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인천광역시 도시환경지표 변화분석 및 스토리텔링 자원 발굴
- 연구자
- 발행년도
2015
- 연구기간
2015.02.02 ~ 2015.10.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지방자치 이후 인천의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 수립 및 예산 투자를 통한 수많은 시책들이 추진되어 왔음.
2. 과거로부터의 환경정책 추진 및 예산투자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뒤로 한 채 현안중심의 대처와 중앙정부의 요구에 맞춰 새로운 목표를 작성하고 대내외적으로 홍보함으로써, 제시하는 목표의 현실성이나 달성가능성에 대한 시민사회의 의구심과 불신이 상존하고 있음.
3. 지난 20년 동안 환경녹지분야의 정책추진을 통해 인천지역에서도 도시환경개선의 긍정적 변화와 성과가 있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 분석은 고사하고 통계 및 사진자료 등의 기초자료마저 체계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지 못해왔음.
4. 인천시민과 방문자들에게 도시환경지표의 긍정적 변화를 과도하게 포장하여 막연하게 홍보하기보다는, 자매도시인 기타큐슈시의 환경개선 성과를 소개하고 시의 홍보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벤치마킹함으로써, 과거로부터의 노력과 성과에 입각하여 인천환경을 소개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의 테마와 자원을 발굴하고자 함.
1. 지방자치 이후 인천의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 수립 및 예산 투자를 통한 수많은 시책들이 추진되어 왔음.
2. 과거로부터의 환경정책 추진 및 예산투자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뒤로 한 채 현안중심의 대처와 중앙정부의 요구에 맞춰 새로운 목표를 작성하고 대내외적으로 홍보함으로써, 제시하는 목표의 현실성이나 달성가능성에 대한 시민사회의 의구심과 불신이 상존하고 있음.
3. 지난 20년 동안 환경녹지분야의 정책추진을 통해 인천지역에서도 도시환경개선의 긍정적 변화와 성과가 있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 분석은 고사하고 통계 및 사진자료 등의 기초자료마저 체계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지 못해왔음.
4. 인천시민과 방문자들에게 도시환경지표의 긍정적 변화를 과도하게 포장하여 막연하게 홍보하기보다는, 자매도시인 기타큐슈시의 환경개선 성과를 소개하고 시의 홍보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벤치마킹함으로써, 과거로부터의 노력과 성과에 입각하여 인천환경을 소개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의 테마와 자원을 발굴하고자 함.
연구목차
Ⅱ. 인천의 도시환경지표 집계 및 변화분석
1. 도시환경지표의 자료수집
1) 대상항목
2) 수집방식 및 자료출처
3) 수집 및 정리방법
4) 인천의제21 분야별 지표
5) 수집 및 분석과정의 어려움과 한계
2. 개별지표별 변화특성 및 계획목표 충족도 분석
1) 지표별 변화특성
2) 계획목표 충족도 분석
3. 도시환경관리의 대내외적 여건과 관리특성 분석
1) 국가적 차원의 여건
2) 인천 도시차원의 여건
3) 추가검토지표 98
Ⅲ. 중점분석지표의 선정 및 평가
1. 중점분석 대상지표 선정 및 시공간적 정의
2. 중점분석지표 선정
1) 중점분석지표 선정개요
2) 중점분석지표 선정결과
3. 중점분석지표와 유관지표들과의 비교평가
1) 분야별 예산투자
2) 중점분석지표와 유관지표들과의 비교 및 연계 평가
3) 시민환경체감도의 변화
4) 중점분석지표의 연계평가 결과
4. 평가결과
1) 긍정적 변화항목
2) 현상유지 및 부정적 변화항목
Ⅳ. 스토리텔링 자원 발굴 및 정책적 시사점
1. 대상항목별 스토리텔링 자료수집 및 자원 발굴
1) 조사개요
2) 자료수집 및 자원 발굴
3) 대상항목별 수집자료 목록화
2. 정책제언 대상항목에 대한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1) 정책제언 대상항목에 대한 원인분석
2) 항목별 시사점과 정책적 접근
3) 본 연구의 한계와 제안
1. 도시환경지표의 자료수집
1) 대상항목
2) 수집방식 및 자료출처
3) 수집 및 정리방법
4) 인천의제21 분야별 지표
5) 수집 및 분석과정의 어려움과 한계
2. 개별지표별 변화특성 및 계획목표 충족도 분석
1) 지표별 변화특성
2) 계획목표 충족도 분석
3. 도시환경관리의 대내외적 여건과 관리특성 분석
1) 국가적 차원의 여건
2) 인천 도시차원의 여건
3) 추가검토지표 98
Ⅲ. 중점분석지표의 선정 및 평가
1. 중점분석 대상지표 선정 및 시공간적 정의
2. 중점분석지표 선정
1) 중점분석지표 선정개요
2) 중점분석지표 선정결과
3. 중점분석지표와 유관지표들과의 비교평가
1) 분야별 예산투자
2) 중점분석지표와 유관지표들과의 비교 및 연계 평가
3) 시민환경체감도의 변화
4) 중점분석지표의 연계평가 결과
4. 평가결과
1) 긍정적 변화항목
2) 현상유지 및 부정적 변화항목
Ⅳ. 스토리텔링 자원 발굴 및 정책적 시사점
1. 대상항목별 스토리텔링 자료수집 및 자원 발굴
1) 조사개요
2) 자료수집 및 자원 발굴
3) 대상항목별 수집자료 목록화
2. 정책제언 대상항목에 대한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1) 정책제언 대상항목에 대한 원인분석
2) 항목별 시사점과 정책적 접근
3) 본 연구의 한계와 제안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