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 연구개요
❍ 해양쓰레기는 발생원에 따라서 하천 등 육지를 통해서 유입되는 쓰레기와 연안 지역주민, 관광객 등이 버린 육상기인 쓰레기와 어업, 양식 활동 등에 의하서 발생되는 폐어구 등 해양기인 쓰레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분포 위치에 따라서 침적쓰레기, 부유쓰레기, 해안쓰레기로 구분할 수 있음.
❍ 해양쓰레기는 해양 환경과 수산자원에 악영향을 끼치며 선박 운항 등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국내·외적인 관심과 우려가 증대되고 있음. 이에 우리나라는 해양쓰레기 저감을 위한 국가 차원의 해양쓰레기 관리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중에 있음.
❍ 해양쓰레기는 해안관리구역에 따라서 해양수산부과 관리하는 국가항이나 연안항을 제외한 영해 및 내수구역에 대한 해양관리업무는 인천광역시에서 담당하고 있음.
❍ 인천광역시는 도서지역 등 연안 지역에서 발생되는 해양쓰레기의 적절한 수거 및 처리를 위하여 지역주민 등에 의하여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육지로 반출하여 처리되고 있으나 해양레저 활성화 및 연안이용 증가로 해양쓰레기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해양쓰레기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
❍ 또한, 해양쓰레기 관련 업무가 해안쓰레기 수거 및 처리에 집중됨으로 인한 높은 수거 및 처리비용 등으로 적절한 해양쓰레기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해양쓰레기의 수거율 향상과 적정 관리방안 검토가 필요한 시점임.
❍ 이에 해양쓰레기 해역별 발생 및 처리실태 조사와 전문가 워크숍 등을 통하여 해양쓰레기의 발생량 저감 방안, 해양쓰레기의 효율적인 수거·운반 및 처리 방안 등 인천시 여건에 맞는 해양쓰레기 처리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해양쓰레기 관리를 위한 관리체계 개선방안을 검토하고자 함.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