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지속가능한 도시숲 이용을 위한 체험프로그램 지원 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13
- 연구기간
2013.03.01 ~ 2013.07.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자연에 도전하고 정복하는 초기적 자연 이용행태가 자연을 이해하고 자연을 즐기는 단계로 접어들고, 이후 숲속에서 자연치유를 하거나 영성적 체험활동을 영위하는 방향으로 숲활용 패턴이 전개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국립공원에서부터 시작된 자연 안내 및 이용 프로그램이 도시숲으로 전개되고 있는 상황임.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던 숲 체험 프로그램이 유아를 대상으로 확대됨으로서 사회적으로 숲유치원운동이 확산되고 있음.
○ 지리산 둘레길, 제주의 올레길에서 출발한 자연체험 길 조성 사업이 인천에서도 진행되어 인천둘레길로 조성중에 있음.
○ 산림청을 중심으로 전국에 생태숲, 수목원, 휴양림 조성사업이 상당기간 진행되어 일정한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고 판단됨.
○ 지금까지 도시 외곽에서 진행되어온 각종 숲 활용 프로그램에 대한 종합적 검토와 함께 도시 공간내 숲에서 활용가능한 프로그램에 대한 제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됨.
○ 따라서 지금까지 국내에서 소개되고 실천되고 있는 각종 자연 활용 프로그램을 종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 도시숲내에서 활용가능한 아이템을 도출한 후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고자함.
○ 자연에 도전하고 정복하는 초기적 자연 이용행태가 자연을 이해하고 자연을 즐기는 단계로 접어들고, 이후 숲속에서 자연치유를 하거나 영성적 체험활동을 영위하는 방향으로 숲활용 패턴이 전개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국립공원에서부터 시작된 자연 안내 및 이용 프로그램이 도시숲으로 전개되고 있는 상황임.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던 숲 체험 프로그램이 유아를 대상으로 확대됨으로서 사회적으로 숲유치원운동이 확산되고 있음.
○ 지리산 둘레길, 제주의 올레길에서 출발한 자연체험 길 조성 사업이 인천에서도 진행되어 인천둘레길로 조성중에 있음.
○ 산림청을 중심으로 전국에 생태숲, 수목원, 휴양림 조성사업이 상당기간 진행되어 일정한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고 판단됨.
○ 지금까지 도시 외곽에서 진행되어온 각종 숲 활용 프로그램에 대한 종합적 검토와 함께 도시 공간내 숲에서 활용가능한 프로그램에 대한 제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됨.
○ 따라서 지금까지 국내에서 소개되고 실천되고 있는 각종 자연 활용 프로그램을 종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 도시숲내에서 활용가능한 아이템을 도출한 후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고자함.
연구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숲체험 관련 법규 및 계획 고찰
제1절 산림문화 휴양에 관한 법률 및 관련 계획
-산림문화 휴양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산림문화 휴양기본계획(2008~2017)
산림치유지도사 양성
제2절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 및 관련 계획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산림교육종합계획(2013~2017)
-산림교육전문가 양성 및 활용
제3절 양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제4절 소결
제3장 숲체험 관련 사례 분석
제1절 인천시 관내 관련 시설
-강화자연휴양림(석모도 자연휴양림)
-산림욕장
-계양구의 계양산 치유의 숲(여가녹지)
-유아숲체험원
제2절 치유의 숲 및 자연휴양림
-숲치유에 대한 이론적 고찰
-치유의 숲 조성
-청태산 치유의 숲 사례
-청태산 자연휴양림
제3절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도시숲 내 숲속 놀이터
제4절 소결
제4장 인천광역시 치유의 숲 잠재 사업대상지 분석
제1절 치유의 숲 잠재사업대상지 분석
-인천대공원 관모산 일원
-강화군 고려산 북사면
-강화군 혈구산 북사면
-간화군 덕산산림욕장
-강화군 교동면 화개산 북사면
제2절 종합 및 제언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결론
-다양한 숲 체험공간 확대 및 관련 전문직 종사자의 양산
-산림청의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서비스 정책 강화
-숲체험 프로그램 사례
-인천광역시 치유의 숲 잠재 사업대상지
제2절 정책제언
관련 지역계획 수립을 통한 선제적, 종합적 대응
-치유의 숲 적극적 추진
-유아숲체험원 확대
부 록
-1급 산림치유지도사 이수자격 평가시험 기본항목
-숲해설가 양성기관 지정현황
-유아숲지도사 전문과정의 교육 내용
제2장 숲체험 관련 법규 및 계획 고찰
제1절 산림문화 휴양에 관한 법률 및 관련 계획
-산림문화 휴양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산림문화 휴양기본계획(2008~2017)
산림치유지도사 양성
제2절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 및 관련 계획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산림교육종합계획(2013~2017)
-산림교육전문가 양성 및 활용
제3절 양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제4절 소결
제3장 숲체험 관련 사례 분석
제1절 인천시 관내 관련 시설
-강화자연휴양림(석모도 자연휴양림)
-산림욕장
-계양구의 계양산 치유의 숲(여가녹지)
-유아숲체험원
제2절 치유의 숲 및 자연휴양림
-숲치유에 대한 이론적 고찰
-치유의 숲 조성
-청태산 치유의 숲 사례
-청태산 자연휴양림
제3절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도시숲 내 숲속 놀이터
제4절 소결
제4장 인천광역시 치유의 숲 잠재 사업대상지 분석
제1절 치유의 숲 잠재사업대상지 분석
-인천대공원 관모산 일원
-강화군 고려산 북사면
-강화군 혈구산 북사면
-간화군 덕산산림욕장
-강화군 교동면 화개산 북사면
제2절 종합 및 제언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결론
-다양한 숲 체험공간 확대 및 관련 전문직 종사자의 양산
-산림청의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서비스 정책 강화
-숲체험 프로그램 사례
-인천광역시 치유의 숲 잠재 사업대상지
제2절 정책제언
관련 지역계획 수립을 통한 선제적, 종합적 대응
-치유의 숲 적극적 추진
-유아숲체험원 확대
부 록
-1급 산림치유지도사 이수자격 평가시험 기본항목
-숲해설가 양성기관 지정현황
-유아숲지도사 전문과정의 교육 내용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