 및 공존의 강화
제2절 시사점
1. 다문화요소에 대한 문화적 접근 필요
2. 이주자들의 공간 미분화
3. 이주자들을 위한 문화적 환경 구축
제3절 정책제언
1. ‘다문화 인정과 공존’ 프로그램 추진
2. 외국인을 위한 공식 홈페이지의 ‘다국어화’ 추진
3. 이주민 거주공간의 정상화 추진
〔부록1〕인천광역시 이주민 현황(읍면동)
〔부록2〕인천광역시 및 군구 체류자격별 이주민 현황
〔부록3〕인천광역시 회화지도(E-2)목적 외국인 체류 현황(동읍면)
〔부록4〕인천광역시 외국인 고용 사업체 수(읍면동)
〔부록5〕인천광역시 시군구 연령별 이주민 수
〔부록6〕체류자격에 해당하는 자 또는 활동범위
〔부록7〕질문지(언어별)
제2장 개념 연구
제1절 다문화 정책의 최근 이슈
1. 외국인의 세분화
2. 도시공간 분화
제2절 개념 연구
1. 기존개념
1) ‘이산마을’
2) ‘이민족 구역’
2. 새로운 이주민 영역에 대한 개념
1) ‘트랜스-로컬리티’
2) ‘다문화 공간’ 개념
제3장 다국적 다문화 도시로서 인천시의 역사성
제1절 다국적 공간유산
제2절 역사적 소수민족
1. 각국공동조계지와 차이나타운
2. 화교와 중국계 이주민
제3절 화교 및 차이나타운의 재조명
제4장 인천시의 다문화 현황 및 공간적 특성
제1절 다문화 도시로서 인천시의 위치
1. 16대 시도별 외국인 현황
2. 전국 외국인 밀집지역 현황
제2절 인천지역 다문화 현황 및 공간적 특성
1. 이주민의 공간적 분포와 및 특성
1) 고용-거주 현황 및 공간적 분포
2) 이주자 유형 및 이주자 밀집지역
2. 도시공간의 분화 현황 및 특성
1) 지역별 이주민의 밀집과 분포
2) 출신국별 지역분화와 특성
3. 다문화 요소의 공간적 분포 및 특성
1) 종교, 음식
2) 언어, 문화원, 학교
3) 문화예술,교류,축제
제5장 사례 연구
제1절 서울시 : ‘글로벌 존’ 사례 및 시사점
제2절 안산시 : 원곡동 ‘국경없는 마을’ 사례 및 시사점
제6장 요약 및 정책 시사점
제1절 요약
1. 이주사회의 형성
2. 인천은 역사적인 다문화 도시
3. 이주민의 유형 및 분포 특성
4. 이주민의 지역적 분화
5. 지역내 다문화 요소의 형성
6. 타문화 인정 및 공존의 강화
제2절 시사점
1. 다문화요소에 대한 문화적 접근 필요
2. 이주자들의 공간 미분화
3. 이주자들을 위한 문화적 환경 구축
제3절 정책제언
1. ‘다문화 인정과 공존’ 프로그램 추진
2. 외국인을 위한 공식 홈페이지의 ‘다국어화’ 추진
3. 이주민 거주공간의 정상화 추진
〔부록1〕인천광역시 이주민 현황(읍면동)
〔부록2〕인천광역시 및 군구 체류자격별 이주민 현황
〔부록3〕인천광역시 회화지도(E-2)목적 외국인 체류 현황(동읍면)
〔부록4〕인천광역시 외국인 고용 사업체 수(읍면동)
〔부록5〕인천광역시 시군구 연령별 이주민 수
〔부록6〕체류자격에 해당하는 자 또는 활동범위
〔부록7〕질문지(언어별)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