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 도시공간 미래전망을 위한 방법론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5
- 연구기간
2015.01.01 ~ 2015.10.30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국제적인 환경변화는 물론 내부에서의 여건도 급변하고 있고 예상치 못한 변화의 흐름들이 나타나고 있어 도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임. 인천시 또한 인구의 저출산·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다문화사회 등 사회구조적 변화가 진행 중에 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자연재해, 중국경제 급부상에 따른 동북아시장 확대 등의 여건변화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임
○ 최근 지방정부차원에서도 국가 또는 기업에서와 같이 중・장기적 관점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개발 등 미래를 전망하고 준비하는 미래연구 수행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음. 인천시에서도 미래연구를 통하여 인천이 추구해야 할 장기비전을 설정하고, 미래비전 달성을 위한 인천시정의 원칙과 정책 수립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미래전략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미래를 전망함에 있어 국토 및 도시단위의 공간변화에 대한 관심이 중요한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음. 국가차원에서는 미래 국토발전 장기전망과 실천전략 연구를 통하여 국토발전 전망과정과 미래예측 방법론 등을 종합하여 시나리오와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하는 미래 국토발전 장기전망 방법론을 제시하였음. 여건변화 및 영향 분석, 핵심변인 선정 등의 과정을 거쳐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공간시뮬레이션 모형개발을 통하여 시나리오별 공간적 전망의 시각화를 실현함. 이를 통해 국토발전을 위한 실천전략을 제시하고 있음
○ 서울시의 경우 미래 도시공간 변화 연구를 통해 향후 20년을 내다보면서 구조적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는 미래 도시공간의 진화 모습을 유형별로 전망하고 주요 정책과제를 도출하였음. 공간시뮬레이션을 통한 정량적 방법론과는 차별화되는 아젠다 도출 및 유형별 연구테마 설정 및 논의쟁점을 도출하는 정성적 방법론을 활용하고 있음
○ 인천시 역시 경제자유구역과 기성시가지, 강화와 옹진군의 비도시지역과 섬, 산업단지, 개발제한구역 등 다양한 공간적 요소를 가진 특성을 감안한 체계적 미래전망이 요구됨. 따라서 도시공간의 미래전망을 위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미래전망에 대한 다양한 방법론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인천시 특성을 감안한 도시공간 미래전망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함
○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국제적인 환경변화는 물론 내부에서의 여건도 급변하고 있고 예상치 못한 변화의 흐름들이 나타나고 있어 도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임. 인천시 또한 인구의 저출산·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다문화사회 등 사회구조적 변화가 진행 중에 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자연재해, 중국경제 급부상에 따른 동북아시장 확대 등의 여건변화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임
○ 최근 지방정부차원에서도 국가 또는 기업에서와 같이 중・장기적 관점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개발 등 미래를 전망하고 준비하는 미래연구 수행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음. 인천시에서도 미래연구를 통하여 인천이 추구해야 할 장기비전을 설정하고, 미래비전 달성을 위한 인천시정의 원칙과 정책 수립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미래전략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미래를 전망함에 있어 국토 및 도시단위의 공간변화에 대한 관심이 중요한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음. 국가차원에서는 미래 국토발전 장기전망과 실천전략 연구를 통하여 국토발전 전망과정과 미래예측 방법론 등을 종합하여 시나리오와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하는 미래 국토발전 장기전망 방법론을 제시하였음. 여건변화 및 영향 분석, 핵심변인 선정 등의 과정을 거쳐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공간시뮬레이션 모형개발을 통하여 시나리오별 공간적 전망의 시각화를 실현함. 이를 통해 국토발전을 위한 실천전략을 제시하고 있음
○ 서울시의 경우 미래 도시공간 변화 연구를 통해 향후 20년을 내다보면서 구조적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는 미래 도시공간의 진화 모습을 유형별로 전망하고 주요 정책과제를 도출하였음. 공간시뮬레이션을 통한 정량적 방법론과는 차별화되는 아젠다 도출 및 유형별 연구테마 설정 및 논의쟁점을 도출하는 정성적 방법론을 활용하고 있음
○ 인천시 역시 경제자유구역과 기성시가지, 강화와 옹진군의 비도시지역과 섬, 산업단지, 개발제한구역 등 다양한 공간적 요소를 가진 특성을 감안한 체계적 미래전망이 요구됨. 따라서 도시공간의 미래전망을 위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미래전망에 대한 다양한 방법론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인천시 특성을 감안한 도시공간 미래전망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함
연구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도시공간 미래전망의 이해
제1절 미래전망의 필요성과 의의
1. 민간기업의 중장기 성장전략 수립
2. 공공정책 수립의 토대
3. 미래전망의 학문적 영역 구축
제2절 미래전망 관련 사례조사
1. 민간기업의 중장기 성장전략
2. 공공정책으로서 미래전략 수립
3. 학술적 차원에서의 미래연구
제3절 도시공간 미래전망의 의미
1. 미래전망에서의 도시공간
2. 공공정책과 도시공간
제3장 도시공간 미래전망 방법론 고찰
제1절 미래전망 기법의 유형
1. 미래전망 기법의 유형과 특성
2. 미래전망 주요 기법의 특징
3. 시나리오 기법 기반의 복합적 활용
제2절 도시공간 미래전망 사례
1. 국외 전망 사례
2. 국내 전망 사례
3. 국내외 선행연구의 검토결과
제3절 도시공간 미래전망 방법론 선정
1. 미래전망 방법론 선정과정
2. 미래전망 연구의 적용가능방법론 선정
제4장 인천 도시공간 미래전망 방법론 정립
제1절 적용방향과 운영 단계
1. 시나리오 기법의 적용방향
2. 도시공간 미래전망 기법의 운용 단계
제2절 변화요인 분석과 선정
1. 전망대상 선정
2. 미래 트렌드 분석과 변화요인 도출
3. 시나리오 변화요인 선정
제3절 미래시나리오 작성과 활용
1. 시나리오 작성 기준
2. 시나리오 작성
3. 시나리오 결과의 활용
제2장 도시공간 미래전망의 이해
제1절 미래전망의 필요성과 의의
1. 민간기업의 중장기 성장전략 수립
2. 공공정책 수립의 토대
3. 미래전망의 학문적 영역 구축
제2절 미래전망 관련 사례조사
1. 민간기업의 중장기 성장전략
2. 공공정책으로서 미래전략 수립
3. 학술적 차원에서의 미래연구
제3절 도시공간 미래전망의 의미
1. 미래전망에서의 도시공간
2. 공공정책과 도시공간
제3장 도시공간 미래전망 방법론 고찰
제1절 미래전망 기법의 유형
1. 미래전망 기법의 유형과 특성
2. 미래전망 주요 기법의 특징
3. 시나리오 기법 기반의 복합적 활용
제2절 도시공간 미래전망 사례
1. 국외 전망 사례
2. 국내 전망 사례
3. 국내외 선행연구의 검토결과
제3절 도시공간 미래전망 방법론 선정
1. 미래전망 방법론 선정과정
2. 미래전망 연구의 적용가능방법론 선정
제4장 인천 도시공간 미래전망 방법론 정립
제1절 적용방향과 운영 단계
1. 시나리오 기법의 적용방향
2. 도시공간 미래전망 기법의 운용 단계
제2절 변화요인 분석과 선정
1. 전망대상 선정
2. 미래 트렌드 분석과 변화요인 도출
3. 시나리오 변화요인 선정
제3절 미래시나리오 작성과 활용
1. 시나리오 작성 기준
2. 시나리오 작성
3. 시나리오 결과의 활용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