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행재정
인천광역시 교육격차 실태 및 해소방안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 연구자
- 발행년도
2012
- 연구기간
2012.07.02 ~ 2012.12.31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연구목적]
1.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내의 지역간 교육격차의 실태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간 교육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고자 함.
2. 교육격차는 교육기회, 교육과정, 교육결과의 세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지만, 연구의 여건상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결과에 해당하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지역간 교육격차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교육의 기회나 교육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격차는 후속연구를 통해 점차적으로 성취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1. 교육격차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교육격차 관련 변인 규정
2. 2010년과 2011년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인천시 군·구별, 학교급별 학업성취도 격차 분석
3. 학업성취도 격차 원인 분석 및 해소를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 제시
1.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내의 지역간 교육격차의 실태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간 교육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고자 함.
2. 교육격차는 교육기회, 교육과정, 교육결과의 세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지만, 연구의 여건상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결과에 해당하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지역간 교육격차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교육의 기회나 교육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격차는 후속연구를 통해 점차적으로 성취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1. 교육격차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교육격차 관련 변인 규정
2. 2010년과 2011년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인천시 군·구별, 학교급별 학업성취도 격차 분석
3. 학업성취도 격차 원인 분석 및 해소를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 제시
연구목차
Ⅱ. 교육격차 개념과 관련 요인
1. 교육격차의 개념
1) 유사 개념과 교육격차
2) 교육과정별 교육격차 개념
2. 교육격차 관련 요인
1) 개인적 요인
2) 사회적 요인
3) 이동요인
3. 교육격차 분석 모형
1) 퍼셀(Persell, 1977)의 교육격차 분석 모형
2) 한정신(1980)의 교육격차 분석 모형
3) 김영철(2003)의 교육격차 분석 모형
4) 고형일 외(2005)의 교육격차 분석 모형
4. 선행연구를 통해 본 교육격차 실태
1) 김영철(2003) : 서울시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방안
2) 강영혜 외(2004) : 교육격차의 실태 및 해소 방안 연구
3) 고형일 외(2005) : 교육격차 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
4) 성열관 외(2005) : 교육격차해소와 교육복지 확대방안 및 법안
5) 류방란 외(2006) : 교육격차: 가정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6) 하봉운(2004) : 경기도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방안
7) 박종필 외(2008) :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역 간 교육격차 실태와 해소방안
8) 서지영(2010) : 대구 구·군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기준연구
Ⅲ. 인천시 지역 간 교육격차 실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중심
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2. 인천시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1) 초등학교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실태
2) 중학교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실태
3) 고등학교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실태
3.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실태
Ⅳ. 인천시 지역 간 교육격차 문제 및 발생 원인
1. 지역 간 교육격차의 문제
1) 교육적 문제
2) 사회적 문제
2. 지역 간 교육격차의 발생 원인
1) 지역의 교육여건 차이
2) 학교의 여건 차이
3) 학생 이동 차이
Ⅴ. 인천시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방안
1.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정책 방향
1) 지역 간 부의 격차 해소
2) 교육여건의 균등화
3) 보상적 교육정책 추진
2.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방안
1) 지역여건 균형정책
2) 교육복지정책
3) 교육취약지역 지원 정책
4) 교육정책
5) 행ㆍ재정 지원정책
1. 교육격차의 개념
1) 유사 개념과 교육격차
2) 교육과정별 교육격차 개념
2. 교육격차 관련 요인
1) 개인적 요인
2) 사회적 요인
3) 이동요인
3. 교육격차 분석 모형
1) 퍼셀(Persell, 1977)의 교육격차 분석 모형
2) 한정신(1980)의 교육격차 분석 모형
3) 김영철(2003)의 교육격차 분석 모형
4) 고형일 외(2005)의 교육격차 분석 모형
4. 선행연구를 통해 본 교육격차 실태
1) 김영철(2003) : 서울시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방안
2) 강영혜 외(2004) : 교육격차의 실태 및 해소 방안 연구
3) 고형일 외(2005) : 교육격차 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
4) 성열관 외(2005) : 교육격차해소와 교육복지 확대방안 및 법안
5) 류방란 외(2006) : 교육격차: 가정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6) 하봉운(2004) : 경기도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방안
7) 박종필 외(2008) :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역 간 교육격차 실태와 해소방안
8) 서지영(2010) : 대구 구·군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기준연구
Ⅲ. 인천시 지역 간 교육격차 실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중심
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2. 인천시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1) 초등학교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실태
2) 중학교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실태
3) 고등학교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실태
3. 지역 간 학업성취도 격차 실태
Ⅳ. 인천시 지역 간 교육격차 문제 및 발생 원인
1. 지역 간 교육격차의 문제
1) 교육적 문제
2) 사회적 문제
2. 지역 간 교육격차의 발생 원인
1) 지역의 교육여건 차이
2) 학교의 여건 차이
3) 학생 이동 차이
Ⅴ. 인천시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방안
1.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정책 방향
1) 지역 간 부의 격차 해소
2) 교육여건의 균등화
3) 보상적 교육정책 추진
2.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방안
1) 지역여건 균형정책
2) 교육복지정책
3) 교육취약지역 지원 정책
4) 교육정책
5) 행ㆍ재정 지원정책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