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동북아국제
인천화교 역사문화 자산 조사 및 활용방안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6
- 연구기간
2016.03.01 ~ 2016.08.30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연구 배경 및 목적]
○ 화교와 관련된
- 인천의 역사·문화자산 조사 및 이 같은 자산들이
- 지역 명소화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현황 조사·분석에 기초하여
- 개선점을 도출하고,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제안
[주요 연구내용]
○ 인천화교의 형성 과정과 역사적 자산
- 문헌자료에 기초하여 인천화교의 형성과정 정리 및 역사적 자산으로서 갖는 의미 정리
-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천화교의 의미 정리
○ 인천화교의 생활공간과 문화 자산
- 인천화교 집거지 등 공간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건축물, 경관, 풍속·제례 등 문화 자산에 대한 조사·정리
○ 인천화교 역사·문화자산 활용 지역 명소화
- 인천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한 장소의 명소화에 활용되고 있는 자산 및 마케팅 현황 조사에 기초하여 개선점 도출 및 개선방향과 과제 제안
○ 화교와 관련된
- 인천의 역사·문화자산 조사 및 이 같은 자산들이
- 지역 명소화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현황 조사·분석에 기초하여
- 개선점을 도출하고,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제안
[주요 연구내용]
○ 인천화교의 형성 과정과 역사적 자산
- 문헌자료에 기초하여 인천화교의 형성과정 정리 및 역사적 자산으로서 갖는 의미 정리
-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천화교의 의미 정리
○ 인천화교의 생활공간과 문화 자산
- 인천화교 집거지 등 공간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건축물, 경관, 풍속·제례 등 문화 자산에 대한 조사·정리
○ 인천화교 역사·문화자산 활용 지역 명소화
- 인천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한 장소의 명소화에 활용되고 있는 자산 및 마케팅 현황 조사에 기초하여 개선점 도출 및 개선방향과 과제 제안
연구목차
Ⅱ. 인천 화교 및 화교사회 기본 현황
1. 인천화교의 개념
2. 인천 화교사회의 형성 및 현황
3. 종합 및 시사점
Ⅲ. 인천 화교 역사·문화 자산 현황 조사
2. 인천 화교 무형자산
3. 유물 및 기록 자산
4. 종합 및 시사점
Ⅳ. 인천 화교 역사·문화 자산 활용을 위한 정책 제언
1. 기본 방향
2. 정책 제언
1. 인천화교의 개념
2. 인천 화교사회의 형성 및 현황
3. 종합 및 시사점
Ⅲ. 인천 화교 역사·문화 자산 현황 조사
2. 인천 화교 무형자산
3. 유물 및 기록 자산
4. 종합 및 시사점
Ⅳ. 인천 화교 역사·문화 자산 활용을 위한 정책 제언
1. 기본 방향
2. 정책 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