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주요 연구내용]
1. 인천형 마을만들기 개념 정립 및 추진방향
- 국내외 마을만들기 사례 조사 및 정리
- 역사, 문화, 여성, 복지, 경제 등 마을만들기와 연계한 분야별 정책 조사
- 담장허물기, 주차장, 커뮤니티시설 등 물리적 개선정책 유형 파악
- 주민참여 방식, 시민단체 및 전문가 역할, 공공의 지원방식 등 참여주체간 역할
2. 인천형 마을만들기 시범모델 개발
- 인천지역 기성시가지 유형과 특성 분석 및 유형별 시범모델 후보지(4개소) 선정
- 기반시설, 주택유형, 용도지역, 지역고유자산, 주민특성, 공동체 활동 등의 요소를 감안하여 유형화 및 시범구역 선정
- 유형별 마을만들기 시범모델 개발
- 시범구역 선정과 함께 대상지역 현황 및 특성에 대한 정밀 진단
- 지역내 분포하는 고유자산 활용방안
- 문화, 여성, 복지분야와의 연계 사업 발굴
-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등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 적정 기반시설의 유형과 규모 산정 그리고 공급 방안
- 개별 건축물의 개선방안 및 소규모 정비방안 모색
- 주민, 전문가, 공공 등 관련 주체간의 협의체 구성방안
- 지역주민, 공공, 시민단체, 전문가 등 관련 주체의 역할
- 인천형 마을만들기 시범모델 추진에 필요한 사업비 추정
- 시범모델 적용을 위한 제도개선 및 단계적 실천계획
1. 인천형 마을만들기 개념 정립 및 추진방향
- 국내외 마을만들기 사례 조사 및 정리
- 역사, 문화, 여성, 복지, 경제 등 마을만들기와 연계한 분야별 정책 조사
- 담장허물기, 주차장, 커뮤니티시설 등 물리적 개선정책 유형 파악
- 주민참여 방식, 시민단체 및 전문가 역할, 공공의 지원방식 등 참여주체간 역할
2. 인천형 마을만들기 시범모델 개발
- 인천지역 기성시가지 유형과 특성 분석 및 유형별 시범모델 후보지(4개소) 선정
- 기반시설, 주택유형, 용도지역, 지역고유자산, 주민특성, 공동체 활동 등의 요소를 감안하여 유형화 및 시범구역 선정
- 유형별 마을만들기 시범모델 개발
- 시범구역 선정과 함께 대상지역 현황 및 특성에 대한 정밀 진단
- 지역내 분포하는 고유자산 활용방안
- 문화, 여성, 복지분야와의 연계 사업 발굴
-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등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 적정 기반시설의 유형과 규모 산정 그리고 공급 방안
- 개별 건축물의 개선방안 및 소규모 정비방안 모색
- 주민, 전문가, 공공 등 관련 주체간의 협의체 구성방안
- 지역주민, 공공, 시민단체, 전문가 등 관련 주체의 역할
- 인천형 마을만들기 시범모델 추진에 필요한 사업비 추정
- 시범모델 적용을 위한 제도개선 및 단계적 실천계획
연구목차
II. 국내 마을만들기의 유형과 특성 1. 국내 마을만들기의 연혁과 유형
1. 국내 마을만들기의 연혁과 유형
1) 민간에서 시작, 공공의 관심 확대
2) 대표 유형
2. 민간 마을만들기의 특성
1) 민간주도 마을만들기 사례
2) 민간 마을공동체 활동의 특성
3. 공공에서의 움직임
1) 공공주도 마을만들기 사례
2) 공공주도 마을만들기 사업의 특성
Ⅲ 인천의 공동체 활동 현황 및 특성
1. 공동체 활동 연혁과 현황
1) 인천지역 마을공동체 활동 연혁
2) 공동체 활동 현황
2. 공동체 활동 사례
1) 마을ⓝ사람
2) 청천 산곡동 마을공동체
3) 인천평화의료생협
4) 청학동 「마을과 이웃」
5) 장수동 새동네
6) 만월산 사람들
7) 다음을 생각하는 사람들
8) 우각로 문화마을
9) 콩세알 도서관
10) 민들레 공부방
11) 햇님 공부방
12) 희망을 만드는 마을사람들
3. 인천 마을공동체 특성 및 요구사항
1) 인천 마을공동체 활동 특성
2) 공공에 대한 요구사항
IV. 인천시 마을만들기 기본방향 1. 인천시 마을만들기 기본방향
1. 인천시 마을만들기 기본방향
1) 마을사람 육성
2) 마을공동체 지원
3) 마을공간 재생
2. 마을사람 육성 기본방향
1) 마을주민 교육
2) 마을리더 지원
3) 마을사람 교류 증진
3. 마을공동체 지원 기본방향
1) 기존 공동체 활성화 지원
2) 새로운 공동체 발굴
3) 공동체간 연계
4) 경제적 자립 유도
4. 마을공간 재생 기본방향
1) 주거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
2) 주민참여 원칙의 마을공간 재생
3) 법적 실현수단과의 연계
V. 추진방안
1. 추진체계
2. 조례 제정
3. 전담조직과 지원센터
4. 사업결정 및 운용방식
1. 국내 마을만들기의 연혁과 유형
1) 민간에서 시작, 공공의 관심 확대
2) 대표 유형
2. 민간 마을만들기의 특성
1) 민간주도 마을만들기 사례
2) 민간 마을공동체 활동의 특성
3. 공공에서의 움직임
1) 공공주도 마을만들기 사례
2) 공공주도 마을만들기 사업의 특성
Ⅲ 인천의 공동체 활동 현황 및 특성
1. 공동체 활동 연혁과 현황
1) 인천지역 마을공동체 활동 연혁
2) 공동체 활동 현황
2. 공동체 활동 사례
1) 마을ⓝ사람
2) 청천 산곡동 마을공동체
3) 인천평화의료생협
4) 청학동 「마을과 이웃」
5) 장수동 새동네
6) 만월산 사람들
7) 다음을 생각하는 사람들
8) 우각로 문화마을
9) 콩세알 도서관
10) 민들레 공부방
11) 햇님 공부방
12) 희망을 만드는 마을사람들
3. 인천 마을공동체 특성 및 요구사항
1) 인천 마을공동체 활동 특성
2) 공공에 대한 요구사항
IV. 인천시 마을만들기 기본방향 1. 인천시 마을만들기 기본방향
1. 인천시 마을만들기 기본방향
1) 마을사람 육성
2) 마을공동체 지원
3) 마을공간 재생
2. 마을사람 육성 기본방향
1) 마을주민 교육
2) 마을리더 지원
3) 마을사람 교류 증진
3. 마을공동체 지원 기본방향
1) 기존 공동체 활성화 지원
2) 새로운 공동체 발굴
3) 공동체간 연계
4) 경제적 자립 유도
4. 마을공간 재생 기본방향
1) 주거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
2) 주민참여 원칙의 마을공간 재생
3) 법적 실현수단과의 연계
V. 추진방안
1. 추진체계
2. 조례 제정
3. 전담조직과 지원센터
4. 사업결정 및 운용방식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