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지역경제
송도 기후변화 지식경제 허브 구축을 위한 글로벌그린경제 Complex의 필요성과 기능
- 연구자
- 발행년도
2016
- 연구기간
2016.07.01 ~ 2016.11.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본 보고서는 녹색기후기금 유치효과를 확대하기 위한 물리적 인프라로서 글로벌그린경제 Complex의 필요성과 기능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작성됨
○ 본 연구는 기존 중앙정부와 인천시에서 추진해 온 녹색기후기금 유치 이후의 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기후변화 지식경제 허브로서 인천과 한국의 역할을 제고하기 위한 글로벌그린경제 Complex의 필요성과 기능을 제안함.
○ 본 연구는 기존 중앙정부와 인천시에서 추진해 온 녹색기후기금 유치 이후의 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기후변화 지식경제 허브로서 인천과 한국의 역할을 제고하기 위한 글로벌그린경제 Complex의 필요성과 기능을 제안함.
연구목차
Ⅱ. 기후변화사업의 글로벌 허브로서 송도 국제도시의 역할
1. 국제기구 유치와 도시경제
2. 국제기구 유치와 지식경제의 성장 가능성
Ⅲ. GCF 사업 활성화와 글로벌그린경제 Complex
1. GCF 사무국 유치와 사업 전개과정 현황
2. 한국 정부와 인천시의 GCF 지원 정책 현황과 과제
3. GCF 사업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그린경제Complex 조성
4. 시사점
Ⅳ. 글로벌그린경제 Complex의 공간구성과 프로그램
1. 글로벌그린경제Complex의 기본 개념과 공간구성
2. 글로벌그린경제 Complex의 공간별 프로그램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1. 국제기구 유치와 도시경제
2. 국제기구 유치와 지식경제의 성장 가능성
Ⅲ. GCF 사업 활성화와 글로벌그린경제 Complex
1. GCF 사무국 유치와 사업 전개과정 현황
2. 한국 정부와 인천시의 GCF 지원 정책 현황과 과제
3. GCF 사업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그린경제Complex 조성
4. 시사점
Ⅳ. 글로벌그린경제 Complex의 공간구성과 프로그램
1. 글로벌그린경제Complex의 기본 개념과 공간구성
2. 글로벌그린경제 Complex의 공간별 프로그램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