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문화관광
인천시 무장애 관광 진단과 정책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19
- 연구기간
2019.03.01 ~ 2019.12.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 연구개요
❍1980년 세계관광기구(UNWTO)를 시작으로 장애유무를 비롯해 연령, 성별에 따른 차별없이 누구나 관광을 할 수 있다는 취지를 담은 무장애 관광 (barrier-free tourism)이 지속가능한 관광 관점에서 주요 개념으로 등장함.
❍국내에서도 관련 법령이 제정되고 ‘열린 관광지 확대 조성’ 등 무장애 관광 관련 정책적 지원이 확대되고 있으며, 서울시를 비롯해 여러 지자 체에서 무장애 관광 실현을 위한 정책방안을 실행하고 있음.
❍인천시에서도 ‘모든 사람’이 인천의 관광 요소를 즐길 수 있도록 최근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다양한 지원정책을 도입하는 등 다각적 노력을 기울 이고 있으나, ‘모두’보다는 특정 계층에 집중되어 있고 물리적 환경 장벽을 제거하는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임.
❍모두가 향유하기 편한 관광환경 조성을 위해 지역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과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 상황에서 인천시 무장애 관광환경에 대해 객관적 이고 체계적인 진단항목 개발을 통한 무장애 관광의 여건 진단이 필요한 실정임.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무장애 관광여건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항목을 개발하고 이를 인천시 주요 관광지에 적용해 본 뒤, 진단결과에 따른 정책과제를 제안하고자 함.
❍1980년 세계관광기구(UNWTO)를 시작으로 장애유무를 비롯해 연령, 성별에 따른 차별없이 누구나 관광을 할 수 있다는 취지를 담은 무장애 관광 (barrier-free tourism)이 지속가능한 관광 관점에서 주요 개념으로 등장함.
❍국내에서도 관련 법령이 제정되고 ‘열린 관광지 확대 조성’ 등 무장애 관광 관련 정책적 지원이 확대되고 있으며, 서울시를 비롯해 여러 지자 체에서 무장애 관광 실현을 위한 정책방안을 실행하고 있음.
❍인천시에서도 ‘모든 사람’이 인천의 관광 요소를 즐길 수 있도록 최근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다양한 지원정책을 도입하는 등 다각적 노력을 기울 이고 있으나, ‘모두’보다는 특정 계층에 집중되어 있고 물리적 환경 장벽을 제거하는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임.
❍모두가 향유하기 편한 관광환경 조성을 위해 지역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과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 상황에서 인천시 무장애 관광환경에 대해 객관적 이고 체계적인 진단항목 개발을 통한 무장애 관광의 여건 진단이 필요한 실정임.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무장애 관광여건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항목을 개발하고 이를 인천시 주요 관광지에 적용해 본 뒤, 진단결과에 따른 정책과제를 제안하고자 함.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