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지역경제
주택가격 변동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 연구자
- 발행년도
2018
- 연구기간
2018.02.01 ~ 2018.11.30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 본 연구는 주택시장의 변동성이 실물경제와 연관성에 대해 한국과 인천시의 주택시장을 대상으로 분석
○ 본 연구는 먼저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의 발단이 되었던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기 침체를 겪었던 미국의 사례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한국의 주택시장과 실물경제 연관성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음
- 가계부채 증가는 주택시장의 변동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 특히, 한국과 같이 가구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PIR)이 높은 나라에서는 자가소유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가계부채가 상승할 수 밖에 없는 실정임
- 주택 자산 가격의 변동성에 의한 충격은 레버리지(자산가격 대비 가계대출 비율)가 높은 가계일수록 더 취약. 따라서, 경기 변동에 의한 자산가격의 감소가 주택 자산가격의 감소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전체적인 자산 포트폴리오의 급격한 감소로 이어짐.
- 주택 자산의 증감은 부의효과(자산 효과)를 통해 소비지출에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지역 내에서 생산되고 소비되 는 재화를 생산하는 업종의 경우에는 매출에 타격을 입게 되고 이에 일자리 감소를 유인하게 됨
○ 본 연구는 먼저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의 발단이 되었던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기 침체를 겪었던 미국의 사례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한국의 주택시장과 실물경제 연관성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음
- 가계부채 증가는 주택시장의 변동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 특히, 한국과 같이 가구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PIR)이 높은 나라에서는 자가소유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가계부채가 상승할 수 밖에 없는 실정임
- 주택 자산 가격의 변동성에 의한 충격은 레버리지(자산가격 대비 가계대출 비율)가 높은 가계일수록 더 취약. 따라서, 경기 변동에 의한 자산가격의 감소가 주택 자산가격의 감소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전체적인 자산 포트폴리오의 급격한 감소로 이어짐.
- 주택 자산의 증감은 부의효과(자산 효과)를 통해 소비지출에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지역 내에서 생산되고 소비되 는 재화를 생산하는 업종의 경우에는 매출에 타격을 입게 되고 이에 일자리 감소를 유인하게 됨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