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목적]
현재까지 가시화된 각 주체간의 의견을 종합하고 아울러 보완의견을 취합하여 합리적인 공원개발 구상안 도출
[주요 연구내용]
1. 계양산 북산면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의 방향 설정
2. 계양산 북사면 주요 계획 대상 3개 공간(역사공원 제외)에 대한 기본구상
3. 관련 자료 검토: 인천시 구상안(근린공원안 포함), 시민단체 구상안, 시민의견청취 자료, 계양산 보호조례(안) 제정 등 검토
현재까지 가시화된 각 주체간의 의견을 종합하고 아울러 보완의견을 취합하여 합리적인 공원개발 구상안 도출
[주요 연구내용]
1. 계양산 북산면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의 방향 설정
2. 계양산 북사면 주요 계획 대상 3개 공간(역사공원 제외)에 대한 기본구상
3. 관련 자료 검토: 인천시 구상안(근린공원안 포함), 시민단체 구상안, 시민의견청취 자료, 계양산 보호조례(안) 제정 등 검토
연구목차
Ⅱ. 현황분석
1. 언론에 노출된 계양산 조성방향
2. 지역별 현황
3. 생물상
1) 야생조류
2) 양서류 등
3) 반딧불이 출현현황
4) 포유류상
5) 식물상
4. 시민 설문결과
1) 개발정도(관점)에 관한 설문
2) 세부 항목에 대한 선호도에 관한 설문
3) 대분류 이용행태간 선호도에 대한 설문
5. 시민 면담결과
1) 공간 특성
2) 공간 구상
3) 마을지역 구상
4) 동선 구상
5) 상징물
6) 운영 및 관리
6. 종합
Ⅲ. 기본구상
1. 목표 및 전략 수립
2. 공간개념 및 계획방향 설정
1) 검암 군부대계곡
2) 목상동
3) 다남동
3. 공간구상
1) 목상동
2) 다남동
3) 다남동 마을지역
4. 동선 구상
1) 주출입구 설정 및 내부 동선
2) 주변 교통상황 및 향후 외부동선 구상
3) 셔틀버스 운행구상
5. 사업 우선순위
Ⅳ. 연구의 한계 및 감사의 글
1. 언론에 노출된 계양산 조성방향
2. 지역별 현황
3. 생물상
1) 야생조류
2) 양서류 등
3) 반딧불이 출현현황
4) 포유류상
5) 식물상
4. 시민 설문결과
1) 개발정도(관점)에 관한 설문
2) 세부 항목에 대한 선호도에 관한 설문
3) 대분류 이용행태간 선호도에 대한 설문
5. 시민 면담결과
1) 공간 특성
2) 공간 구상
3) 마을지역 구상
4) 동선 구상
5) 상징물
6) 운영 및 관리
6. 종합
Ⅲ. 기본구상
1. 목표 및 전략 수립
2. 공간개념 및 계획방향 설정
1) 검암 군부대계곡
2) 목상동
3) 다남동
3. 공간구상
1) 목상동
2) 다남동
3) 다남동 마을지역
4. 동선 구상
1) 주출입구 설정 및 내부 동선
2) 주변 교통상황 및 향후 외부동선 구상
3) 셔틀버스 운행구상
5. 사업 우선순위
Ⅳ. 연구의 한계 및 감사의 글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