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ResearchRPT_201611251058495180.jpg

환경안전

인천지역 온실가스 배출전망 및 감축잠재량 추정

  • 연구자
  • 발행년도

    2015

  • 연구기간

    2015.08.01 ~ 2015.11.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인천광역시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및 인천광역시 기후변화대응조례에 의거하여, 향후 20년

(2016 ~ 2035)을 계획기간으로 하는 5년 단위의 ‘인천광역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2015년 말까지 수립할 예정임.

2.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에서는 13개 유관기관을 중심으로 지원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 중이며, 우리 연구원에서 동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2035년 중장기 전망을 정책과제를 통해 지원해줄 것을 요청한 바 있음.

[연구목적]

1. 본 연구에서는 지원협의체의 일원인 한국환경공단에서 작성하게 될 인천지역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국가 온실가스 배출 및 감축전망 결과를 협조받아 검토분석하고,

2. 국가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식 등을 준용하되, 인천지역 사회경제지표 등의 전망자료를 활용, BAU(Business As Usual) 기준의 인천지역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하고자 함.

3. 또한 에너지관리공단 인천지역본부 등의 에너지 및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자료의 공유를 전제로, 인천지역 온실가스의 감축잠재량을 추정하고자 함.

[주요연구내용]

1. 인천지역 온실가스 배출량 인벤토리 및 국가 온실가스 배출전망 결과의 검토분석

- 한국환경공단의 산정 및 전망자료를 인천광역시를 통해 협조받아 검토분석 (인벤토리 작성 및 국가 배출전망과정에 활용된 활동도 등 세부기초자료의 공유)

- 인천지역 부문별(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폐기물, LULUCF 토지이용, 토지이용 변화 및 임업(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2. 인천지역 장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BAU 기준)

- 2020년, 2025년, 2030년, 2035년의 공식적인 사회경제적 지표 수집

-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식을 기준으로 하되, 지역특성을 보완적으로 반영

- 미래 지표를 활용한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3. 인천지역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추정

- 에너지관리공단 인천지역본부와 ㈜지환, ㈜카이트엔지니어링 등의 에너지 및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자료 검토 및 감축잠재량 보완

- 농업, 폐기물, LULUCF 부문 감축잠재량 산정을 통한 인천지역 감축잠재량 추정

4. 인천지역 온실가스 배출특성 및 감축잠재량 추정결과의 정책적 시사점
연구목차
Ⅱ.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및 감축잠재량 산정방법

1.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방법의 분류

1) IPCC의 전지구적 장기 배출량 전망

2) 지역차원의 전망방법의 분류

3) 온실가스 평가모형의 종류

2. 감축수단의 선정 및 감축량 산정방법

1) 감축수단 선정방법

2) 감축기술별 감축량 산정방법

Ⅲ. 인천지역 온실가스 배출산정 및 특성분석

1.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1) 배경 및 추진경과

2) 산정방법 개요

2. 온실가스 배출특성분석

1)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2) 인천광역시 전체 온실가스 배출 특성

Ⅳ.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및 감축잠재량 산정결과

1. 온실가스배출량 전망방법론 선정

1) 원단위 활용방법

2) 추세분석

3) 회귀분석

4) 상관분석

2. 선정방법론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결과

1)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개요

2) 에너지산업(발전)부문

3) 에너지부문(산업, 수송, 가정, 상업, 공공기타, 농림수산업)

4) 산업공정부문

5) AFOLU부문(가축, 관리토양)

6) 폐기물부문

3. 인천광역시 배출량 전망 및 감축잠재량

1) 인천광역시 배출량 장래전망

2) 감축잠재량 산정

4. 요약 및 활용방안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