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지역경제
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1-2015)에 관한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1
- 연구기간
2011.07.01 ~ 2011.12.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연구목적]
1.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 및 활용 등에 관한 법률」이 폐지되고,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이 2009년 2월 제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국토해양부는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0~2015)을 수립함.
2. 인천시도 매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공간정보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인천시 차원의 공간정보정책 개발이 요구됨.
3. 본 과제에서는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과 공간정보정책에 대한 국내외 사례와 인천시 현황을 토대로 인천시 공간정보정책의 기본방향을 검토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국내외 공간정보정책 사례분석
- 인천시 공간정보정책 현황 파악
- 인천시 공간정보정책 기본방향 도출
- 인천시 공간정보정책 실행방안 도출
1.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 및 활용 등에 관한 법률」이 폐지되고,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이 2009년 2월 제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국토해양부는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0~2015)을 수립함.
2. 인천시도 매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공간정보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인천시 차원의 공간정보정책 개발이 요구됨.
3. 본 과제에서는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과 공간정보정책에 대한 국내외 사례와 인천시 현황을 토대로 인천시 공간정보정책의 기본방향을 검토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국내외 공간정보정책 사례분석
- 인천시 공간정보정책 현황 파악
- 인천시 공간정보정책 기본방향 도출
- 인천시 공간정보정책 실행방안 도출
연구목차
Ⅱ. 국내외 공간정보정책
1. 공간정보 개요
2. 국가 공간정보정책
3. 국내외 공간정보정책 동향
Ⅲ. 인천시 공간정보정책의 현황 및 과제
1. 인천시 현황 및 과제
2. 전문가 설문조사
Ⅳ. 인천시 공간정보정책 개선방안
1. 인천시 공간정보정책 개선전략
2. 친천시 공간정보정책 전략과제
1) 공간정보인프라의 확충
2) 공간정보체계 활용성 제고
3) 산학연관 거버넌스체계 구축
4) 유비쿼터스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과 산업화 촉진
3. 단계별 추진방안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정책제언
2. 결론
1. 공간정보 개요
2. 국가 공간정보정책
3. 국내외 공간정보정책 동향
Ⅲ. 인천시 공간정보정책의 현황 및 과제
1. 인천시 현황 및 과제
2. 전문가 설문조사
Ⅳ. 인천시 공간정보정책 개선방안
1. 인천시 공간정보정책 개선전략
2. 친천시 공간정보정책 전략과제
1) 공간정보인프라의 확충
2) 공간정보체계 활용성 제고
3) 산학연관 거버넌스체계 구축
4) 유비쿼터스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과 산업화 촉진
3. 단계별 추진방안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정책제언
2. 결론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