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동북아국제
중국 산둥지역 발전에 관한 연구: 경제·산업현황 및 발전정책을 중심으로
- 연구자
- 발행년도
2015
- 연구기간
2015.02.01 ~ 2015.10.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가공무역을 통해 중국 황해권역의 경제발전을 선도해 왔던 산둥성은 내수경제 중심의 국가발 전전략 전환에 발 맞춰 경제·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산둥성의 1·2·3차 산업비중은 2004년 12:56:32에서 2013년 9:50:41로 변화
○ 특히, 산둥성은 한중FTA 체결에 대비한 대외개방 확대 및 한중경제무역합작시범지역((中韓經 濟貿易合作示範區) 설치 등의 조치를 통하여 여건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음
○ 한중FAT의 기회요인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천의 최대 중국 교역·투자 거점인 중국 산둥 인천 대 중국 투자 1위 : 인천 대 중국 전체 투자액 168억 2,800만 달러 가운데 산둥성에 전체의 45%인 약 77억 달러 투자 (2013년 누적 투자 기준), 인천 대 중국 주요 항만 집중(칭다오항, 웨이하이항, 옌타이항), 인천 대 중국 지방교류 거점: 칭다오시 우호결연 (1995년), 산둥성 우호결연 (2004년), 옌타이시 우호결연(2007) 의 변화 내용 및 특징에 대한 면밀한 파악에 기초 한 지역 차원의 교류 및 비즈니스 지원 방안 수립이 필요함
○ 생산거점, 소비시장, 대외교역의 측면에서 산둥 및 성 거점도시들이 갖는 역량과 성장잠재력 분석 그리고 인천의 여건 진단에 기초한 인천-산둥 교류·비즈니스 유망 분야 및 타켓 지역 선정
○인천- 산둥 교류·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제안
○ 가공무역을 통해 중국 황해권역의 경제발전을 선도해 왔던 산둥성은 내수경제 중심의 국가발 전전략 전환에 발 맞춰 경제·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산둥성의 1·2·3차 산업비중은 2004년 12:56:32에서 2013년 9:50:41로 변화
○ 특히, 산둥성은 한중FTA 체결에 대비한 대외개방 확대 및 한중경제무역합작시범지역((中韓經 濟貿易合作示範區) 설치 등의 조치를 통하여 여건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음
○ 한중FAT의 기회요인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천의 최대 중국 교역·투자 거점인 중국 산둥 인천 대 중국 투자 1위 : 인천 대 중국 전체 투자액 168억 2,800만 달러 가운데 산둥성에 전체의 45%인 약 77억 달러 투자 (2013년 누적 투자 기준), 인천 대 중국 주요 항만 집중(칭다오항, 웨이하이항, 옌타이항), 인천 대 중국 지방교류 거점: 칭다오시 우호결연 (1995년), 산둥성 우호결연 (2004년), 옌타이시 우호결연(2007) 의 변화 내용 및 특징에 대한 면밀한 파악에 기초 한 지역 차원의 교류 및 비즈니스 지원 방안 수립이 필요함
○ 생산거점, 소비시장, 대외교역의 측면에서 산둥 및 성 거점도시들이 갖는 역량과 성장잠재력 분석 그리고 인천의 여건 진단에 기초한 인천-산둥 교류·비즈니스 유망 분야 및 타켓 지역 선정
○인천- 산둥 교류·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제안
연구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산둥 지역발전과 거점도시의 형성
제1절 권역별 성장거점 육성 전략의 제기
1. 동부 연해도시 중심의 지역발전
2. 권역별 성장거점의 육성
제2절 산둥 지역발전전략과 거점도시의 형성
1. 시장화 개혁과 연해도시의 개방 (1978-1990)
2. 대외개방 확대와 거점도시의 육성 (1991-2000)
3. 거점도시의 발전과 도시군의 형성 (2001-2010)
4. 발전전략의 전환과 권역별 도시군의 확대 (2011-현재)
제3장 산둥성 및 권역 주요도시 경제역량 분석
제1절 산둥성 경제역량 분석
1. 지역경제 · 투자 규모 및 성장
2. 소비경제 규모 및 추이
3. 수출입 규모 및 성장
제2절 산둥성 권역별 주요도시 경제역량 분석
1. 지역경제 규모 및 성장
2. 산업구조
3. 소비경제 규모 및 성장
4. 대외경제 규모 및 성장
제3절 소결
제4장 산둥성 권역별 주요 도시의 산업발전 현황 및 특징
제1절 산둥성 권역별 주요 도시의 산업특화도 분석
1. 동부연해권역 도시의 산업특화도
2. 중서부권역 도시의 산업특화도
3. 남부권역 도시의 산업특화도
제2절 산둥성 권역별 주요 도시의 산업발전 및 경제개발구 현황
1. 동부연해 권역
2. 중서부권역
3. 남북권역
제5장 결론
제1절 산둥성 권역 주요 도시 발전현황
제2절 인천-산둥 교류여건 및 연계방안
1. 인천-산둥 지방교류 현황 및 과제
2. 인천-산둥 산업연계 현황 및 과제
3. 인천-중국 교류협력 강화를 위한 추진체계 정비
제2장 산둥 지역발전과 거점도시의 형성
제1절 권역별 성장거점 육성 전략의 제기
1. 동부 연해도시 중심의 지역발전
2. 권역별 성장거점의 육성
제2절 산둥 지역발전전략과 거점도시의 형성
1. 시장화 개혁과 연해도시의 개방 (1978-1990)
2. 대외개방 확대와 거점도시의 육성 (1991-2000)
3. 거점도시의 발전과 도시군의 형성 (2001-2010)
4. 발전전략의 전환과 권역별 도시군의 확대 (2011-현재)
제3장 산둥성 및 권역 주요도시 경제역량 분석
제1절 산둥성 경제역량 분석
1. 지역경제 · 투자 규모 및 성장
2. 소비경제 규모 및 추이
3. 수출입 규모 및 성장
제2절 산둥성 권역별 주요도시 경제역량 분석
1. 지역경제 규모 및 성장
2. 산업구조
3. 소비경제 규모 및 성장
4. 대외경제 규모 및 성장
제3절 소결
제4장 산둥성 권역별 주요 도시의 산업발전 현황 및 특징
제1절 산둥성 권역별 주요 도시의 산업특화도 분석
1. 동부연해권역 도시의 산업특화도
2. 중서부권역 도시의 산업특화도
3. 남부권역 도시의 산업특화도
제2절 산둥성 권역별 주요 도시의 산업발전 및 경제개발구 현황
1. 동부연해 권역
2. 중서부권역
3. 남북권역
제5장 결론
제1절 산둥성 권역 주요 도시 발전현황
제2절 인천-산둥 교류여건 및 연계방안
1. 인천-산둥 지방교류 현황 및 과제
2. 인천-산둥 산업연계 현황 및 과제
3. 인천-중국 교류협력 강화를 위한 추진체계 정비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