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2018-06_최병국.jpg

교통물류

경인고속도로 기능 변화에 따른 통합교통 분석

  • 연구자
  • 발행년도

    2018

  • 연구기간

    2018.02.01 ~ 2018.11.30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 수도권이 세계 다른 대도시권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중요 발전축을 중심으로 지역특성과 성장잠재력에 적합한 방식으로 특화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 특히, 글로벌 경쟁력 제고라는 측면에서 보면 중국의 대도시권과 지리적으로 인접하여 환황해 경제권의 비즈니스 기회 창출 가능성이 높고 국제공항, 국제항만 등 글로벌 인프라 여건이 탁월하여 대외지향적 공간구조 구축이 용이한 경인축의 잠재역량을 우선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 경인축은 1980년대 중반까지는 대한민국 산업 발전과 국가 발전을 견인하는 동맥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왔으나, 1980년대 중반이후 “경인축”은 국가의 경제 규모 확대에 걸맞는 인프라의 확충과 발전이 없어 국가의 발전축이 “경인축”에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고속철도를 따라 형성된 “경부축”으로 이동되면서 상대적으로 그 역할이 축소되었음. 또한 이 권역은 전략적으로도 수도권 과밀 억제 정책과 맞물려 국가적 차원의 전략적 검토 대상에서 제외되어 80년대 후반부터 진행되어 온 인프라의 노후화 와 용량 부족 문제, 주거 환경과 공단쇠퇴, 교통 혼잡 등 도시문제에 전략적으로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여 전반적으로 침체된 지역이라는 지역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는 실정임.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경인

축” 일대에 인천공항, 공항고속도로, 공항고속철도의 건설, 인천 남항과 송도 신항의 건설, 아라뱃길의 건설,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경인고속도로의 지하화, 제2외곽순환고속도로의 건설, 김포공항의 리모델 링, 상암디지털 단지, 마곡단지 조성 등 새로운 인프라가 투입되면서 잠재력은 더 확대되고 있음.

○ 경인 발전축의 결정적 한계로는 수요에 비해 도로, 철도 등 광역교통 기반시설의 서비스 수준이 낮고, 특히 서울~인천과의 업무통행시간이 1시간 30분 이상 소요되는 등 접근성이 열악한 점. 또한 경인고속도로와 경인선은 주변이 낙후되어 있고 지역을 단절 하여 지역격차가 심해짐에 따라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시급히 제기된다. 여의도-신월구간이 민자로 건설 중에 있으며 2030년까지 경인고속도로지하화, 일반화 및 3연륙교가 완공되면 경인고속도로는 물론 인천시 전체 고속도로망에 큰 변화가 생김. 인천 의 고속도로망 중 가장 핵심인 경인고속도로의 지하화, 일반화가 계획중에 있으나,두사업 주체가 상이하여 통합된 교통분석이 미흡.

○ 이와같은 경인고속도로 기능 변화에 따른 인천시 전체에 대한 고속도로망을 검토하여 시나리오별로 인천시내 간선 도로 교통변화를 통합분석 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제시함이 본 연구의 목적임.
연구목차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