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인천광역시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 수립 방향에 관한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4
- 연구기간
2014.02.01 ~ 2014.12.27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014년 9월 29일 ∼10월 17일 사이에 강원도 평창에서 생물다양성협약(CBD) 12차 당사국 총회가 개최될 예정임.
*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은 유엔환경계획(UNEP)이 주관하는 정부간 협상회의로서 1992년 5월에 시작됨.
* 2008년 독일 본, 2010년 일본 나고야, 2012년 인도 히데가바드에서 개최됨.
* 2008년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9차 총회에서 도시생물다양성에 대한 결의문이 채택됨. 이후 도시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관리와 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 환경부에서는 CBI(City Biodiversity Index)를 개발하여 도시의 생물다양성 증진을 추진하고 있음.
○ 인천광역시는 인천도시공사와 함께 도시생물다양성 국제 컨퍼런스(URBIO Conference)를 후원할 예정임. 국제행사는 평창회의 기간중인 10월 9일∼11일(2박3일)에 송도국제도시 포스코 R&D 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임.
* URBIO(Urban Biodiversity and Design)는 2008년 독일 에르푸르트(Erfurt)에서 첫회의를 개최하면서 도시생물다양성관련 전문가들의 네트워크의 비영리조직으로 발촉함. 2013년 12월 현재 전세계 60개국 918명이 회원으로 가입됨. 네트워크 회장은 독일 에르푸르트 응용과학대학의 노르페르트 뮐러임.
* 공동주관은 사무국과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임.
* 올해의 주제는 도시와 물이며 세부주제로서는 물과 녹색인프라, 도시습지복원, 도시의 안정성, 도시생물다양성 법과 제도, 도시생물다양성을 위한 참여와 협력, 녹색복지와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과 산업 등 7가지의 주제임.
○ 따라서 국내외적인 여건상 인천시의 도시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됨.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에서 도시의 생물다양성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사업할 수 있도록 선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함.
○ 2014년 9월 29일 ∼10월 17일 사이에 강원도 평창에서 생물다양성협약(CBD) 12차 당사국 총회가 개최될 예정임.
*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은 유엔환경계획(UNEP)이 주관하는 정부간 협상회의로서 1992년 5월에 시작됨.
* 2008년 독일 본, 2010년 일본 나고야, 2012년 인도 히데가바드에서 개최됨.
* 2008년 독일 본에서 개최된 제9차 총회에서 도시생물다양성에 대한 결의문이 채택됨. 이후 도시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관리와 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 환경부에서는 CBI(City Biodiversity Index)를 개발하여 도시의 생물다양성 증진을 추진하고 있음.
○ 인천광역시는 인천도시공사와 함께 도시생물다양성 국제 컨퍼런스(URBIO Conference)를 후원할 예정임. 국제행사는 평창회의 기간중인 10월 9일∼11일(2박3일)에 송도국제도시 포스코 R&D 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임.
* URBIO(Urban Biodiversity and Design)는 2008년 독일 에르푸르트(Erfurt)에서 첫회의를 개최하면서 도시생물다양성관련 전문가들의 네트워크의 비영리조직으로 발촉함. 2013년 12월 현재 전세계 60개국 918명이 회원으로 가입됨. 네트워크 회장은 독일 에르푸르트 응용과학대학의 노르페르트 뮐러임.
* 공동주관은 사무국과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임.
* 올해의 주제는 도시와 물이며 세부주제로서는 물과 녹색인프라, 도시습지복원, 도시의 안정성, 도시생물다양성 법과 제도, 도시생물다양성을 위한 참여와 협력, 녹색복지와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과 산업 등 7가지의 주제임.
○ 따라서 국내외적인 여건상 인천시의 도시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됨.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에서 도시의 생물다양성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사업할 수 있도록 선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함.
연구목차
제2장 생물다양성 전략 관련 국내외 동향
제1절 국제 동향
1. 생물다양성 협약 및 아이치타켓
2. 제12차 평창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3. Urbio(Urban Biodiversity and Design, 도시 생물다양성과 설계에 관한 국제학술회의)
4. ICLEI 도시생물다양성 지침
5. 해외 도시사례
제2절 국내 동향
1.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의 주요 내용 및 지자체 관련 사항
2. ICLEI 한국 사무소의 도시생물다양성 지역실천사업(LAB-Korea)
3. 지자체 생물다양성 전략 및 실천사업
4. 국내 도시사례
제3절 관련 법 및 조례 현황
1.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2. 경기도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조례
3. 생물다양성법 등 관련 법 분석
제3장 인천광역시 자연자원 및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현황
제1절 주요 자연자원 및 보전지역 현황
1. 주요 동·식물 현황
2. 보전지역 현황
3. 도시생태현황도 작성 결과
제2절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현황
1. 자연환경보전 실천계획
2. 인천 연안도서 해양환경조사 및 보전·관리계획
3. 인천광역시 철새보전종합대책 수립 연구
4. 인천광역시 2025 도시기본계획
5. 2020년 인천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
6. 종합
제4장 인천광역시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 추진방향 및 정책 제언
제1절 시민참여를 기본으로 하여 중앙정부 전략과 연계
1. 중앙정부 전략계획의 틀 활용
2. 지역의 특성 반영과 시민 참여를 통한 계획 수립
3. 인천광역시 생물다양성 전략 및 실천사업 예시
제2절 생물다양성 보전전략과 기존의 자연보전 관련 계획과의 관계 설정
제3절 기타 정책 제언
1. 생물다양성 주류화를 위한 연구 및 실천사업 진행
2. 특정도서 추가 건의 및 정보 공유
3. 관련 조례 정비
제1절 국제 동향
1. 생물다양성 협약 및 아이치타켓
2. 제12차 평창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3. Urbio(Urban Biodiversity and Design, 도시 생물다양성과 설계에 관한 국제학술회의)
4. ICLEI 도시생물다양성 지침
5. 해외 도시사례
제2절 국내 동향
1.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의 주요 내용 및 지자체 관련 사항
2. ICLEI 한국 사무소의 도시생물다양성 지역실천사업(LAB-Korea)
3. 지자체 생물다양성 전략 및 실천사업
4. 국내 도시사례
제3절 관련 법 및 조례 현황
1.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2. 경기도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조례
3. 생물다양성법 등 관련 법 분석
제3장 인천광역시 자연자원 및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현황
제1절 주요 자연자원 및 보전지역 현황
1. 주요 동·식물 현황
2. 보전지역 현황
3. 도시생태현황도 작성 결과
제2절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현황
1. 자연환경보전 실천계획
2. 인천 연안도서 해양환경조사 및 보전·관리계획
3. 인천광역시 철새보전종합대책 수립 연구
4. 인천광역시 2025 도시기본계획
5. 2020년 인천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
6. 종합
제4장 인천광역시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 추진방향 및 정책 제언
제1절 시민참여를 기본으로 하여 중앙정부 전략과 연계
1. 중앙정부 전략계획의 틀 활용
2. 지역의 특성 반영과 시민 참여를 통한 계획 수립
3. 인천광역시 생물다양성 전략 및 실천사업 예시
제2절 생물다양성 보전전략과 기존의 자연보전 관련 계획과의 관계 설정
제3절 기타 정책 제언
1. 생물다양성 주류화를 위한 연구 및 실천사업 진행
2. 특정도서 추가 건의 및 정보 공유
3. 관련 조례 정비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