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행재정
인천 도시브랜드 가치제고를 위한 브랜드경영 추진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10
- 연구기간
2010.01.01 ~ 2010.08.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연구 내용]
본 보고서는 도시경쟁력의 패러다임이 양적인 성장 중심에서 질적인 성장 중심으로 변화하고 도시행정 역시 시민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협치를 통해 소프트파워를 겸비한 도시로의 발전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도시브랜딩이 도시경쟁력 제고에 갖는 의의와 중요성을 논하고, 시정전반에 걸쳐 브랜드 경영 도입을 통한 인천의 도시브랜드 가치제고와 그 실행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특히 도시브랜딩은 인천의 기업, 시민, 투자자, 관광객 등 다양한 도시의 이해당사자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실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도시브랜드 시스템을 통한 지속적인 브랜드 관리를 통하여 일관성 있는 인천의 이미지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일본 요코하마시의 ‘Imagine Yokohama’라는 시민 참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찾기 캠페인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브랜드 조직체계 및 이해관계자들 간의 네트워크 시스템 등을 들고 있다.
발간 관계자는 인천의 도시브랜드를 제고하는 여러 가지 구체적 실천 방안을 제시한 이번 보고서가 ‘대한민국 심장, 경제수도 인천’이라는 도시비전을 실현하는 데 유익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정명 600주년 및 개항 130주년인 2013년을 기점으로 현재 물리적 공간계획에 치중된 도시정책 및 사업들이 문화콘텐츠 등의 도시의 소프트 요소들까지 포용할 수 있는 인천만의 도시브랜드 경영 시스템을 구축하여, 2014년 아시안게임을 기회로 세계적인 도시로 인천의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도시브랜드센터는 2009년 10월 인천발전연구원 내에 설립된 기관으로서 인천의 도시브랜드에 관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브랜딩 시스템 구축을 위해 도시브랜드 블로그 운영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도시경쟁력의 패러다임이 양적인 성장 중심에서 질적인 성장 중심으로 변화하고 도시행정 역시 시민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협치를 통해 소프트파워를 겸비한 도시로의 발전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도시브랜딩이 도시경쟁력 제고에 갖는 의의와 중요성을 논하고, 시정전반에 걸쳐 브랜드 경영 도입을 통한 인천의 도시브랜드 가치제고와 그 실행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특히 도시브랜딩은 인천의 기업, 시민, 투자자, 관광객 등 다양한 도시의 이해당사자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실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도시브랜드 시스템을 통한 지속적인 브랜드 관리를 통하여 일관성 있는 인천의 이미지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일본 요코하마시의 ‘Imagine Yokohama’라는 시민 참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찾기 캠페인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브랜드 조직체계 및 이해관계자들 간의 네트워크 시스템 등을 들고 있다.
발간 관계자는 인천의 도시브랜드를 제고하는 여러 가지 구체적 실천 방안을 제시한 이번 보고서가 ‘대한민국 심장, 경제수도 인천’이라는 도시비전을 실현하는 데 유익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정명 600주년 및 개항 130주년인 2013년을 기점으로 현재 물리적 공간계획에 치중된 도시정책 및 사업들이 문화콘텐츠 등의 도시의 소프트 요소들까지 포용할 수 있는 인천만의 도시브랜드 경영 시스템을 구축하여, 2014년 아시안게임을 기회로 세계적인 도시로 인천의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도시브랜드센터는 2009년 10월 인천발전연구원 내에 설립된 기관으로서 인천의 도시브랜드에 관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브랜딩 시스템 구축을 위해 도시브랜드 블로그 운영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연구목차
Ⅰ.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시 행정의 변화
1. 도시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
-도시경쟁력 패러다임의 변화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
2. 행정에의 기업 경영전략의 도입
-도시마케팅의 등장과 역할
-도시마케팅의 문제점 및 보완수단으로의 도시브랜드
Ⅱ. 도시브랜드의 이론적 고찰
1. 도시브랜딩
-도시브랜딩의 의의
-도시브랜드의 효과
2. 도시브랜드의 구성요소
-도시브랜드의 아이덴티티(CBI:City Brand Identity)
-도시브랜딩의 실행 효과
-도시브랜드 자산 (City Brand Equity)
3. 전략적 도시브랜드 경영과정
-도시브랜드 경영의 의의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 구축
-도시브랜드 체계 정립 (City Brand Architecture)
-도시브랜드 실행 (Brand Identity Communication)
-도시브랜드 평가 및 환류
Ⅲ. 국내외 도시브랜딩 사례 및 시사점
1. 사례 선정 배경
2. 서울특별시
브랜딩 조직 및 추진체계
브랜딩 추진 경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Hi Seoul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평가 및 환류 시스템
시사점
3.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제마케팅위위원회(IMC)를 통한 일관된 해외브랜딩
원산지브랜드, Proudly South Africa를 통한 경제 활성화와 내부 브랜딩
시사점
4. 일본 요코하마
배경
도시발전정책 경과
요코하마 도시 브랜드 경영
시사점
5. 종합시사점
Ⅳ. 인천 도시브랜드 현황
1. 분석 개요
2. 인천의 비전
인천시 비전 변화
인천시 비전(세계일류 명품도시)의 차별성
인천시 비전의 이해 및 공감대
3. 인천의 도시브랜드 자산
인천의 인지도와 선호도
인천의 이미지
인천의 자유연상 이미지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 FLY INCHEON
만족도
관광지로서의 인천의 충성도
4. 인천의 도시브랜딩
인천 도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Fly Incheon
인천의 브랜드 경영
5. 인천 도시브랜드 현황 진단
도시의 비전
도시 브랜드 아이덴티티‘Fly Incheon’
도시 이미지
거주지, 투자지, 관광지로서의 인천
인천시의 도시브랜드 경영
Ⅴ. 인천의 브랜드 경영 체제 구축과 그 실행방안
1. 도시브랜드 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방안 구상
도시브랜드 경영의 핵심 요소
2. 브랜드 경영을 위한 전담 추진주체 구성
추진주체 구성 방안 비교
추진 주체 제안
3. 민·관 거버넌스의 구축
민·관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
민·관 거버넌스의 참여자
4. 인천의 핵심가치를 담은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제언
인천의 바람직한 도시상을 위한 인천의 정체성 및 차별성 분석
인천시의 현안
인천의 미래 도시상 (2010 도시브랜드 조사 - 공무원)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핵심가치 제안
‘열림’·‘소통’이라는 핵심가치의 의미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재구축 및 시민 공감대 형성
열림·소통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실체 개선
5. 인천 실체 개선을 통한 이미지 제고방안
6. 전사적, 체계적, 일관된 도시브랜드 실행체계 구축
인천 도시브랜드 체계의 구축방향
체계 구축 방법 및 관리
지역브랜드(Regional Brand)와 국가브랜드와의 연계
브랜드사업(Brand Project)의 관리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추진방법
도시브랜드 평가와 환류의 의의
도시브랜드 자산 평가와 브랜드사업 평가
피드백(환류)
7. 단계별 추진 계획
1. 도시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
-도시경쟁력 패러다임의 변화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
2. 행정에의 기업 경영전략의 도입
-도시마케팅의 등장과 역할
-도시마케팅의 문제점 및 보완수단으로의 도시브랜드
Ⅱ. 도시브랜드의 이론적 고찰
1. 도시브랜딩
-도시브랜딩의 의의
-도시브랜드의 효과
2. 도시브랜드의 구성요소
-도시브랜드의 아이덴티티(CBI:City Brand Identity)
-도시브랜딩의 실행 효과
-도시브랜드 자산 (City Brand Equity)
3. 전략적 도시브랜드 경영과정
-도시브랜드 경영의 의의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 구축
-도시브랜드 체계 정립 (City Brand Architecture)
-도시브랜드 실행 (Brand Identity Communication)
-도시브랜드 평가 및 환류
Ⅲ. 국내외 도시브랜딩 사례 및 시사점
1. 사례 선정 배경
2. 서울특별시
브랜딩 조직 및 추진체계
브랜딩 추진 경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Hi Seoul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평가 및 환류 시스템
시사점
3.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제마케팅위위원회(IMC)를 통한 일관된 해외브랜딩
원산지브랜드, Proudly South Africa를 통한 경제 활성화와 내부 브랜딩
시사점
4. 일본 요코하마
배경
도시발전정책 경과
요코하마 도시 브랜드 경영
시사점
5. 종합시사점
Ⅳ. 인천 도시브랜드 현황
1. 분석 개요
2. 인천의 비전
인천시 비전 변화
인천시 비전(세계일류 명품도시)의 차별성
인천시 비전의 이해 및 공감대
3. 인천의 도시브랜드 자산
인천의 인지도와 선호도
인천의 이미지
인천의 자유연상 이미지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 FLY INCHEON
만족도
관광지로서의 인천의 충성도
4. 인천의 도시브랜딩
인천 도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Fly Incheon
인천의 브랜드 경영
5. 인천 도시브랜드 현황 진단
도시의 비전
도시 브랜드 아이덴티티‘Fly Incheon’
도시 이미지
거주지, 투자지, 관광지로서의 인천
인천시의 도시브랜드 경영
Ⅴ. 인천의 브랜드 경영 체제 구축과 그 실행방안
1. 도시브랜드 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방안 구상
도시브랜드 경영의 핵심 요소
2. 브랜드 경영을 위한 전담 추진주체 구성
추진주체 구성 방안 비교
추진 주체 제안
3. 민·관 거버넌스의 구축
민·관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
민·관 거버넌스의 참여자
4. 인천의 핵심가치를 담은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제언
인천의 바람직한 도시상을 위한 인천의 정체성 및 차별성 분석
인천시의 현안
인천의 미래 도시상 (2010 도시브랜드 조사 - 공무원)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핵심가치 제안
‘열림’·‘소통’이라는 핵심가치의 의미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재구축 및 시민 공감대 형성
열림·소통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실체 개선
5. 인천 실체 개선을 통한 이미지 제고방안
6. 전사적, 체계적, 일관된 도시브랜드 실행체계 구축
인천 도시브랜드 체계의 구축방향
체계 구축 방법 및 관리
지역브랜드(Regional Brand)와 국가브랜드와의 연계
브랜드사업(Brand Project)의 관리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추진방법
도시브랜드 평가와 환류의 의의
도시브랜드 자산 평가와 브랜드사업 평가
피드백(환류)
7. 단계별 추진 계획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