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경인고속도로는 1969년 개통과 함께 40여년간 인천항과 서울을 직결하여 수도권 항만물동량을 실어나르는 고속도로의 역할을 충분히 해 옴.
○ 현재 경인고속도로는 고속도로의 기능을 잃은지 오래되었고, 하루종일 주차장화되어 시민들이 통행료 폐지 및 고속도로 간선화(일반도로), 직선화, 지하화 등을 수년째 요구하고 있음.
○ 21세기 글로벌 MCR(Mega City Region) 경쟁시기에는 수도권이 서울, 경기, 인천이 독자적으로 경쟁하기보다 하나의 MCR 틀 속에서 역할을 상호 보완하여 세계 MCR 들과 경쟁해야 됨.
○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경인고속도로 축은 인천국제공항, 경제자유구역의 영종 및 청라, 입체도시인 루원시티, 부평산업단지, 여의도와 동일 축상에 있어 서울, 인천,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최단거리여서 수요와 발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교통축임.
○ 인천의 국제공항, 경제자유구역과 수도권 서비스 산업의 연계를 위하여 경인고속도로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켜야 하며, 업그레이드시키는 유일한 대안이 경인고속도로를 지하화하는 방안임.
○ 여의도-신월 구간이 대심도로 민자로 추진 중에 있고 경인고속도로 직선화(서인천 I,C-청라), 제2외곽고속도로, 제3연육교가 동시에 추진 중에 있으므로 이들 고속도로가 완공시점에는 경인고속도로의 노선도 이들 고속도로가일직선으로 연결되는 노선으로 변경되어야 함.
○ 따라서 이들 노선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 경인고속도로는 반드시 지하화되어야 하며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노선은 신월-여의도 대심도 노선과 경인고속도로 직선화 노선과 고속도로로써 연결되어야 함.
○ 기존의 경인고속도로를 지하화하여 고속도로의 기능을 부과하고 상부의 도로는 다이어트하여 인천시 간선도로화 하는데 필요한 교통분석과 공사비등 기술적인 부분의 검토 및 기본계획을 함이 본 연구의 목적임.
○ 경인고속도로는 1969년 개통과 함께 40여년간 인천항과 서울을 직결하여 수도권 항만물동량을 실어나르는 고속도로의 역할을 충분히 해 옴.
○ 현재 경인고속도로는 고속도로의 기능을 잃은지 오래되었고, 하루종일 주차장화되어 시민들이 통행료 폐지 및 고속도로 간선화(일반도로), 직선화, 지하화 등을 수년째 요구하고 있음.
○ 21세기 글로벌 MCR(Mega City Region) 경쟁시기에는 수도권이 서울, 경기, 인천이 독자적으로 경쟁하기보다 하나의 MCR 틀 속에서 역할을 상호 보완하여 세계 MCR 들과 경쟁해야 됨.
○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경인고속도로 축은 인천국제공항, 경제자유구역의 영종 및 청라, 입체도시인 루원시티, 부평산업단지, 여의도와 동일 축상에 있어 서울, 인천,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최단거리여서 수요와 발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교통축임.
○ 인천의 국제공항, 경제자유구역과 수도권 서비스 산업의 연계를 위하여 경인고속도로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켜야 하며, 업그레이드시키는 유일한 대안이 경인고속도로를 지하화하는 방안임.
○ 여의도-신월 구간이 대심도로 민자로 추진 중에 있고 경인고속도로 직선화(서인천 I,C-청라), 제2외곽고속도로, 제3연육교가 동시에 추진 중에 있으므로 이들 고속도로가 완공시점에는 경인고속도로의 노선도 이들 고속도로가일직선으로 연결되는 노선으로 변경되어야 함.
○ 따라서 이들 노선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 경인고속도로는 반드시 지하화되어야 하며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노선은 신월-여의도 대심도 노선과 경인고속도로 직선화 노선과 고속도로로써 연결되어야 함.
○ 기존의 경인고속도로를 지하화하여 고속도로의 기능을 부과하고 상부의 도로는 다이어트하여 인천시 간선도로화 하는데 필요한 교통분석과 공사비등 기술적인 부분의 검토 및 기본계획을 함이 본 연구의 목적임.
연구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지하고속도로의 쟁점사항 및 설계기준
제1절 지하고속도로 추진사례
제2절 지하고속도로 주요 쟁점사항
제3절 지하고속도로 설계기준 정립
제3장 노선선정 및 공사비산정
제1절 노선선정
제2절 총사업비
제4장 교통분석
제1절 교통현황
제2절 관련계획 검토
제3절 교통수요예측
제5장 경제성 분석
제1절 경제성 분석의 전제
제2절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 기존 고속도로 무료화간선화 대안 경제성분석 결과
제3절 경인고속도로 지하화(4차로) + 기존 고속도로 존치 대안 경제성분석 결과
제6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향후 연구과제 및 정책 건의
제2장 지하고속도로의 쟁점사항 및 설계기준
제1절 지하고속도로 추진사례
제2절 지하고속도로 주요 쟁점사항
제3절 지하고속도로 설계기준 정립
제3장 노선선정 및 공사비산정
제1절 노선선정
제2절 총사업비
제4장 교통분석
제1절 교통현황
제2절 관련계획 검토
제3절 교통수요예측
제5장 경제성 분석
제1절 경제성 분석의 전제
제2절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 기존 고속도로 무료화간선화 대안 경제성분석 결과
제3절 경인고속도로 지하화(4차로) + 기존 고속도로 존치 대안 경제성분석 결과
제6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향후 연구과제 및 정책 건의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