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인천지역 초등학생의 환경교육 실태 및 활성화에 관한 조사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1
- 연구기간
2011.07.01 ~ 2011.12.30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목적]
1. 인천지역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 실태에 대한 조사가 및 이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 미흡함.
2. 이와 관련하여, 학교에서 보편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환경문제의 원인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노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음.
3. 학생들의 환경인식은 가정과 학교에서 학생과 가족 구성원의 친환경생활을 이끌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임.
4. 이에, 인천지역 초등학교의 환경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초등학생들의 환경인식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을 도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1. 인천관내 초등학교의 환경교육 실태조사
2. 조사연구자료 수집․검토 : 과거 환경인식 조사 확인, 조사항목 선정 및 결과 해석에 활용
3. 학생들의 환경인식 조사 및 통계분석, 결과 해석 등
4. 학생들의 환경인식 증진을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 제안 등
1. 인천지역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 실태에 대한 조사가 및 이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 미흡함.
2. 이와 관련하여, 학교에서 보편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환경문제의 원인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노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음.
3. 학생들의 환경인식은 가정과 학교에서 학생과 가족 구성원의 친환경생활을 이끌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임.
4. 이에, 인천지역 초등학교의 환경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초등학생들의 환경인식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을 도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1. 인천관내 초등학교의 환경교육 실태조사
2. 조사연구자료 수집․검토 : 과거 환경인식 조사 확인, 조사항목 선정 및 결과 해석에 활용
3. 학생들의 환경인식 조사 및 통계분석, 결과 해석 등
4. 학생들의 환경인식 증진을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 제안 등
연구목차
제2장 환경교육 정책 및 사례
제1절 지속가능발전과 환경교육
1. 지속가능한 발전으로서의 환경교육
2. 학교 환경교육
3.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특성
제2절 환경교육 정책여건
1. 환경교육 발전계획(2006~2015)
2. 환경교육 종합계획(2011~2015)
3. 인천광역시 환경교육종합계획(2011~2015)
제3절 국외 환경교육 정책
1. 호주
2. 영국
제4절 환경교육 사례검토
1. 대덕구 찾아가는 환경교육 「Green School」
2. 환경중학교(Environmental Middle School)
3. 커뮤니티 가든(Community Garden)
제3장 인천지역 초등학교 환경교육 실태분석
제1절 인천지역 환경교육 현황
1. 초등학교 환경교육 교육과정
2. 환경교육 체험활동
3. 기후강사 순회교육
4. 교원 직무 및 자격 연수과정
5. 기반, 네트워크 현황
제2절 인천지역 환경 및 녹색성장교육 시범학교 지정
1. 학교 현황 및 환경교육 관련 지정 현황
2. 환경교육 시범학교
3. 녹색성장교육 시범학교
4. 환경체험 교육프로그램 운영학교
5. 환경교육 학생동아리
제3절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문제점과 한계
제4장 인천지역 초등학교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제1절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비전과 목표
제2절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활성화 방안
1. 기반 구축
2. 학교 환경교육의 내실화 및 차별화
3. 학교 환경교육과 사회 환경교육의 조화 및 협력체계 구축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정책제언
제1절 지속가능발전과 환경교육
1. 지속가능한 발전으로서의 환경교육
2. 학교 환경교육
3.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특성
제2절 환경교육 정책여건
1. 환경교육 발전계획(2006~2015)
2. 환경교육 종합계획(2011~2015)
3. 인천광역시 환경교육종합계획(2011~2015)
제3절 국외 환경교육 정책
1. 호주
2. 영국
제4절 환경교육 사례검토
1. 대덕구 찾아가는 환경교육 「Green School」
2. 환경중학교(Environmental Middle School)
3. 커뮤니티 가든(Community Garden)
제3장 인천지역 초등학교 환경교육 실태분석
제1절 인천지역 환경교육 현황
1. 초등학교 환경교육 교육과정
2. 환경교육 체험활동
3. 기후강사 순회교육
4. 교원 직무 및 자격 연수과정
5. 기반, 네트워크 현황
제2절 인천지역 환경 및 녹색성장교육 시범학교 지정
1. 학교 현황 및 환경교육 관련 지정 현황
2. 환경교육 시범학교
3. 녹색성장교육 시범학교
4. 환경체험 교육프로그램 운영학교
5. 환경교육 학생동아리
제3절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문제점과 한계
제4장 인천지역 초등학교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제1절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비전과 목표
제2절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활성화 방안
1. 기반 구축
2. 학교 환경교육의 내실화 및 차별화
3. 학교 환경교육과 사회 환경교육의 조화 및 협력체계 구축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정책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