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동북아국제
인천 강화 교동평화산업단지 기본구상에 관한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1
- 연구기간
2011.04.01 ~ 2011.09.30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한반도의 지속적인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는 공동어로구역 및 해상 평화벨트 등의 협력과 더불어 개성공단, 해주특구를 중심으로 한 산업협력 확대를 포괄하는 서해평화 협력특별지대 구상의 실현이 필수적임.
○ 특히 산업협력 부문에 있어서 이 구상실현의 주요 관건은 개성~해주~인천을 연계한 접경권 초광역 산업클러스터 형성이며, 이를 위한 공동경제구역 구축이 필요함
○ 인천-강화(교동)-개성-해주를 연결하는 남북공동경제자유구역을 건설하는 청사진과 인천광역시를 허브로 하는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모델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음
○ 이에 강화 교동 거점의 단지 조성 사업 필요성 및 당위성을 확보하고, 단지 조성관련 사업 추진 방안을 마련하고자함
○ 한반도의 지속적인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는 공동어로구역 및 해상 평화벨트 등의 협력과 더불어 개성공단, 해주특구를 중심으로 한 산업협력 확대를 포괄하는 서해평화 협력특별지대 구상의 실현이 필수적임.
○ 특히 산업협력 부문에 있어서 이 구상실현의 주요 관건은 개성~해주~인천을 연계한 접경권 초광역 산업클러스터 형성이며, 이를 위한 공동경제구역 구축이 필요함
○ 인천-강화(교동)-개성-해주를 연결하는 남북공동경제자유구역을 건설하는 청사진과 인천광역시를 허브로 하는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모델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음
○ 이에 강화 교동 거점의 단지 조성 사업 필요성 및 당위성을 확보하고, 단지 조성관련 사업 추진 방안을 마련하고자함
연구목차
Ⅱ. 강화 교동의 지역 현황
1. 지리적 특성
2. 교동의 역사
3. 인문환경
4. 대북 교류거점으로서 교동에 대한 평가
Ⅲ. 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사업의 환경 분석
1. 사업과 관련된 기존 계획 및 구상
2. 교동을 둘러싼 주변지역의 환경
Ⅳ. 교동평화산업지 구상 관련 해외사례 검토
1. 동서독 사례: 독일 오버프랑켄
2. 스웨덴-덴마크: 해상 외레순 대교
3. 중국-대만: 접경지역 연계개발
4. 중국 변경지역 통상구: 북중간의 변경무역
5. 강화 교동산업단지 조성에 주는 시사점
Ⅴ. 교동평화산업단지 기본구상
1. 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 필요성 및 역할
2. 인천-개성-해주 산업연계발전 중장기 구상
3. 교동평화산업단지의 기능구상
1. 지리적 특성
2. 교동의 역사
3. 인문환경
4. 대북 교류거점으로서 교동에 대한 평가
Ⅲ. 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사업의 환경 분석
1. 사업과 관련된 기존 계획 및 구상
2. 교동을 둘러싼 주변지역의 환경
Ⅳ. 교동평화산업지 구상 관련 해외사례 검토
1. 동서독 사례: 독일 오버프랑켄
2. 스웨덴-덴마크: 해상 외레순 대교
3. 중국-대만: 접경지역 연계개발
4. 중국 변경지역 통상구: 북중간의 변경무역
5. 강화 교동산업단지 조성에 주는 시사점
Ⅴ. 교동평화산업단지 기본구상
1. 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 필요성 및 역할
2. 인천-개성-해주 산업연계발전 중장기 구상
3. 교동평화산업단지의 기능구상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