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지역경제
개항문화지구 내 문화자본 현황분석 및 문화예술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 연구자
- 발행년도
2016
- 연구기간
2016.01.01 ~ 2016.08.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연구배경 및 필요성]
○ 개항장 문화예술 체험 현황
◦ 개항장 문화·예술 관련 활동은 ‘아트 플랫폼’과 ‘역사보존(컨텐츠, 컨텐츠와 관련된 건축물)’을 통한 문화체험 위주로 구성되어 있음.
◦ 옛 건물의 재활용 -> 장점: 역사성 보존 우수, 단점: 작은 규모
◦ 지역적으로 차별화된 특이한 내용이 있지만, 스케일이 작아서 크게 특별하게 다가오지 않는 체험들이 점적으로 산재한 느낌
○ 무엇이 빠졌나?
오감으로 느끼는 문화·예술적 체험과 공간적(장소적) 어메니티는 불가분의 관계
○ 원인
① 역사성에 뿌리를 둔 문화적 체험은 중요하지만, 공간과 활동의 다양성 부족
- 오래된 건물, 역사적 사실이나 이야기에 대한 교육(전시물 관람을 통한)과 간단한 체험 위주
- 요즘 젊은이들과 먼 지역에서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재방문할 수 있게 할 만한 컨텐츠 부족
- 방문객이 주체가 되어 참여하면서 개항장 외의 다양한 활동을 같이 경험할 수 있는 컨텐츠 부족
② 아트 플랫폼-다양한 박물관 사이-골목길-공원 간의 역사·문화·예술적 체험의 연속성 부족
- 한 공간에서의 체험이 다음으로 연결 축적되어 하나의 양적·질적으로 충만한 체험으로 느껴지지 않음(체험의 분절)
- 아트 플랫폼과 박물관 등이 물리적으로 근접해 있지만, 공간적 단절이 매우 크게 느껴짐
- 역사·문화·예술적 경험이 건축물 공간 안에만 갇혀 있고 외부로 확장되지 않음(아트 플랫폼에서 예술작품을 감상하거나 박물관을 구경하고 나올 때의 감동, 감흥 등이 건물 밖의 공간에서도 이어져서 체험이 극대화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는 건물을 나서자마자 회색공간의 현실이 너무 갑작스럽게 다가와서 공간 안에서의 느낌이 산산이 부서짐).
③ 외부공간(골목길)이 한 공간에서의 체험을 다음 공간까지 끌고 갈 만한 story와 공간적 amenity의 부족(공간 내부의 체험을 이어가기에 적합한 담소, 쉼, 되씹음, 영감, 공감 등의 공간배치가 절대부족)
○ 개항장 문화예술 체험 현황
◦ 개항장 문화·예술 관련 활동은 ‘아트 플랫폼’과 ‘역사보존(컨텐츠, 컨텐츠와 관련된 건축물)’을 통한 문화체험 위주로 구성되어 있음.
◦ 옛 건물의 재활용 -> 장점: 역사성 보존 우수, 단점: 작은 규모
◦ 지역적으로 차별화된 특이한 내용이 있지만, 스케일이 작아서 크게 특별하게 다가오지 않는 체험들이 점적으로 산재한 느낌
○ 무엇이 빠졌나?
오감으로 느끼는 문화·예술적 체험과 공간적(장소적) 어메니티는 불가분의 관계
○ 원인
① 역사성에 뿌리를 둔 문화적 체험은 중요하지만, 공간과 활동의 다양성 부족
- 오래된 건물, 역사적 사실이나 이야기에 대한 교육(전시물 관람을 통한)과 간단한 체험 위주
- 요즘 젊은이들과 먼 지역에서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재방문할 수 있게 할 만한 컨텐츠 부족
- 방문객이 주체가 되어 참여하면서 개항장 외의 다양한 활동을 같이 경험할 수 있는 컨텐츠 부족
② 아트 플랫폼-다양한 박물관 사이-골목길-공원 간의 역사·문화·예술적 체험의 연속성 부족
- 한 공간에서의 체험이 다음으로 연결 축적되어 하나의 양적·질적으로 충만한 체험으로 느껴지지 않음(체험의 분절)
- 아트 플랫폼과 박물관 등이 물리적으로 근접해 있지만, 공간적 단절이 매우 크게 느껴짐
- 역사·문화·예술적 경험이 건축물 공간 안에만 갇혀 있고 외부로 확장되지 않음(아트 플랫폼에서 예술작품을 감상하거나 박물관을 구경하고 나올 때의 감동, 감흥 등이 건물 밖의 공간에서도 이어져서 체험이 극대화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는 건물을 나서자마자 회색공간의 현실이 너무 갑작스럽게 다가와서 공간 안에서의 느낌이 산산이 부서짐).
③ 외부공간(골목길)이 한 공간에서의 체험을 다음 공간까지 끌고 갈 만한 story와 공간적 amenity의 부족(공간 내부의 체험을 이어가기에 적합한 담소, 쉼, 되씹음, 영감, 공감 등의 공간배치가 절대부족)
연구목차
Ⅱ. 관련이론·선행연구검토 및 연구방향설정
1. 관련이론 검토
1) 문화예술과 도시재생
2) 국내 문화예술중심 도시재생 정책
3) 문화예술중심 도시재생의 수단과 기대효과
4) 문화예술중심 도시재생과 관련된 주요 논점
5) 소결
2. 개항장지역 관련 선행연구 검토
1) 개항장지역 관련 계획 및 구상
2) 개항장지역 관련 연구 보고서
3. 관련이론·선행연구검토 소결 및 본 연구의 방향설정
Ⅲ. 개항장지역 물리적 문화자본 현황
1. 문화예술 관련 공공시설 현황 및 방문객 수 변화
1) 인천아트플랫폼
2) 근대문학관
3) 인천시 역사자료관
2. 개항문화지구 내 권장/비권장시설의 분포
1) 인천 개항문화지구 및 권장/준권장시설 현황
2) 소결
3. 문화예술관련 업종 사업체 수 변화
1) 개항장지역 문화예술관련 업종 사업체 수 변화
2) 개항장지역 문화예술 업종의 변화
3) 개항장지역 문화예술관련 업종의 연도별 신생/소멸 분석
4) 개항장지역 문화예술관련 업종 사업체 수 및 업종변화 분석 소결
4. 개항문화지구 주요거리 현황
1) 주요 거리의 선정
2) 주요 거리 경관현황
Ⅳ. 개항장지역 비물리적 문화자본 현황
1. 개항장지역 문화예술분야 사업체 종사자 수의 변화
2. 공시지가 변화
3. SNS에 나타난 개항장지역 문화예술활동 관련 인지도
1) 개항문화지구에 대해 매우 낮은 인지도
2) 개항장 방문객 문화예술활동 관련 언급
3) 개항장지역 문화예술활동관련 SNS언급 분석내용 정리
4. 문화예술 창작공간으로서의 개항장의 장점과 단점
5. 소결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개항문화지구는 느리게 질적 변화를 경험 중
2. 개항장 문화예술활동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제언
1) 기본방향 1: 개항문화지구를 예술창작활동 중심공간으로 활성화
2) 기본방향 2: 개항장 문화예술 보행네트워크 조성
1. 관련이론 검토
1) 문화예술과 도시재생
2) 국내 문화예술중심 도시재생 정책
3) 문화예술중심 도시재생의 수단과 기대효과
4) 문화예술중심 도시재생과 관련된 주요 논점
5) 소결
2. 개항장지역 관련 선행연구 검토
1) 개항장지역 관련 계획 및 구상
2) 개항장지역 관련 연구 보고서
3. 관련이론·선행연구검토 소결 및 본 연구의 방향설정
Ⅲ. 개항장지역 물리적 문화자본 현황
1. 문화예술 관련 공공시설 현황 및 방문객 수 변화
1) 인천아트플랫폼
2) 근대문학관
3) 인천시 역사자료관
2. 개항문화지구 내 권장/비권장시설의 분포
1) 인천 개항문화지구 및 권장/준권장시설 현황
2) 소결
3. 문화예술관련 업종 사업체 수 변화
1) 개항장지역 문화예술관련 업종 사업체 수 변화
2) 개항장지역 문화예술 업종의 변화
3) 개항장지역 문화예술관련 업종의 연도별 신생/소멸 분석
4) 개항장지역 문화예술관련 업종 사업체 수 및 업종변화 분석 소결
4. 개항문화지구 주요거리 현황
1) 주요 거리의 선정
2) 주요 거리 경관현황
Ⅳ. 개항장지역 비물리적 문화자본 현황
1. 개항장지역 문화예술분야 사업체 종사자 수의 변화
2. 공시지가 변화
3. SNS에 나타난 개항장지역 문화예술활동 관련 인지도
1) 개항문화지구에 대해 매우 낮은 인지도
2) 개항장 방문객 문화예술활동 관련 언급
3) 개항장지역 문화예술활동관련 SNS언급 분석내용 정리
4. 문화예술 창작공간으로서의 개항장의 장점과 단점
5. 소결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개항문화지구는 느리게 질적 변화를 경험 중
2. 개항장 문화예술활동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제언
1) 기본방향 1: 개항문화지구를 예술창작활동 중심공간으로 활성화
2) 기본방향 2: 개항장 문화예술 보행네트워크 조성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