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지역경제
인천광역시 생계형자영업의 사업체생존율과 일자리 실태
- 연구자
- 발행년도
2015
- 연구기간
2015.08.01 ~ 2015.11.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소상공인은 인천경제의 저변을 강화하는 중요한 주체임과 동시에 경제성장의 기초 동력임에도 불구하고 기본 통계자료의 부재로 창업 및 경영상담시 애로사항이 발생
○ 인천지역 생계형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사업구조 분포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한 기본적인 통계 및 조사가 요구됨
[연구의 목적]
○ 예비 창업자에게 지역별·업종별 자영업 과밀정도를 사전에 알려 자율적인 창업 진입 규제 환경 조성
- 예비 창업자들이 업종 및 상권을 바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
- 개략적인 상권정보와 업종별 밀집현황을 통하여 창업준비 시 간편한 상권분석 도모
[주요연구내용]
「2014년도 사업체 통계조사」를 대상으로 인천시 생계형 자영업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생계형 자영업’의 통계를 작성
※ 생계형 자영업자 : 다음과 같은 업종으로 종사자가 5인 이하인 업종
《17개 생계형 자영업자》
①슈퍼마켓 ②편의점 ③의류점 ④개인용달 ⑤한식당 ⑥중식당 ⑦치킨집 ⑧분식집 ⑨부동산중개업소 ⑩피씨방 ⑪노래방 ⑫세차장 ⑬미용실 ⑭세탁소 ⑮당구장 ⑯기타주점업 ⑰비알콜음료업
○ 조사 항목을 사업체수, 종사자수, 영업기간(창업연월)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분석
- 지역별·업종별 분포
- 지역별·업종별 사업체의 생존율
1. 인천의 생계형자영업 사업체 생존율
2. 인천의 생계형자영업 일자리 생존율
3. 생계형자영업 업종별 현황과 생존율
- 슈퍼마켓
- 편의점
- 의류소매
- 개인용달
- 한식당
- 중식당
- 치킨집
- 분식집
- 부동산
- 피씨방
-노래방
- 세차장
- 이·미용실
- 세탁소
- 당구장
- 카페·음료점
- 주점·호프집
○ 소상공인은 인천경제의 저변을 강화하는 중요한 주체임과 동시에 경제성장의 기초 동력임에도 불구하고 기본 통계자료의 부재로 창업 및 경영상담시 애로사항이 발생
○ 인천지역 생계형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사업구조 분포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한 기본적인 통계 및 조사가 요구됨
[연구의 목적]
○ 예비 창업자에게 지역별·업종별 자영업 과밀정도를 사전에 알려 자율적인 창업 진입 규제 환경 조성
- 예비 창업자들이 업종 및 상권을 바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
- 개략적인 상권정보와 업종별 밀집현황을 통하여 창업준비 시 간편한 상권분석 도모
[주요연구내용]
「2014년도 사업체 통계조사」를 대상으로 인천시 생계형 자영업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생계형 자영업’의 통계를 작성
※ 생계형 자영업자 : 다음과 같은 업종으로 종사자가 5인 이하인 업종
《17개 생계형 자영업자》
①슈퍼마켓 ②편의점 ③의류점 ④개인용달 ⑤한식당 ⑥중식당 ⑦치킨집 ⑧분식집 ⑨부동산중개업소 ⑩피씨방 ⑪노래방 ⑫세차장 ⑬미용실 ⑭세탁소 ⑮당구장 ⑯기타주점업 ⑰비알콜음료업
○ 조사 항목을 사업체수, 종사자수, 영업기간(창업연월)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분석
- 지역별·업종별 분포
- 지역별·업종별 사업체의 생존율
1. 인천의 생계형자영업 사업체 생존율
2. 인천의 생계형자영업 일자리 생존율
3. 생계형자영업 업종별 현황과 생존율
- 슈퍼마켓
- 편의점
- 의류소매
- 개인용달
- 한식당
- 중식당
- 치킨집
- 분식집
- 부동산
- 피씨방
-노래방
- 세차장
- 이·미용실
- 세탁소
- 당구장
- 카페·음료점
- 주점·호프집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