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시 마을만들기 추진방향에 관한 연구 - 주민 커뮤니티 역할을 중심으로
- 연구자
- 발행년도
2012
- 연구기간
2012.01.02 ~ 2012.07.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마을만들기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커뮤니티 활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함. 동구 만석동, 부평구 청천동 등 지역단위에서 공부방, 급식센터 등 민간차원의 지속적인 활동으로 지역 커뮤니티가 형성된 사례가 있음.
2) 반면에 정비사업 시행으로 지역 커뮤니티 활동이 사라지거나, 약화될 가능성이 높음
3) 지역의 커뮤니티 활동을 살펴보고, 정비사업 이후에도 커뮤니티 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을만들기 차원에서 이를 지원할 필요가 있음
1) 마을만들기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커뮤니티 활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함. 동구 만석동, 부평구 청천동 등 지역단위에서 공부방, 급식센터 등 민간차원의 지속적인 활동으로 지역 커뮤니티가 형성된 사례가 있음.
2) 반면에 정비사업 시행으로 지역 커뮤니티 활동이 사라지거나, 약화될 가능성이 높음
3) 지역의 커뮤니티 활동을 살펴보고, 정비사업 이후에도 커뮤니티 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을만들기 차원에서 이를 지원할 필요가 있음
연구목차
제2장 마을만들기 현황 및 문제점
제1절 마을만들기 개념 검토
1. 마을만들기 개념 검토
2. 마을만들기 선행연구 검토
3. 커뮤니티 선행연구 검토
4. 시사점
제2절 마을만들기 관련 지원제도·정책 검토
1. 마을만들기 지원 제도
2. 마을만들기 지원 조직
3. 서울 마을공동체 정책
4. 경기도 마을만들기 정책
제3절 인천 마을만들기 추진 현황 검토
1. 서구
2. 남동구
3. 부평구
4. 연수구
5. 동구
6. 시사점
제3장 마을만들기 사례연구
제1절 사례대상지 선정
1. 마을만들기 사업 유형 구분
2. 마을만들기 사례대상지 선정
제2절 인천 중구청 거리가꾸기 사업
제3절 인천 부평구 십정동 해님공부방
제4절 서울 중곡동 용마마을 경관협정
제4장 결론
제1절 마을만들기에서 커뮤니티의 역할 비교
1. 사업의 주체 및 역할
2. 사업의 내용
3. 사업의 진행 순서
제2절 주민커뮤니티 위주 마을만들기 추진방향 제안
1. 사업대상지 선정시 고려사항
2. 사업 내용의 통합화
3. 추진체계
4. 커뮤니티 활동 지원방안
제3절 정책제안
1. 마을만들기 지원조례(안) 제안
2.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제안
제4절 향후 연구과제
제1절 마을만들기 개념 검토
1. 마을만들기 개념 검토
2. 마을만들기 선행연구 검토
3. 커뮤니티 선행연구 검토
4. 시사점
제2절 마을만들기 관련 지원제도·정책 검토
1. 마을만들기 지원 제도
2. 마을만들기 지원 조직
3. 서울 마을공동체 정책
4. 경기도 마을만들기 정책
제3절 인천 마을만들기 추진 현황 검토
1. 서구
2. 남동구
3. 부평구
4. 연수구
5. 동구
6. 시사점
제3장 마을만들기 사례연구
제1절 사례대상지 선정
1. 마을만들기 사업 유형 구분
2. 마을만들기 사례대상지 선정
제2절 인천 중구청 거리가꾸기 사업
제3절 인천 부평구 십정동 해님공부방
제4절 서울 중곡동 용마마을 경관협정
제4장 결론
제1절 마을만들기에서 커뮤니티의 역할 비교
1. 사업의 주체 및 역할
2. 사업의 내용
3. 사업의 진행 순서
제2절 주민커뮤니티 위주 마을만들기 추진방향 제안
1. 사업대상지 선정시 고려사항
2. 사업 내용의 통합화
3. 추진체계
4. 커뮤니티 활동 지원방안
제3절 정책제안
1. 마을만들기 지원조례(안) 제안
2.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제안
제4절 향후 연구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