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동북아국제
중국 중부 지역발전에 관한 연구 ; 권역 거점도시 육성과 역량분석을 중심으로
- 연구자
- 발행년도
2014
- 연구기간
2014.02.01 ~ 2014.12.27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중국 발전패러다임의 전환, 권역별 거점도시 육성을 통한 내수경제 발전전략
○ 중국은 세계경제의 침체 속에서 권역별 거점도시와 도시네트워크 육성을 통해 성장의 중심축을 육성하고 경제활동의 지역적 집적도를 높임으로써 지역 별 성장동력과 내수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발전패러다임 구축
○ 중부권역,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도약
○ 연해도시 우대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인해 저성장의 낙후지역으로 전락했던 중국의 중부권역이 발전패러다임 전환에 힘입어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부상
○ 중부권역 주요 도시들이 점차 지역성장의 거점이자 도시네트워크의 중심으로 자리매김
○ 인천시 선도적 교류영역 개척과 교류·비즈니스 연계전략 수립 필요
○ 수도권 관문이자 대 중국교류 선도도시인 인천은 1992년 한중수교 이후 다양한 영역에서 중국교류 경험을 축적해 옴
○ 특히, 지리적 근접성, 물류․항운 등 산업연계에 주안점을 두고 주로 환발해 권역의 중국도시들과 자매우호결연 등 교류 사업을 진행
○ 최근 서부지역의 충칭, 동북지역의 선양, 하얼빈 등과의 교류연계를 맺는 등 교류지역을 점차 넓히고 있으나 중부지역과의 교류 및 비즈니스 교류는 미비함
○ 거점 도시육성을 중심으로 한 중국 중부권역 지역발전에 대한 조사에 기초하여 교류·협력 방향을 선도적으로 제시하고 효과적 연계를 위한 전략과제 제안
○ 중국 발전패러다임의 전환, 권역별 거점도시 육성을 통한 내수경제 발전전략
○ 중국은 세계경제의 침체 속에서 권역별 거점도시와 도시네트워크 육성을 통해 성장의 중심축을 육성하고 경제활동의 지역적 집적도를 높임으로써 지역 별 성장동력과 내수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발전패러다임 구축
○ 중부권역,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도약
○ 연해도시 우대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인해 저성장의 낙후지역으로 전락했던 중국의 중부권역이 발전패러다임 전환에 힘입어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부상
○ 중부권역 주요 도시들이 점차 지역성장의 거점이자 도시네트워크의 중심으로 자리매김
○ 인천시 선도적 교류영역 개척과 교류·비즈니스 연계전략 수립 필요
○ 수도권 관문이자 대 중국교류 선도도시인 인천은 1992년 한중수교 이후 다양한 영역에서 중국교류 경험을 축적해 옴
○ 특히, 지리적 근접성, 물류․항운 등 산업연계에 주안점을 두고 주로 환발해 권역의 중국도시들과 자매우호결연 등 교류 사업을 진행
○ 최근 서부지역의 충칭, 동북지역의 선양, 하얼빈 등과의 교류연계를 맺는 등 교류지역을 점차 넓히고 있으나 중부지역과의 교류 및 비즈니스 교류는 미비함
○ 거점 도시육성을 중심으로 한 중국 중부권역 지역발전에 대한 조사에 기초하여 교류·협력 방향을 선도적으로 제시하고 효과적 연계를 위한 전략과제 제안
연구목차
제2장 중국 권역 성장거점 육성 전략
제1절 중국 개혁 전후 지역발전전략 특징
1. 개혁이전의 내륙중심의 발전전략 (1949년~77년)
2. 개혁개방 초·중기 불균형 발전전략 (1978년~95년)
제2절 권역거점 육성 전략의 대두
1. ‘조화로운 사회건설’ 지역발전 전략 반영 (2004년)
2. 권역거점 도시군 육성 전략 제기 (2005년)
3. 권역별 도시군 전략의 전면화 (2011년)
4. 시진핑의 심화개혁과 권역거점 전략 (2013년)
제3절 소결
제3장 중부지역의 성장거점 육성전략
제1절 중부굴기전략 개요
1. 중부굴기전략 대상지역
2. 중부굴기전략과 도시군
제2절 후베이성 성장거점 육성전략
1. 우한도시군 계획
2. 산업 분야
3. 물류·교통 분야
제3절 허난성 성장거점 육성전략
1. 중웬도시군 발전전략
2. 산업 분야
3. 물류·교통 분야
제4절 소결
제4장 중부 권역 거점도시 역량 분석
제1절 중부지역 경제역량 비교
1. 경제규모 및 산업구조·투자
2. 시장 규모 및 소비
3. 대외연계 부문
제2절 우한의 경제역량과 집중도 분석
1. 생산부문
2. 시장규모 및 발전 추이
3. 대외연계 부문
제3절 정저우의 경제역량과 집중도 분석
1. 생산부문
2. 시장규모 및 발전 추이
3. 대외연계 부문
제4절 소결
제5장 결론
제1절 중부 권역거점 성장에 따른 기회요인
제2절 인천-중부권역 교류여건 및 연계방안
1. 인천- 중부권역 지방외교
2. 인천-중부 산업연계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제1절 중국 개혁 전후 지역발전전략 특징
1. 개혁이전의 내륙중심의 발전전략 (1949년~77년)
2. 개혁개방 초·중기 불균형 발전전략 (1978년~95년)
제2절 권역거점 육성 전략의 대두
1. ‘조화로운 사회건설’ 지역발전 전략 반영 (2004년)
2. 권역거점 도시군 육성 전략 제기 (2005년)
3. 권역별 도시군 전략의 전면화 (2011년)
4. 시진핑의 심화개혁과 권역거점 전략 (2013년)
제3절 소결
제3장 중부지역의 성장거점 육성전략
제1절 중부굴기전략 개요
1. 중부굴기전략 대상지역
2. 중부굴기전략과 도시군
제2절 후베이성 성장거점 육성전략
1. 우한도시군 계획
2. 산업 분야
3. 물류·교통 분야
제3절 허난성 성장거점 육성전략
1. 중웬도시군 발전전략
2. 산업 분야
3. 물류·교통 분야
제4절 소결
제4장 중부 권역 거점도시 역량 분석
제1절 중부지역 경제역량 비교
1. 경제규모 및 산업구조·투자
2. 시장 규모 및 소비
3. 대외연계 부문
제2절 우한의 경제역량과 집중도 분석
1. 생산부문
2. 시장규모 및 발전 추이
3. 대외연계 부문
제3절 정저우의 경제역량과 집중도 분석
1. 생산부문
2. 시장규모 및 발전 추이
3. 대외연계 부문
제4절 소결
제5장 결론
제1절 중부 권역거점 성장에 따른 기회요인
제2절 인천-중부권역 교류여건 및 연계방안
1. 인천- 중부권역 지방외교
2. 인천-중부 산업연계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