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2018-10_안내영.jpg

도시계획

인천시 중심지체계 분석

  • 연구자
  • 발행년도

    2018

  • 연구기간

    2018.02.01 ~ 2018.11.30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 인천은 꾸준한 확장을 통해 여러 중심지를 가지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뚜렷한 일극없이 분산된 형태의 다중심 도시공간구조가 형성됨
○ 이에 따라 도시기본계획의 공간구조 체계도 지속적으로 변화하였음. 중심지체계 구분,생활권계획, 각 중심지 위상 설정 모두 계속 변화
- 1도심 5부도심 16지구중심 (2011 인천도시기본계획/수립연도 1997)
- 3도심 5부도심 7지역중심 (2020 인천도시기본계획/수립연도 2006)
- 1도심 6부도심 10지역중심 (2025 인천도시기본계획/수립연도 2010)
- 3주핵 4부핵 10지역중심 (2025 인천도시기본계획(변경)/수립연도 2012)
- 4도심 3부도심 9지역중심 (2030 인천도시기본계획/수립연도 2015)

○ 시대가 변화하고 사람들의 생활 양식이 바뀌면서 도시공간구조와 중심지에 대한 인식변화
- 과거 중심지는 인구가 집중되고 업무, 상업 등 경제활동이 활발하고, 고밀의 건조환경을 가진 전형적 이미지임
- 이전에는 다양한 업무와 상업이 한 곳에 집중하는 일극 중심지체계였다면 국제업무, 금융업무, 법률서비스, 연구개발 등 업무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집적하거나 역사문화 중심지, 관광중심지 등 지역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중심지가 출현하고 있음

○ 경제자유구역 개발이 어느 정도 완료되고 있는 지금 인천시의 중심지체계를 다시 한번 분석하고 공간구조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중심지를 구분하는 다양한 지표를 통하여 인천시 중심지체계의 현황과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각 중심지의 특성을 파악함

○ 인천시 도시계획과 도시관리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인천시 중심지체계의 재정비방안을 제언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연구목차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