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수인선 복선전철 개통에 따른 인천항 제1부두 주변 정비구상
- 연구자
- 발행년도
2012
- 연구기간
2012.01.02 ~ 2012.08.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인천항 제1부두는 최초의 개항장으로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며, 크루즈를 이용하여 한국에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주 진입로로서 장소적 가치가 매우 큰 곳임. 또한 2014년 수인선 개통으로 제1부두 입구에‘국제여객터미널역’이 신설되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됨
2) 최근 내항재개발 사업, 개항장 문화지구 지정, 수인선 복선전철사업, 제 2국제여객터미널 이전 등 각종 개발 사업이 인근지역에서 일어나고 있음
3) 그러므로 인천우체국, 중구청, 신포시장 등 주변 지역의 근대역사문화자원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최초의 개항지구로서의 역사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주변 지역의 경관 정비가 필요함
4) 특히‘국제여객터미널역’은 개항장 역사문화지구의 관문에 위치하여 역사적 의미가 깊은 장소이므로 개항장의 상징성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기존 철도역사와 차별화된 설계가 필요함
5) 본 연구는 인천항 제1부두 주변의 개항장 역사문화 자원을 보전하고 이를 통해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하며 더 나아가 동인천역, 신포시장 등 인근 구도심 지역의 재생을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 있음
1) 인천항 제1부두는 최초의 개항장으로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며, 크루즈를 이용하여 한국에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주 진입로로서 장소적 가치가 매우 큰 곳임. 또한 2014년 수인선 개통으로 제1부두 입구에‘국제여객터미널역’이 신설되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됨
2) 최근 내항재개발 사업, 개항장 문화지구 지정, 수인선 복선전철사업, 제 2국제여객터미널 이전 등 각종 개발 사업이 인근지역에서 일어나고 있음
3) 그러므로 인천우체국, 중구청, 신포시장 등 주변 지역의 근대역사문화자원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최초의 개항지구로서의 역사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주변 지역의 경관 정비가 필요함
4) 특히‘국제여객터미널역’은 개항장 역사문화지구의 관문에 위치하여 역사적 의미가 깊은 장소이므로 개항장의 상징성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기존 철도역사와 차별화된 설계가 필요함
5) 본 연구는 인천항 제1부두 주변의 개항장 역사문화 자원을 보전하고 이를 통해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하며 더 나아가 동인천역, 신포시장 등 인근 구도심 지역의 재생을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 있음
연구목차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제3절 선행연구 검토
제2장 주요 관련 계획 및 개발사업 현황 분석
- 제1절 수인선 복선전철사업 (국제터미널역 신설)
- 제2절 개항장 문화지구 지정
- 제3절 내항 재개발 사업
제3장 대상지 현황 분석
- 제1절 토지이용 현황
- 제2절 건축물 현황
제4장 제1부두 주변 정비계획 구상(안)
- 제1절 제1부두 주변 경관 정비 계획
- 제2절 세관 창고 보존 및 활용 계획
- 제3절 국제여객터미널역 설계안 검토
제5장 결론
-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결과
- 제2절 정책제언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제3절 선행연구 검토
제2장 주요 관련 계획 및 개발사업 현황 분석
- 제1절 수인선 복선전철사업 (국제터미널역 신설)
- 제2절 개항장 문화지구 지정
- 제3절 내항 재개발 사업
제3장 대상지 현황 분석
- 제1절 토지이용 현황
- 제2절 건축물 현황
제4장 제1부두 주변 정비계획 구상(안)
- 제1절 제1부두 주변 경관 정비 계획
- 제2절 세관 창고 보존 및 활용 계획
- 제3절 국제여객터미널역 설계안 검토
제5장 결론
-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결과
- 제2절 정책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