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문화관광
인천지역 슬로시티 도입에 관한 연구 :강화군을 대상으로
- 연구자
- 발행년도
2009
- 연구기간
2009.01.01 ~ 2009.12.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목적]
- 인천은 공업도시 이미지로 인한 지역 관광이미지 부재, 녹색자원의 활용 및 지속가능한 관광 발전을 위한 대책 미흡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
- 따라서 녹색도시로서의 인천 이미지 제고, 녹색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며, 슬로시티 인증은 인천지역의 녹색관광 이미지 제고 및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방안임.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슬로시티 인증을 통한 녹색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인천의 녹색관광전략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이론적 고찰: 녹색관광 관련 개념, 슬로시티 개념 및 지정요건 등
- 관련 정책 동향 분석: 녹색관광 및 슬로시티 관련 국내외 정책 동향
- 사례분석: 국내외 슬로시티 인증 사례
- 실태 조사: 슬로시티 인증 요건 및 평가기준 고려 개선 필요사항 도출
- 슬로시티 도시 인증을 위한 개선사항 및 녹색관광 활성화방안 도출
- 인천은 공업도시 이미지로 인한 지역 관광이미지 부재, 녹색자원의 활용 및 지속가능한 관광 발전을 위한 대책 미흡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
- 따라서 녹색도시로서의 인천 이미지 제고, 녹색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며, 슬로시티 인증은 인천지역의 녹색관광 이미지 제고 및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방안임.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슬로시티 인증을 통한 녹색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인천의 녹색관광전략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이론적 고찰: 녹색관광 관련 개념, 슬로시티 개념 및 지정요건 등
- 관련 정책 동향 분석: 녹색관광 및 슬로시티 관련 국내외 정책 동향
- 사례분석: 국내외 슬로시티 인증 사례
- 실태 조사: 슬로시티 인증 요건 및 평가기준 고려 개선 필요사항 도출
- 슬로시티 도시 인증을 위한 개선사항 및 녹색관광 활성화방안 도출
연구목차
제2장 슬로시티 관련개념 및 정책동향
제1절 슬로시티 관련개념
1. 녹색관광 개념
2. 슬로시티 개념 및 의의
제2절 슬로시티 기본이념 및 인증기준
1. 기본이념 및 추진과정
2. 슬로시티 인증기준 및 가입절차
제3절 슬로시티 관련 정책동향
1. 녹색관광 관련 정책동향
2. 슬로시티 관련 동향
제4절 분석의 종합
제3장 국내외 슬로시티 인증지역 사례분석
제1절 국내사례
1. 신안군 증도면
2. 완도군 청산면
3. 장흥군 유치면
4. 담양군 창평면
5. 기타 슬로시티 지정 및 추진 지역
제2절 국외 사례
1. 이탈리아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ti)
2. 이탈리아 오르비에토(Orvieto)
3. 독일 헤르스브루크(Hersbruck)
제3절 분석의 종합
제4장 인천지역 슬로시티 도입여건 분석
제1절 슬로시티 도입 대상지역 선정배경 및 특성
1. 대상지역 선정배경
2. 대상지역 특성
제2절 슬로시티 도입여건 분석기준 및 항목 설정
1. 분석기준 설정
2. 분석기준 주요 항목
제3절 슬로시티 도입여건 분석
1. 지역경제 자생력 요건
2. 지역생태문화자원 보존 및 지속가능성
3. 지역 인적역량
4. 잠재성
제4절 여건분석 결과 종합
제5장 인천 강화지역 슬로시티 도입방안
제1절 기본방향 설정 및 추진체계
1. 기본방향 설정
2. 추진체계
제2절 정책내용 제안
1. 슬로시티 인증추진 단계
2. 슬로시티 인증 후 정책 제안
제1절 슬로시티 관련개념
1. 녹색관광 개념
2. 슬로시티 개념 및 의의
제2절 슬로시티 기본이념 및 인증기준
1. 기본이념 및 추진과정
2. 슬로시티 인증기준 및 가입절차
제3절 슬로시티 관련 정책동향
1. 녹색관광 관련 정책동향
2. 슬로시티 관련 동향
제4절 분석의 종합
제3장 국내외 슬로시티 인증지역 사례분석
제1절 국내사례
1. 신안군 증도면
2. 완도군 청산면
3. 장흥군 유치면
4. 담양군 창평면
5. 기타 슬로시티 지정 및 추진 지역
제2절 국외 사례
1. 이탈리아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ti)
2. 이탈리아 오르비에토(Orvieto)
3. 독일 헤르스브루크(Hersbruck)
제3절 분석의 종합
제4장 인천지역 슬로시티 도입여건 분석
제1절 슬로시티 도입 대상지역 선정배경 및 특성
1. 대상지역 선정배경
2. 대상지역 특성
제2절 슬로시티 도입여건 분석기준 및 항목 설정
1. 분석기준 설정
2. 분석기준 주요 항목
제3절 슬로시티 도입여건 분석
1. 지역경제 자생력 요건
2. 지역생태문화자원 보존 및 지속가능성
3. 지역 인적역량
4. 잠재성
제4절 여건분석 결과 종합
제5장 인천 강화지역 슬로시티 도입방안
제1절 기본방향 설정 및 추진체계
1. 기본방향 설정
2. 추진체계
제2절 정책내용 제안
1. 슬로시티 인증추진 단계
2. 슬로시티 인증 후 정책 제안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