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지역경제
입주 기업 간 연계 현황 분석을 통한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활성화 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12
- 연구기간
2012.05.01 ~ 2012.10.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조성 사업은 제조업 용지의 분양이 거의 이루어졌으며 2단계 서비스 용지 공급과 관련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12개 기업과 8개 연구소의 입주가 결정되었다. 그런데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실리콘 밸리와 같은 클러스터와 달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주도로 형성된 클러스터의 경우 기업들 간의 연계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이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할 때까지 오랜 시간과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 특히 송도의 경우 분양 초기의 대내외 경제 상황의 영향으로 분양 성과가 부진했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분양 용지의 공급 물량의 소진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결과, 바이오 메디 파크에 입주할 기업들 간의 잠재적 연계 효과를 충분히 고려한 분양이 되지 못 하였다.
○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내 기업들 간의 연계 네트워크의 현황 및 잠재적 발전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
○ 공간적 범위 : 송도 및 송도 인근 지역
○ 시간적 범위 :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조성 이후 현재 까지
○ 내용상 범위
-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가 결정된 기업들의 바이오 의약 산업의 전체 분업 구조 내 역할 분석 (개별 기업 방문 조사와 문헌 조사)
- 입주 기업들의 기업 간 연계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 현황과 잠재적 연계 수요 분석)
-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에 입주한 기업들 간의 연계 상황들의 분석에 기초한 클러스터 내실화 방안 도출
○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조성 사업은 제조업 용지의 분양이 거의 이루어졌으며 2단계 서비스 용지 공급과 관련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12개 기업과 8개 연구소의 입주가 결정되었다. 그런데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실리콘 밸리와 같은 클러스터와 달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주도로 형성된 클러스터의 경우 기업들 간의 연계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이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할 때까지 오랜 시간과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 특히 송도의 경우 분양 초기의 대내외 경제 상황의 영향으로 분양 성과가 부진했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분양 용지의 공급 물량의 소진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결과, 바이오 메디 파크에 입주할 기업들 간의 잠재적 연계 효과를 충분히 고려한 분양이 되지 못 하였다.
○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내 기업들 간의 연계 네트워크의 현황 및 잠재적 발전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
○ 공간적 범위 : 송도 및 송도 인근 지역
○ 시간적 범위 :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조성 이후 현재 까지
○ 내용상 범위
-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가 결정된 기업들의 바이오 의약 산업의 전체 분업 구조 내 역할 분석 (개별 기업 방문 조사와 문헌 조사)
- 입주 기업들의 기업 간 연계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 현황과 잠재적 연계 수요 분석)
-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에 입주한 기업들 간의 연계 상황들의 분석에 기초한 클러스터 내실화 방안 도출
연구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제3절 문헌연구
1. 클러스터 개념의 발전: 마샬에서 포터로
2. 클러스터 정책: 성공과 실패의 사이
3. 바이오 클러스터 관련 최근 논의들
제2장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특성과 국내외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현황 및 최근 경향
제1절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특성
제2절 2000년대 국내외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현황
1. 국제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주요 트렌드
2. 국내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현황
3. 국내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최근 동향
제3절 소결
제3장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들의 현황 및 연계패턴
제1절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 현황
제2절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분야별 입주기업들의 현황, 입지전략 및 연계패턴
1.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바이오 의약품 연구 개발 업체 현황 및 입지전략
2.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전임상 업체와 국내외 분업구조의 변화
제3절 소결
제4장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들 간의 향후 사업 전개 방향과 업체간 연계 가능성
제1절 송도 입주 기업들의 분야별 향후 전략적 영업 전개 방향과 고용 전망
1. 바이오 의약품 연구 개발 업체
2. 바이오 의약품 제조업체의 고용 및 영업 전개 방향
3. 송도 입주 기타 바이오 업체의 고용 및 영업 전개 방향
제2절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 간 연계 가능성
1.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간 연계Ⅰ: 앵커 기업들을 중심으로 한 연계 네트워크의 가능성
2.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들 간 연계Ⅱ: 미니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 연계의 가능성
제3절 소결
제5장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활성화를 위한 입주 기업의 제안 검토 및 정책제언
제1절 입주기업의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검토
1. 연구 개발업체들의 정책 제안
2. 제조업체들의 정책 제안
3. 기타 업체들의 정책 제안
4. 업체들의 정책 제안에 대한 검토
제2절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1. 단기적 정책제언: 물리적 인프라 정비를 중심으로
2. 중기적 정책제언: 제도적 인프라 정비를 중심으로
3. 장기적 정책제언: 바이오 의약품 기업 생태계 조성을 중심으로
제6장 결론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제3절 문헌연구
1. 클러스터 개념의 발전: 마샬에서 포터로
2. 클러스터 정책: 성공과 실패의 사이
3. 바이오 클러스터 관련 최근 논의들
제2장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특성과 국내외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현황 및 최근 경향
제1절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특성
제2절 2000년대 국내외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현황
1. 국제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주요 트렌드
2. 국내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현황
3. 국내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최근 동향
제3절 소결
제3장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들의 현황 및 연계패턴
제1절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 현황
제2절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분야별 입주기업들의 현황, 입지전략 및 연계패턴
1.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바이오 의약품 연구 개발 업체 현황 및 입지전략
2.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전임상 업체와 국내외 분업구조의 변화
제3절 소결
제4장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들 간의 향후 사업 전개 방향과 업체간 연계 가능성
제1절 송도 입주 기업들의 분야별 향후 전략적 영업 전개 방향과 고용 전망
1. 바이오 의약품 연구 개발 업체
2. 바이오 의약품 제조업체의 고용 및 영업 전개 방향
3. 송도 입주 기타 바이오 업체의 고용 및 영업 전개 방향
제2절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 간 연계 가능성
1.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간 연계Ⅰ: 앵커 기업들을 중심으로 한 연계 네트워크의 가능성
2.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입주 기업들 간 연계Ⅱ: 미니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 연계의 가능성
제3절 소결
제5장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활성화를 위한 입주 기업의 제안 검토 및 정책제언
제1절 입주기업의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검토
1. 연구 개발업체들의 정책 제안
2. 제조업체들의 정책 제안
3. 기타 업체들의 정책 제안
4. 업체들의 정책 제안에 대한 검토
제2절 송도 바이오 메디 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1. 단기적 정책제언: 물리적 인프라 정비를 중심으로
2. 중기적 정책제언: 제도적 인프라 정비를 중심으로
3. 장기적 정책제언: 바이오 의약품 기업 생태계 조성을 중심으로
제6장 결론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